[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의 가정용 에너지저장장치(ESS) 신제품 '파워월(Powerwall)3'가 호주 정부의 지원금 대상에서 제외됐다. LG에너지솔루션이 대안으로 거론되며 테슬라의 빈 자리를 꿰차고 호주 ESS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7일 호주 빅토리아주에 따르면 주 태양광 주택 프로그램 운영 기관 '솔라 빅토리아(Solar Victoria)'는 최근 "우리는 검토를 거쳐 테슬라 파워월 3가 '솔라 홈 프로그램(Solar Homes Program)'에 적격한 제품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했다"며 "소매업체는 태양광 배터리 대출을 신청하려는 고객이 적격 제품을 선택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솔라 빅토리아는 파워월3가 솔라 홈 프로그램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구체적인 이유를 밝히지 않았다. 다만 소비자는 무이자 대출을 받기 위해서 솔라 빅토리아의 ESS 목록에 등록된 제품 중 용량이 6kWh 이상인 ESS를 설치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솔라 홈 프로그램은 빅토리아주 정부가 진행하는 10년짜리 신재생에너지 지원책이다. 태양광 발전을 장려하기 위해 최대 8800호주달러(약 770만원)의 무이자 대출을 제공하고 10
[더구루=김은비 기자] 이혁재 LG에너지솔루션 북미지역총괄 겸 부사장이 조지아 사바나 기술대학(Savannah Tech)을 방문한 자리에서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전기차(EV) 산업 성장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조지아주에서 EV 충전소를 찾을 수 없어서다. LG에너지솔루션은 현지 배터리 인프라 확충을 주문하는 한편 북미 전기차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이 부사장은 지난 18일(현지시간) 사바나 기술대학 에크버그 강당에서 열린 '메이드인 조지아 : EV 에너지 공급망(Made in Georgia: the EV Energy Supply Chain)' 원탁회의에 기조연설자로 참석했다. 이 회의는 미국 무공해 교통협회(ZETA) 교육 펀드가 주최, 미국 전기차 산업의 허브로 자리 잡기 위해 향후 전략을 구축하고 협력을 도모하기 위해 마련됐다. LG에너지솔루션을 비롯, 현대자동차·기아, 리비안 오토모티브, 지멘스, 사던컴퍼니, 큐셀스 등 주요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 부사장은 "두 차례에 걸쳐 캠퍼스를 꼼꼼히 둘러봤지만 EV 충전소를 발견하지 못했다"며 "이곳에 충전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LG에너지솔루
[더구루=정등용 기자] 헝가리 당국이 배터리 제조 기업 추가 유치에 부정적 입장을 나타냈다. 대신 새로운 기술 가치 산업을 육성한다는 차원에서다. 헝가리 투자를 총괄하고 있는 이스트반 요오 헝가리투자청(HIPA)장은 최근 헝가리 주간지 포트폴리오와 인터뷰에서 “배터리 산업 생태계가 실질적으로 구축돼 있는 만큼, 더 이상 새로운 배터리 기업을 유치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새로운 기술적 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을 지원할 계획”이라며 “우리의 핵심 과제 중 하나는 경제 발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분야에 투자를 유도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요오 청장은 또 헝가리 산업 구조를 이른바 ‘조립 공장’이라고 부르는 풍토에 대해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다. 그는 "단순 생산 일자리도 매우 가치 있는 것이며 경제에서 그 역할을 절대 과소평가 해선 안 된다”며 "헝가리가 최근 몇 년간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면서 100만 개 일자리를 창출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다만 "전략적 목표로, 헝가리 진출 기업들이 연구·개발 프로젝트에도 적극 투자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요오 청장은 “연구·개발 활동의 발전을 위해서는 제조 역량의 존재가 전제 조건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면서
[더구루=길소연 기자] 유럽 자동차 제조업체가 중국과의 배터리 경쟁에 대응하기 위해 K-배터리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중국이 배터리 기술과 공급망 측면에서 앞서있어 한국 기업에 보조금 지원과 합작투자로 파트너십을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유료기사코드] 20일 글로벌 컨설팅 업체 던 인사이트(Dunne Insights)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 기업은 한국과 일본의 배터리 제조업체와의 관계를 강화해 그들의 노하우를 활용해 더 크게 성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유럽은 2035년까지 할당된 1000억 유로(약 150조원) 중 200억 유로(약 30조원)를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 SDI, SK이노베이션, 파나소닉 등의 '기가팩토리'에 투자해 유럽 배터리 산업을 개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마이클 던(Michael Dunne) 던 인사이트 최고경영자(CEO)는 "유럽은 중국 수입에 의존하는 속국이 될 여유가 없다"며 "유럽 산업은 중국에 대한 의존에서 벗어나고 싶다면 한국과 일본에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고 말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은 기술과 공급망 측면에서 중국보다 7년에서 10년 뒤처져 있다. 중국은 배터리 셀 생산의 79%와 필수 원
[더구루=정예린 기자] SK온이 헝가리 정부의 강화된 유해물질 배출 규제의 적용을 받게 됐다. 앞서 삼성SDI, CATL 등 현지에 거점을 둔 글로벌 기업들도 당국 지시에 따라 배출 감축 조치를 시행, 배터리 업계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 정책에 동참했다. 19일 그린피스에 따르면 코마롬-에스테르곰주 주정부는 최근 SK온이 제출한 새로운 통합 환경 사용 허가에 NMP(노말메틸피롤리돈) 용매 배출 허용 기준을 기존 150mg/m³에서 1mg/m³로 줄였다. 이 규제는 SK온이 헝가리에 보유한 3개 시설 중 코마롬 1·2공장에만 해당된다. SK온은 새로운 규제가 큰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회사 관계자는 "(해당 기준은) 현재도 대응 가능한 수준"이라며 "관련 시설 점검 등을 통해 차질없이 준비해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린피스는 지속적으로 NMP의 독성을 지적하며 배출 기준을 올려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끈질긴 설득 끝에 정부가 이를 받아들여 바뀐 규제를 순차 적용하고, 오는 2027~2028년부터 전면 시행키로 했다. 지난해부터 신규 허가를 받는 공장은 즉시 1mg/m³ 기준이 도입된다. 아직 공식 승인을 받지 않은 기업은 2027년부
[더구루=윤진웅 기자] 테슬라가 유럽에서 또 다른 메가팩 프로젝트를 확보했다. 에너지 공급업체인 리턴(Return) 산하 네덜란드 배터리 저장 시스템 개발사인 라이언 스토리지(Lion Storage)가 추진하는 '프로젝트 무파사'에 유럽 최대 규모 메가팩을 공급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리턴에 따르면 네덜란드 블리싱겐에 건설할 에너지저장시스템의 에너지 저장장치로 테슬라 메가팩을 채택했다. 리턴 산하 라이언 스토리지가 추진하는 350MW/1.4GWh 규모의 유럽 최대 에너지저장시스템 건설 프로젝트인 무파사 2단계 과정에서 이뤄진 내용이다. 테슬라 메가팩은 모듈과 인버터, 열 관리 시스템 등이 장착된 컨테이너 크기의 3MWh급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다. 일반 파워팩보다 60% 에너지 효율이 더 높다는 게 테슬라 측 설명이다. 특히 메가팩은 컨테이너로 배송할 수 있어 이동이 쉽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라이언 스토리지가 건설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은 총 372개의 메가팩을 이용해 4시간 동안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네덜란드는 물론 유럽 전체에서 가장 큰 규모로 하루 동안 블리싱겐 지역 20만 가구에 여러 차례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을 확보할 전망이다. 오는 2027년
[더구루=정등용 기자] 파산 절차에 들어간 스웨덴 배터리 제조사 노스볼트가, 자회사를 팔기로 했다. 주력 사업인 대규모 배터리 셀 제조에 집중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유료기사코드] 노스볼트는 18일(현지시간) 익명의 기업과 '노스볼트 시스템즈 인더스트리얼(Northvolt Systems Industrial)'에 대한 매각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8년 설립된 '노스볼트 시스템즈 인더스트리얼'은 중공업과 오프로드 시장용 배터리 시스템을 개발·제조하는 업체다. 스웨덴 스톡홀름의 배터리 시스템 프로토타이핑 시설과 폴란드 그단스크의 노스볼트 생산시설에서 약 300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있다. 노스볼트 시스템즈 인더스트리얼은 자재 취급과 건설 장비, 광업, 농업, 도시 서비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고객에게 배터리 모듈과 시스템 포트폴리오를 공급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로는 에피록, 코네크레인, 다이넬 등이 있다. 인수 기업은 사업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기존 자산과 직원, 계약을 모두 인수한다. 이에 따라 올해 계약된 주문 건도 모두 계획대로 실행될 예정이다. 노스볼트는 사업 구조를 단순화 하고 기존 주력 사업인 대규모 배터리 셀 제조에 집중하기 위해 이번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도네시아 국영 배터리 투자회사 IBC가 현대자동차와 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공장 지분 인수에 난항을 겪는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을 저격하고 나섰다. "LG에너지솔루션이 지분 인수에 필요한 작업에 제대로 협조하고 있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토토 누그로호 IBC 사장은 17일(현지시간) 인도네시아 하원(DPR)에 나와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공장 합작사인 'HLI그린파워'의 지분 인수에 대한 어려움에 대해 말했다. 누그로호 사장은 “우리는 HLI그린파워 배터리셀 공장의 지분 5%를 확보하는 양해각서(MOU)와 주요조건합의서(HOA)를 체결했지만 장애물이 발생해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유에 대해 “LG에너지솔루션이 회사 가치평가에 필요한 서류를 제대로 제공하지 않은 점이 가장 크다”고 지적했다. 누그로호 사장에 따르면 IBC는 지난 2022년 8월부터 2023년 6월까지 HLI그린파워에 배터리셀 공장 지분 5%를 인수하기 위한 실사 요청서를 4차례 제출했지만 아무런 응답을 받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IBC는 그동안 HLI그린파워의 지분 일부를 인수하기 위해 꾸준하게 협상을 이어왔다. 아디에야 사푸트라 IBC 기업전략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가 스페인 재생에너지 기업 '젤레스트라(Zelestra)'와 손을 잡았다. 태양광 발전을 통해 만들어진 전력을 조달해 글로벌 탈탄소화 움직임을 가속화한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젤레스트라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테슬라와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테슬라는 스페인 내 젤레스트라의 태양광 발전소 3곳을 통해 연간 약 130GWh 규모 전력을 공급받는다. 젤레스트라는 테슬라와의 계약을 이행하기 위해 카스티야라만차 지역 시우다드레알에 브라자토르타스 I·II·IV 등 3개의 태양광 발전소를 짓는다. 총 설비 용량은 74MW, 연간 발전량은 146GWh에 달한다. 계약 체결 직후 건설 작업에 착수했다. PPA는 기업 등 전력구매자가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일정 기간 계약된 가격으로 전력을 거래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 유럽과 미국 등 주요 국가를 중심으로 친환경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PPA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발전소에서 효율적으로 생산한 전력을 사용해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뿐 아니라 온실가스 감축 효과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테슬라가 젤레스트라로부터 확보한 재생에너지를 어떻게 활용할지 구체적인 방
[더구루=진유진 기자]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 BYD(비야디)가 2027년부터 전고체배터리 시험 양산에 돌입해 글로벌 시장에 본격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며, 대량 생산을 통한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쑨 화쥔(Sun Huajun) BYD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지난 15일(현지시간) '제2회 중국 전고체배터리 서밋'에서 "2027년부터 전고체배터리를 시험 양산하고, 2030년 이후 유럽 등 글로벌 시장에 대량 도입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BYD는 황화물 기반 전고체배터리를 주력 기술로 삼고 있으며, 긴 수명과 빠른 충전 속도를 강점으로 내세운다. 오는 2027~2029년 중·고급 전기차에 우선 적용한 뒤, 2030~2032년에는 대중 모델로 확대할 방침이다. 전고체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안전성이 높고, 에너지 밀도가 뛰어나 주행거리를 늘릴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BYD 외에도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 도요타, 닛산, 혼다 등이 관련 기술을 연구 중이다.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팩토리얼은 메르세데스-벤츠, 스텔란티스, 현대차·기아 등의 투자를 받아 전고체배터리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수소 및 산업용 가스 극저온 장비 제조업체인 차트인더스트리스(Chart Industries)와 탄소포집 사업에 협력한다. [유료기사코드] 블룸에너지는 17일 차트인더스트리스와 천연가스와 연료전지를 활용해 탄소배출 없이 전력을 생산하는 내용의 탄소포집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양사는 차트인더스트리스의 탄소포집 경혐을 기반으로 불룸에너지의 고순도 이산화탄소 배출 스트림을 처리한다. "효율적인 탄소포집은 배기 스트림의 이산화탄소 순도에 따라 달라진다"고 블룸에너지 측은 설명했다. 블룸에너지에 따르면 이 회사의 고온 연료전지 기술은 연소 없이 천연가스를 전환해 질량 흐름이 15배 낮고 이산화탄소 농도가 10배 높은 스트림을 생산한다. 이를 통해 탄소포집 과정을 더 효율적이고 저렴하게 만든다. 케이알 스리다르 블룸에너지 설립자 겸 회장은 "차트인더스트리스와의 파트너십은 탄소포집을 통해 천연가스로부터 기저부하 전력 공급이 대규모로 실행가능하다는 점을 증명하는 것은 목표로 한다"면서 "블룸에너지의 연료전지는 연소 없이 전기를 생성해 추출 비용을 낮추는 농축된 이산화탄소 스
[더구루=정예린 기자] 성일하이텍이 헝가리에서 취급하는 배터리 스크랩(배터리 제조 공정에서 발생하는 불량품) 품목을 다변화한다. 현지 공장 가동률을 높여 수익성을 확대, 유럽 주요 거점으로서의 역할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14일 성일하이텍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노그라드주 주정부에 제1·2리사이클링파크에서 처리할 새로운 종류의 스크랩에 대한 허가를 받고 품목별 용량을 조정하기 위해 환경영향평가를 제출했다. 제1리사이클링파크는 이달 11일(현지시간) 승인을 받았고 제2리사이클링파크에 대한 절차는 진행 중이다. 스크랩은 배터리 구성와 상태 등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성일하이텍은 대표적인 일부 품목에 대해서 당국 허가를 받고 스크랩을 처리해 왔지만, 공급받은 스크랩 중 승인받지 않은 종류가 포함돼 있었다. 이에 따라 헝가리 정부 규정에 맞춰 환경영향평가를 진행한 후 리사이클링파크에 투입해 처리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기존 시설 내에서 소규모 설비 변경을 추진한다. 스크랩 품목에 따라 크게 위험성 폐기물과 비위험성 폐기물로 구분된다. 위험성 폐기물은 대표적으로 양극재, 건조젤리롤 등이 있고 비위험성 폐기물은 음극재 등이 해당된다. 제1리사이클링파크는 위험성 폐기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 텍사스 기가팩토리에서 올해 출시를 앞둔 보급형 전기차 모델의 테스트카로 추정되는 차량이 포착됐다. 테슬라는 이르면 올해 상반기 중으로 '모델Q(가칭)'로 불리는 보급형 전기차의 생산을 시작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 미국 텍사스주 기가팩토리 관련 이미지·영상을 전문으로 촬영하는 드론 조종사 조 테그마이어(Joe Tegtmeyer)는 12일(현지시간) 엑스(X, 구 트위터)를 통해 "기가 텍사스에서 흥미로운 테스트카를 발견했다"며 "어떤 차량인지, 무슨 의미가 있는지 잘 모르겠다"며 커버가 씌워진 차량의 모습을 공개했다. 조 테그마이어가 공개한 사진 속 차량은 차량 커버가 씌워진 모습으로, 모델Y와 같은 크로스오버 차량 형태를 가지고 있다. 사진 속 테스트카의 가장 큰 특징은 차체 패널은 물론 지붕과 전면 유리가 장착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해당 차량은 모델Q로 불리는 보급형 전기차 모델의 테스트카로 추정된다. 모델Q는 4m급 소형 전기 해치백 모델로, 모델Y와 유사한 디자인을 가질 것으로 알려졌다. 라스 모라비(Lars Moravy) 테슬라 차량 엔지니어링 부사장도 "보급형 모델은 기존 모델과 디자인은 유사할 것이다. 하지만 가
[더구루=정예린 기자] 애플이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TSMC'에 사상 최대 규모의 칩 생산을 맡길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나노미터(nm) 시대 개화를 앞두고 첨단 공정 수요가 급증하며 양사 간 동맹이 더욱 공고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대만연합신문망(UDN), 미국 IT 매체 'Wccftech' 등에 따르면 애플은 올해 TSMC에 최대 1조 대만달러(약 330억 달러·46조5900억원)에 달하는 주문을 맡길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와 비교해 최대 60% 성장한 수치다. TSMC는 고객사별 매출 기여도를 공식적으로 밝히지 않지만, 애플은 단일 고객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업계에서는 작년 애플이 TSMC에 약 6243억 대만달러(약 29조원) 규모의 주문을 맡겼다고 추정한다. 올해는 8000억~1조 대만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관건은 애리조나 공장의 생산 가동 속도와 대만 2나노 라인의 양산 시점이다. TSMC는 연내 2나노 공정 양산을 시작할 예정이다. 계획대로 양산을 개시할 경우 대만 내 2나노 공정 초기 생산분과 미국 애리조나 1·2공장의 생산 역량을 모두 애플이 선점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