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대만 반도체 회사가 SK오션플랜트과 LS전선이 개발에 참여한 대만 해상풍력발전소에서 전력을 공급받는다. [유료기사코드] 21일 업계에 따르면 덴마크 코펜하겐 인프라스트럭처 파트너스(Copenhagen Infrastructure Partners, 이하 CIP)는 최근 대만 반도체 회사인 미디어텍과 펑미아오(Fengmiao) 1 해상풍력발전소에 대한 전력 구매 계약(PPA)을 체결했다. 계약에 따라 미디어텍은 코펜하겐 오프쇼어 파트너스(Copenhagen Offshore Partners, COP)가 개발 중인 펑미아오 1 해상풍력발전소에서 전력을 구매한다. 펑미아오 해상풍력사업은 타이중 항구 근해에 건설되는 해상풍력발전 프로젝트이다. 총 3차로 1.8GW의 설치 용량을 갖도록 건설된다. 각각 15MW 용량의 풍력 터빈 33기가 설치될 예정이다. 올해 건설을 시작하는 500MW 규모의 펑먀오 1 해상풍력발전은 2027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한다. 하부구조물인 재킷 기초는 SK오션플랜트가, 해저케이블은 LS전선이 설치한다. CIP 측은 "미디어텍은 대만 집적회로(IC) 설계 혁신의 글로벌 리더로서, 우리의 비전을 공유하는 파트너가 돼 자랑스럽다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최대 열차 제작업체 중처그룹(CRRC)이 브라질 상파울루에 열차 생산 기지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예상 투자 규모는 10억 달러(1조4665억 원)에 달한다. 중남미 철도시장을 놓고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가운데 현대로템 등 경쟁사는 이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21일 상파울루 주정부 등에 따르면 CRRC는 상파울루 주정부와 아라라콰라 지역내 열차 공장 설립을 놓고 협의하고 있다. 양측간 합의는 연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프로젝트 규모는 10억 달러에 달한다. CRRC는 기존 철도 차량 제조사였던 브라질 엔지니어링기업 IESA의 기존 시설 활용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IESA는 지난 2014년 재정 악화로 인해 파산 보호 신청, 관련 절차를 밟고 있다. CRRC는 아라라콰라 지역의 지정학적 위치를 장점으로 꼽고 이곳을 중남미 생산거점으로 선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라라콰라는 워싱턴 루이스(Washington Luís) 고속도로와 루모 로지스티카(Rumo Logística) 철도 노선과 인접해 있어 물류와 생산 측면에서 최적의 입지를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CRRC가 이곳을 낙점, 최종 공장 설립까지 이어질 경우 현지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의 북미이노베이션센터 'LG 노바(LG NOVA)'가 데이터센터의 전력 관리·컴퓨팅 최적화 전략을 공유한다. 데이터센터의 효율성과 안정성 개선이 업계 핵심 과제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 '에너지 오케스트레이션(Energy Orchestration)'을 통한 최적의 솔루션을 제시, 시장 경쟁력을 강화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LG노바가 육성중인 스타트업 ‘뉴에너지오케스트레이션벤처(New Energy Orchestration Venture)의 워니 박(Wannie Park) 최고경영자(CEO)가 오는 26일(현지시간)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개최되는 에너지 솔루션 컨퍼런스 '스마트 에너지 서밋(Smart Energy Summit)'에서 연사로 나선다. 데이터센터의 에너지 수요 증가에 대응하는 전력 관리 혁신과 에너지 오케스트레이션의 중요성을 다룰 예정이다. 박 CEO는 '데이터 센터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전력 오케스트레이션의 물결: 에너지를 경제적 가치로 전환하기 위한 컴퓨팅 잠재력 해제(A New Wave of Power Orchestration Around Data Centers: Unlocking Compute Potenti
[더구루=윤진웅 기자] 자동차 부품 생산 업체 '두올'이 멕시코 자동차 부품 공장 건설을 위한 '첫 삽'을 떴다. 멕시코를를 비롯한 북미를 아우르는 전장 사업 본격화를 위해 현지 진출을 확정한 지 약 1개월 만이다. 21일 멕시코 코아우일라주 주정부에 따르면 두올은 지난 19일(현지시간) 코아우일라주 몽클로바 리브라미엔토 노르테 산업단지에서 자동차 부품 공장 기공식을 진행했다. 이날 기공식에는 조인희 두올 대표이사를 비롯해 마놀로 히메네스 살리나스 코아우일라주 주지사 등이 참석했다. 카를로스 비야레알 페레스 몽클로바 시장과 루이스 올리바레스 코아우일라주 경제개발부 장관도 참석했다. 두올은 총 3억 페소(한화 약 76억 원)를 투자해 축구장 2개 정도 크기인 1만4000㎡ 규모의 자동차 부품 공장을 설립할 계획이다. 오는 9월 시범 생산에 이어 내년 1월 100% 풀가동을 목표하고 있다. 구체적인 생산 부품 종류와 생산 규모는 따로 밝히지 않았다. 두올은 생산 과정의 품질과 효율성을 보장하기 위한 전문 인력 선발도 병행하고 있다. 이에 따른 현지 일자리 창출 효과는 하반기 300개에서 내후년인 2027년 1000개까지 늘어날 전망이다. 두올의 멕시코 진출은 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야심 차게 출범시켰던 대체불가토큰(NFT) 마켓플레이스 'LG아트랩(LG Art Lab)'이 3년 만에 철수한다. NFT 열풍에 발맞춰 시장에 진입했으나 낮은 사용자 유입과 NFT 시장 침체 속에서 끝내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LG전자는 20일(현지시간) LG아트랩 공식 웹사이트를 통해 "NFT 시장이 계속 변화함에 따라 플랫폼을 종료하기로 결정했다"며 "오는 6월 17일부로 서비스를 완전히 중단한다"고 밝혔다. 기존 이용자들의 NFT 자산 보호를 위해 4월 30일까지 자동으로 NFT를 사용자 지갑으로 전송하며, 고객 지원은 7월 18일까지 유지된다. LG아트랩은 LG전자가 지난 2022년 OLED TV 콘텐츠·서비스 확장해 고객에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야심차게 선보인 플랫폼이다. 자체 개발한 NFT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전문가가 엄선한 NFT 예술 작품을 감상하고 거래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포부와 달리 NFT 시장의 침체와 제한적인 운영 방식, 낮은 사용자 유입 등으로 인해 기대했던 성과를 내지 못했다. 특히 LG아트랩은 미국 전용으로 출시되면서 글로벌 확장이 어려웠고 NFT 시장의 하락세
[더구루=길소연 기자] 국내 최대 컨테이너선사 HMM이 이라크 해운 물류의 첫 발을 내디뎠다. 한국과 이라크를 잇는 새로운 해운 노선을 개설해 중동 운송 서비스를 확대한다. 21일 이라크 항만청에 따르면 최근 1만6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선 'HMM 다온(DAON)'호가 이라크의 움카스르(Qasr) 항구에 도착했다. 파르한 무흐신 알-파르투시(Farhan Al-Fartousi) 이라크 항만청장은 "움카스르 항구에 처음으로 HMM의 컨테이너선 '다온'호가 도착하면서 새로운 해상 노선이 개통됐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항해는 이라크와 한국 간의 새로운 무역 파트너십 개발의 시작을 의미한다"며 "앞으로 이라크 항구를 통한 상품과 물자의 흐름이 더욱 활발해져 이라크의 무역 활성화와 국가 경제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움카스르항은 이라크에서 가장 크고 가장 활발한 상업 항구 중 하나이다. 바스라 남쪽에 위치하며 대형 선박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에서 출발한 대부분의 화물은 아랍에미리트(UAE)의 자발 알리(Jabal Ali)항을 거친 다음 움카스항을 통해 이라크로 들어온다. 움카스르항의 물동량은 2020년 기준으로 약 25만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한국조선해양이 노르웨이 선급협회(DNV)와 선박용 고체산화물 연료전지(SOFC)의 이산화탄소(CO2) 포집 기술을 개발한다. HD한국조선해양은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을 SOFC에 적용해 해양 탈탄소화를 앞당긴다. 21일 DNV에 따르면 지난 12일 부산에서 HD한국조선해양과 수소연료전지사업을 총괄하는 자회사 HD하이드로젠과 함께 SOFC 탄소 포집을 위한 압력 순환 흡착(PSA) 기술 개발 및 검증을 위한 산업 공동 프로젝트(JIP)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력으로 HD한국조선해양과 HD하이드로젠은 PSA 기반 탄소 포집 기술을 선박 발전용 SOFC에 적용하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DNV는 해당 기술의 적용 안정성과 국제 규정 준수 여부 등을 검증한다. 이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기존 선박 추진 및 발전 엔진을 SOFC 시스템으로 대체하여 해상 탄소 배출을 크게 줄이는 것이다. PSA는 탄소 포집 기술 중 하나로, 흡착제를 사용해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과정에서 가스가 흡착제에 흐르면 CO2가 흡착되고, 그 후 흡착제로부터 CO2가 떨어져나오게 된다. PAS는 다른 방식에 비해 장치와 운전이 간단하고 에너지효율이 우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브라질 고객 접점 확대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연말까지 현지 주요 지역에 브랜드 쇼룸 5곳을 오픈한다. 쇼룸 확장과 더불어 현지 생산 기지 마련에도 속도를 높이고 있다. 21일 기아 브라질법인에 따르면 연말까지 현지 쇼룸을 61개까지 늘린다. 라인업 확대로 판매 네트워크와 애프터 서비스를 강화한다는 전략에 따른 것이다. 현재 브라질 쇼룸은 55개이다. 지난 20일 브라질 북부 파라주 주도 벨렘에 신규 쇼룸을 오픈했다. 차량 전시와 정비 공간, 예비 부품 보관 창고 등을 두루 갖췄다. 기아는 벨렘에 이어 추가 지역을 살피고 있다. 벨루오리존치와 카시아스두술, 포르탈레자 등 주요 지역을 놓고 검토하고 있다. 현지 고객의 접근성을 최우선으로 쇼룸 위치를 결정할 방침이다. 기아는 쇼룸 확대와 더불어 현지 생산 기지 마련도 검토하고 있다. 현대차 브라질 공장을 비롯한 현지 자동차 조립공장과 협력해 별도 생산 라인을 구축하거나 우루과이 자동차 위탁생산업체 노르덱스(Nordex) 공장 위탁 생산을 놓고 저울질하고 있다. 브라질 당국이 하이브리드 차량에 대한 '수입관세 폭탄'을 예고한 데 따른 대응 차원이다. 당국은 올해 수입관세 30% 적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2종이 미국에서 패밀리카로써 성능을 인정받았다. 북미 전략형 SUV 모델 텔루라이드는 6년 연속 최고 패밀리카로 꼽혔으며, 전기차 모델 EV9은 처음으로 최고 패밀리 전기차 칭호를 얻었다. 기아 미국법인은 텔루라이드가 US뉴스&월드리포트 선정 '2025 최고 패밀리 카 어워즈'(2025 BEST CARS FOR FAMILIES AWARDS)에서 '가족용 최고 3열 중형 SUV'(Best 3-Row Midsize SUV for Families)로 꼽혔다고 21일(현지시간) 밝혔다. 공간·편의성과 실용성, 안전성 등 여러 면에서 최상의 조합을 제공하는 차라는 평가를 받으며 6년 연속 최고득점을 획득했다. EV9의 경우 '가족용 최고 전기차'(Best Electric Vehicle for Families)로 선정됐다. EV9는 에너지 효율성이 높고 충전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을 인정받았다. 특히 브랜드 전용 전기차 특유의 아이덴티티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호평을 받았다. 특히 이들 모델은 최종 결선에서 모두 현대차 모델과 접전을 펼쳤다. 텔루라이드는 현대차 팰리세이드, EV9은 현대차 아이오닉5를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전자가 아르메니아의 대표 e스포츠팀 '비르투스 프로(Virtus.pro)'를 후원한다. 게임단 선수들에 최신 제품들을 제공하고 브랜드 홍보 활동도 펼친다. 유명 e스포츠팀의 인지도에 힘입어 독립국가연합(CIS) 시장을 공략한다. 20일 비르투스 프로에 따르면 이 팀은 최근 삼성전자와 후원 계약을 체결했다. 비르투스 프로는 2003년 창당한 e스포츠팀이다. 당초 러시아 게임단이었으나 지난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모회사와 러시아 정부의 연관성이 제기되며 활동이 불가능해졌다. 이후 아르메니아 투자자로부터 투자 유치를 받아 아르메니아 게임단으로 활동을 재개했다. 카운터스트라이크2, 도타2, 레인보우 식스 시즈 등을 주력 종목으로 삼고 있으며, 아르메니아 최고 e스포츠팀으로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삼성전자는 게이밍 모니터 '오디세이'와 TV,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선수들에 최신 제품을 지원한다. 1년 동안 공동 마케팅도 펼치며 CIS 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를 높인다. 삼성전자는 게이밍 특화 제품들을 효과적으로 홍보하고자 e스포츠를 줄곧 활용해왔다. 지난 2020년 스웨덴 e스포츠팀 갓센트(GODSENT)와 손잡았으며, 이듬해 잉
[더구루=오소영 기자] OCI홀딩스가 미국 태양광 사업 자회사인 미션솔라에너지(Mission Solar Energy, 이하 MSE)의 부지에 독자적으로 태양광 셀 공장을 짓는다고 20일 밝혔다. 투자 금액은 총 2억6500만 달러(약 3840억원)다. 오는 2026년 상반기 1GW의 태양광 셀 상업 생산을 시작하고, 하반기 점진적 증설을 통해 총 2GW 이상의 생산능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OCI홀딩스는 말레이시아 자회사 OCI TerraSus(구 OCI M)의 폴리실리콘을 기반으로 신규 법인의 셀로 이어지는 '비중국 태양광 서플라이 체인'을 구축하게 된다. OCI TerraSus의 태양광용 폴리실리콘은 말레이시아의 친환경 수력발전을 기반으로 RE100 요건을 충족한다. 미국 관세국경보호청(CBP)에 의해 강화되고 있는 위구르 강제노동 방지법(UFLPA)을 준수하고 있어, 글로벌 고객사들에게 미국 수출에 용이한 제품으로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미국 정부의 인센티브 확보로 수익성 향상도 기대된다. 미국 셀 제조사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라 1W당 4센트의 첨단세액공제(AMPC)를 받게 된다. 고객사의 경우 해당 셀과 같이 미국산 부품을 일정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세계에서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기업 ‘톱5’에 포함되며 한국 기업의 저력을 뽐냈다.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의 기술 리더십을 각인시키며 경쟁 우위를 강화했다. 20일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가 최근 발표한 작년 국제특허출원(PCT) 통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각각 4640건, 2083건을 출원해 2, 4위에 올랐다. 삼성전자는 2년 연속 2위 자리를 수성했고, LG전자는 지난해 6위에서 2계단 뛰었다. 삼성전자는 전년(3924건) 대비 18.2%(716건) 많은 특허를 출원했다. 이는 10위권 내 기업 중 가장 큰 증가폭이다. 특히 삼성전자는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줄곧 2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는 기술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 LG그룹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LG전자, LG에너지솔루션, LG화학 등 주요 계열사 3사가 50위권에 드는 쾌거를 이뤘다. LG전자가 6위를, LG에너지솔루션(1452건)과 LG화학(477건)이 각각 13위와 44위를 기록했다. 3사 모두 순위가 올라가며 글로벌 시장에서 영향력을 입증했다. 디자인 특허에서는 지난해와 달리 LG전자만 5위권을
[더구루=오소영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게이츠가 설립한 미국 테라파워가 원전 설비 공급사를 추가했다. 두산에너빌리티와 HD현대에 이어 미국 '미리온 테크놀로지스(Mirion Technologies, 이하 미리온)'를 파트너로 선정했다. 원전 안전과 관련된 주요 설비들을 공급받아 소듐냉각고속로(SFR) '나트륨'에 활용한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리온에 따르면 이 회사는 최근 테라파워와 방사선 감시시스템(RMS)·원전 계측 시스템(XIS)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RMS는 방사선 준위를 지속적으로 감시해 종사자의 피폭을 관리하고 방사성 물질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핵심 설비다. 발전소 내 주요 지역의 방사선 준위를 측정하는 지역감시기(Area Monitor), 계통내 방사성 물질을 모니터링하는 공정감시기(Process Monitor), 외부로 방출되는 방사성 물질을 감시하는 유출물감시기(Effluent Monitor)를 포괄한다. XIS는 원전의 출력 수준을 측정해 안정적인 발전소 운영을 지원하는 중요한 설비다. 두 설비는 테라파워가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건설 중인 나트륨에 설치된다. 테라파워는 작년 6월 와이오밍주 화력발전소 인근 부지에 345㎿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에 엔비디아(NVIDIA)의 '짝퉁' 그래픽 카드가 등장했다. 성능이 떨어진 그래픽 카드를 한 단계 윗 버전으로 리마킹해 편법으로 유통한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테크미디어 유니코의 하드웨어(Uniko's Hardware)에 따르면 중국에 가짜 'RTX 4090' 그래픽 카드가 발견됐다. 발견된 제품은 RTX 4090으로 알려졌지만 실 제품은 RTX 3090인 것으로 드러났다. 가짜 그래픽 카드는 중국 OTT 플랫폼 빌리빌리(bilibili)에 게재된 칩 분해 영상에서 발견됐다. '중국판 유튜브'로 불리는 빌리빌리에 이용자가 그래픽 카드를 분해, 수리하는 모습을 녹화해 올린 것. 영상에는 중국어 설명과 함께 문제의 그래픽 카드를 손으로 분해, 수리하는 모습이 담겼다. 외관을 점검하는 것부터 방열판과 그리스를 제거하고 내부를 점검하는 과정이 모두 나와있다. 그러다 칩 주변에 배치된 다층 세라믹 캐퍼시터의 레이아웃이 공개됐는데 이 레이아웃으로 RTX 4090이 아니라 RTX 3090인 것으로 확인됐다. 주변에 배치된 박스와 외관은 'RTX 4090'이고, 칩 자체의 표시도 4090을 준수하고 있어 리마킹을 통한 위조임을 알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