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병용 기자] 중국 최대 핀테크 기업인 앤트그룹(Ant Group)이 휴머노이드 시장 진출을 선언했다. 빅테크들의 참전이 이어지며 글로벌 휴머노이드 시장 판도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업계에 따르면 앤트그룹의 휴머노이드 자회사인 '상하이 앤트 링보 테크놀로지(Shanghai Ant Lingbo Technology)'가 본격적으로 인력채용을 시작했다. 앤트그룹은 지난해 12월 상하이 앤트 링보 테크놀로지를 설립하고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에 진출한다고 선언했다. 앤트그룹은 초기 자본금으로 1억 위안(약 198억원)을 투입했다. 앤트그룹은 휴머노이드, 체화지능(Embodied Intelligence) 기술 개발에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체화지능은 물리적 실체를 가지고 실제환경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기술이다. 중국 구인구직 플랫폼 '보스즈핀(Boss Zhipin)'에 따르면 상하이 앤트 링보 테크놀로지는 휴머노이드 로봇 모션 제어, 하드웨어 구조 관련 연구 인력을 모집한다. 상하이 앤트 링보 테크놀로지는 로봇 모션 제어 직원에게는 최대 104만 위안(약 2억600만원), 하드웨어 구조 부문 직원에게는 최대 112만
[더구루=홍성일 기자] 메타가 미국 미네소타주 로즈마운트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인근 토지를 추가로 매입했다. 당장은 새로 매입한 토지를 어찌할지 계획을 세우지는 않았지만 로즈마운트 데이터센터 증설을 준비하고 있는것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업계에 따르면 메타 자회사인 짐니스트 LLC(Jimnist LLC)는 로즈마운드 데이터센터 인근 80만9000제곱미터(㎡) 부지를 매입했다. 거래 규모는 7000만 달러(약 1000억원)다. 짐니스트 LLC는 미네소타주 세무부에 제출한 서류를 통해 '데이터 센터(data center)' 용도로 해당 부지를 매입했다고 밝혔다. 메타 관계자는 "미래의 사업적 필요에 대비해 토지를 구매한다"며 "현재 해당 토지에 건물을 지을 계획은 없다"고 전했다. 로즈마운트 시 정부도 "메타가 인수한 토지에 대한 개발 신청을 접수하지 않았다"고 확인했다. 메타는 현재 로즈마운트에 8억 달러(약 1조1500억원)를 투입해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고 있다. 113만㎡ 부지 위에 건설되고 있는 로즈마운트 데이터센터는 2026년 가동을 목표로 하고 있다. 메타는 엑셀 에너지(Xcel Energy)와 인프라 구축 계약을 체결하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AI) 스타트업 xAI가 독일 수처리 기술 기업 세라필텍(CERAFILTEC)에 물 관리 솔루션을 독점 발주한다. 미국에 세계 최대 규모로 AI 슈퍼컴퓨터 데이터센터 구축에 나선 xAI는 세라필텍의 지속 가능한 물 관리 시스템 도입을 통해 친환경 데이터센터 운영 모델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세라필텍에 따르면 xAI는 미국 테네시주 멤피스에 첨단 세라믹 멤브레인 바이오리액터(MBR)를 건설할 예정이다. 올해 내 완공을 목표로 한다. 바이오리액터는 도시 폐수를 재활용해 데이터센터 냉각수로 공급하는 시스템이다. 세라필텍은 이를 통해 하루 약 4920만 리터의 생활 폐수를 재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AI 슈퍼컴퓨터 데이터센터는 엄청난 양의 전력을 소모하는 과정에서 발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냉각수를 필요로 한다. 이로 인해 수자원 낭비와 환경 부담을 줄이는 방안이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일부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데이터센터 가동에 필요한 전력을 확보하기 위해 소형 원자로(SMR) 도입까지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xAI는 세라필텍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 파트너사로 선정했다. 독일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국방부 산하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양자컴퓨팅 기술 검증 이니셔티브를 확대한다. DARPA는 이번 이니셔티브를 통해 어떤 양자 컴퓨팅 방식이 유틸리티 스케일(Utility Scale, 양자 유용성 단계)을 달성할 수 있는지 검증한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업계에 따르면 DARPA는 양자 벤치마킹 이니셔티브(Quantum Benchmarking Initiative, QBI)' 프로그램에 참여할 신규 기업을 곧 발표할 예정이다. DARPA는 BQI 프로그램에 10억 달러(약 1조4400억원) 이상을 투입할 계획이다. DARPA는 이전부터 US2QC(Underexplored Systems for Utility-Scale Quantum Computing) 프로그램을 운영해왔다. US2QC는 QBI의 파일럿 프로젝트로 마이크로소프트(MS), Psi퀀텀, 아톰 컴퓨팅, QC82 등이 참여했다. DARPA는 US2QC를 통해 유틸리티 스케일 양자 컴퓨터가 언제 개발될 수 있을지를 탐구했다. 유틸리티 스케일은 양자 컴퓨터가 고전적 컴퓨터를 능가하는 연산 성능을 제공하는 단계를 말한다. MS는 US2QC 프로그램에서 마요라나(Major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NVIDIA)가 오픈소스 인공지능(AI) 클라우드 스타트업 '투게더AI(Together AI)'에 투자했다. 중국의 AI 모델 딥시크의 출현 등 오픈소스 AI 생태계로 글로벌 패권 경쟁이 확대되는 모습이다. [유료기사코드] 투게더AI는 21일 시리즈B 자금조달 라운드에서 3억500만 달러(약 4400억원)를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에서 기업가치를 33억 달러(약 4조7300억원)로 평가받았다. 이번 라운드는 미국 벤처캐피털(VC) 제너럴카탈리스트와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의 VC인 프로스퍼티7이 공동으로 주선했다. 주요 투자자로는 엔비디아를 비롯해 △세일즈포스벤처스 △다막캐피탈 △클라이너퍼킨스 등이 있다. 2022년 설립된 투게더AI는 미국 캘리포니아 주(州) 실리콘밸리의 오픈소스 AI 스타트업이다. 이 회사의 플랫폼을 통해 중국 딥시크, 메타 라마 등 200여개 오픈소프 모델을 사용할 수 있다. 현재 45만여 고객이 이 회사의 AI 가속 클라우드를 사용해 AI 응용프로그램을 구축했다. 주요 고객사로는 SK텔레콤·세일즈포스·줌·조마토 등이 있다. 투게더AI는 현재 200㎿ 규모 전력 용량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NHN의 일본 클라우드 자회사인 'NHN테코라스'가 신규 서비스를 앞세워 중소·중견기업 클라우드 시장을 공략한다. 자체 서버 운영 역량이 부족한 중소·중견 기업이 많은 만큼 상당한 수요가 예상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NHN테코라스는 18일 관리형 클라우드 호스팅 서비스 포워디(Forwardy)를 출시했다. NHN테코라스는 포워디의 주요 고객이 중소·중견기업이라고 설명했다. NHN테코라스에 따르면 일본 중소·중견기업 중 상당수가 임대 서버 노후화, 장애 대응, 사이버 공격 등의 이유로 클라우드를 도입하고 싶어한다. 문제는 운영 인력을 둘 수 없고, 종량 요금제로 인한 요금 폭탄도 우려돼 도입을 망설이고 있다는 점이다. NHN테코라스는 중소·중견기업들의 우려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포워디를 설계했다. 포워디를 이용하면 NHN테코라스가 클라우드 서버 관리를 담당한다. 기업들 입장에서는 클라우드를 운용할 전문 인력을 구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포워디의 월 요금은 100기가바이트(GB) 1800엔(약 1만7230원), 200GB 3300엔(약 3만1590원), 400GB 6000엔(약 5만7440원)으로 책정됐다. AWS를 기반으로 하는 만큼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하버드대학교 연구팀이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이하 CMOS) 기반 두뇌 시냅스 매핑(지도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 대해 대규모 뉴런 네트워크 매핑을 향한 한 걸음 내딛게 됐다고 평가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하버드 연구팀은 4096개 마이크로홀 전극 배열(microhole electrode arrays)로 구성된 CMOS를 개발, 7만 개 이상의 시냅스를 매핑하는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바이오메디칼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에 게재됐다. 마이크로홀 전극 배열은 기판 위에 마이크로홀을 형성하고 각 홀 안에 전극을 배치하는 기술이다. 해당 전극은 뇌 조직과 직접적으로 접촉해 신경 세포의 전기적 활동을 감지하고 기록할 수 있다. 연구팀은 CMOS 위에 4096개 마이크로홀 전극을 배열하는 방식으로 칩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해당 칩에 배양된 쥐의 신경세포를 도포한 후 대규모 병렬 세포 내 측정(Massively parallel intracellular record
[더구루=홍성일 기자] SK텔레콤(SKT)의 인공지능(AI) 검색 파트너 퍼플렉시티(Perplexity)가 중국 공산당 검열을 무력화시킨 딥시크(DeepSeek)-R1을 선보였다. 퍼플렉시티는 이번 조치로 딥시크-R1을 제약하던 주요 문제를 해결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퍼플렉시티는 지난 18일(현지시간) 딥시크-R1의 사후 학습(post-trained) 버전 'R1 1776'를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퍼플렉시티는 허깅페이스 레포에서 모델 가중치를 다운로드하거나, 소나 API(Sonar API)를 연결하면 R1 1776를 이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퍼플렉시티는 R1 1776을 개발한 이유에 대해서 "딥시크-R1은 완전 개방형 거대언어모델(LLM)로 GPT o1이나 o3-미니에 근접한 성능을 발휘한다. 하지만 유용성을 제한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표적으로 중국 공산당의 검열을 받은 주제에 대한 응답 거부"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딥시크-R1의 강력한 추론 능력을 제대로 활용하기 위해 편향성, 검열 문제를 완화해야했다"고 덧붙였다. 퍼플렉시티는 R1 1776 구축을 위해 전문가를 고용해 중국 공산당에 의해 검열된다고 알려진 약
[더구루=정등용 기자] 양자컴퓨터 기업 아이온큐(IonQ)가 메릴랜드 주에 계획하고 있는 본사 이전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메릴랜드 주가 약속한 자금 지원이 제때 이뤄지지 않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워싱턴 비즈니스 저널(Washington Business Journal)에 따르면 토마스 크레이머 CFO(최고재무책임자)는 “‘양자 수도(Capital of Quantum)’ 이니셔티브에 대한 메릴랜드 주정부의 자금 지원이 실현되지 않을 경우 메릴랜드를 떠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아이온큐는 지난달 메릴랜드 대학교와 파트너십을 맺고 10억 달러(약 1조4600억원) 규모의 '양자 수도 이니셔티브'를 발표했다. 아이온큐의 본사를 이전하는 것이 핵심이다. 메릴랜드 주립대 안에 양자 인텔리전스 캠퍼스를 설립하는 것이 골자다. 이 캠퍼스는 디스커버리 구역(Discovery District) 내 9290㎡(약 2810평) 지역에 데이터센터, 연구실, 사무실로 구성된다. 이를 위해 웨스 무어 메릴랜드 주지사는 주의회에 1000만 달러(약 140억원)의 예산을 신청해놓은 상황이다. 무어 주지사는 이달 초 아이온큐 본사에서 673억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연구팀이 '1만 배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차세대 광섬유 케이블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새로운 광섬유 케이블 기술을 이용한 의학 분야 적용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상하이 과학기술대학교(USST) 연구팀은 회절 신경망(diffractive neural networks) 기술을 적용한 광섬유 케이블을 개발했다. 이번 연구는 난징 동남대학교, 시드니 공과대학교 연구진과 공동으로 진행됐으며 국제 학술지 '네이처 포토닉스(Nature Photonics)'에 게재됐다. 광섬유 케이블에는 단일 모드 케이블과 다중 모드 케이블이 있다. 단일 모드 광섬유 케이블은 한 가지 광 신호만 전송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광 신호가 통과하는 코어의 직경이 작아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도 비싸다. 또한 대역폭 확장성도 다중 모드 케이블에 비해 떨어진다. 하지만 단일 신호를 전송하는 만큼 장거리 통신에 유리하고 신호간 산란과 간섭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다중 모드 광섬유 케이블은 여러 광 신호를 한 번에 전송할 때 사용하며 단일 모드 케이블에 비해 코어 직경이 넓고 제조 공정이 단순하다. 이에 제조 비용도 상
[더구루=홍성일 기자] 거대언어모델(LLM) 딥시크(DeepSeek)가 글로벌 시장에서 우후죽순처럼 터지고 있는 개인정보 유출 논란에도 불구하고 중국 내에서 만큼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딥시크가 낮은 추론 비용을 자랑하는 만큼 범용적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아 중국 내 확산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보고있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가전제품 기업 스카이워스(Skyworth)는 자사 스마트TV에서 딥시크 R-1 모델 서비스를 출시했다. 스카이워스는 자체 스마트TV 운영체제(OS)인 '쿠카이 AI OS(Kukai AI OS)'에 딥시크 R-1 모델을 연동하는 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카이워스는 딥시크 R-1 서비스를 통해 중국어 방언은 물론 애매한 질문을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중국은 56개 민족으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로, 중국어 자체도 다양한 방언이 존재한다. 일부에서는 중국 내에 129종의 방언이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7대 방언'이 대표적으로 거론된다. 딥시크 R-1은 훈련 과정에서 다양한 중국어 방언을 학습한 것으로 알려졌다. 스카이워스는 애매한 질문을 처리할 수 있게 됐다는 것에 대해서는 TV가 문맥을 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텔이 프로그래머블 반도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자회사 알테라(Altera) 매각을 두고 협상에 돌입했다. 인텔은 심각한 자금난으로 인해 자산 매각에 속도를 내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블룸버그는 18일(현지시간) 인텔이 사모펀드인 실버 레이크 매니지먼트(Silver Lake Management)와 알테라 지분 매각 협상을 진행 중이라고 보도했다. 실버 레이크 매니지먼트는 알테라 지분 인수 숏리스트에도 포함됐던 사모펀드다. 인텔이 밝힌 숏리스트에는 △래티스세미컨덕터 △아폴로 △베인 캐피털 △프란시스코 파트너스 등도 포함됐다. 실버 레이크 매니지먼트는 1996년 출범한 사모펀드다. 과거 함브레치 앤드 퀴스트(Hambrecht & Quist, H&Q)에서 기술 부문 은행업을 담당했던 짐 데이비슨(Jim Davidson), 리버레이트 테크놀로지 최고경영자(CEO) 출신의 데이비드 루(David Roux), 인터그랄 캐피탈 파트너스 대표 로저 맥나미(Roger McNamee), 빌 클린턴 행정부에서 경제, 의료정책 고문을 맡았던 글렌 허친스(Glenn Hutchins) 등이 공동설립했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연방군이 LIG넥스원이 인수한 미국 고스트로보틱스의 사족보행 로봇 '비전60'을 정찰용으로만 운용하겠다는 계획을 공식화했다. 최근 미군을 중심으로 로봇의 무기화가 잇따라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독일군의 결정이 향후 세계 각국의 '로봇개' 도입 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독일 경제지 하이제(Heise)에 따르면 연방군은 이 매체가 비전60의 무기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보낸 질의서에 "비전60에 대한 무장 계획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고 공식 답변했다. 이어 "비전60은 시각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장애물을 탐지하고 필요시 라이다(LIDAR) 센서를 활용해 지도를 작성할 수도 있다"며 "무장 기능이 아닌 정찰 및 감시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기존의 바퀴나 궤도를 사용하는 무인 차량과 달리 사족 보행 로봇은 산악지형이나 다층 건물에서도 기동성을 확보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고 덧붙였다. 독일 연방 군비, 정보 기술 및 지원청(BAAINBw)은 작년 9월 튀링겐에 위치한 보안전문 회사 ATC SiPro를 통해 고스트로보틱스에 비전60 4대를 발주했다. 공급가는 공개되지 않았다. 연방군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공군이 기존 '군용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페이스X의 군사용 군집위성 시스템인 '스타실드(Starshield)'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스타실드는 스페이스X 스타링크 위성을 기반으로 보안을 강화하고 정찰, 미사일 경보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 소속 케빈 크라이머(Kevin Cramer) 상원의원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진행된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공군이 국방부 산하 우주개발청(SDA)의 T2TL(Tranche 2 Transport Layer)·T3TL(Tranche 3 Transport Layer) 위성 조달을 취소하고 스페이스X 위성(스타실드)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다"고 밝혔다. 케빈 크라이머 의원의 이같은 발언에 미국 공군은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T2TL와 T3TL에 대해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없다"며 "2026년도 예산 심의 과정에서 모든 획득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미국 공군이 기존 T2TL와 T3TL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타실드 도입을 검토하기로 알려진 것은 예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 공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