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경영전문가 영입을 통한 북미 리더십 강화 카드를 꺼내들었다. 다양한 분야에서 커리어를 쌓은 베테랑을 연달아 발탁하며 북미 영토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살바토레 이쪼(Salvatore Izzo)를 미국 신임 디스트릭트 매니저(District Maneger)로 선임했다. 살바토레 이쪼 신임 디스트릭트 매니저는 신규 사업 기회 발굴, 재무 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하게 됐다. 살바토레 이쪼 신임 디스트릭 매니저는 현지 외식·접객 분야에서 20년에 가까운 경력을 쌓은 업계 베테랑으로 통한다. 그는 지난 2006년 미국 볼링 업체 린덴 레인스(Linden Lanes)에 입사해 근무하다 지난 2014년 미국 볼링 엔터테인먼트 기업 볼레오(Bowlreo)로 이직해 뉴욕주, 펜실베니아주 지역 매니저(Area Manager)를 지냈다. 지난 2021년 미국 뉴저지주를 중심으로 사업을 펼치는 토미스 태번+탭(Tommy’s Tavern + Tap)으로 자리를 옮겨 제너럴 매니저(General Manager)를 역임했다. 고객들에게 차별화된 미식, 나이트라이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개선 작업을 주도했다.
[더구루=한아름 기자] CJ푸드빌 뚜레쥬르가 인도네시아 현지 배달앱에 입점 유통망 확대에 나섰다. 오프라인 매장 위주로 운영하던 뚜레쥬르가 배달 앱을 통해 'K-베이커리'의 위상을 알리고 판매 채널 다각화와 고객 접점을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30일 인도네시아 △토코피디아(Tokopedia) △쇼피(Shopee) △블리블리(Blibli) 등 배달앱은 뚜레쥬르와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뚜레쥬르는 토코피디아·쇼피·블리블리 배달 앱에서 △케이크 △쿠키 선물세트 △스폰지케이크 △마카롱 등 베이커리를 판매한다. 토코피디아와 쇼피, 블리블리가 인도네시아 3대 배달앱으로 향후 뚜레쥬르의 브랜드 인지도와 매출 향상에도 기대된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모르도르 인텔리전스(Mordor Intelligence) 조사 결과 지난해 토코피디아와 쇼피의 인도네시아 음식 배달 시장 점유율을 각각 31%, 25%다. 블리블리의 시장 점유율은 10%다. 이들 업체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도 수억명에 달한다. 토코피디아와 쇼피는 각각 8000만명, 1억3000만명이다. 블리블리(3000만명)과 합치면 2억4000만명에 달한다. 뚜레쥬르가 인도네시아 시장 확대에 힘을 쏟고 있는 모습이다. 앞
[더구루=한아름 기자] 도미노피자가 일본에서 K푸드 전도사로 나선다. 현지에서 K푸드 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다는 점에 착안해 여름 한정 메뉴로 '비빔밥 피자'를 선보인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도미노피자가 다음달 1일부터 8월 8일까지 K-푸드 여름 시리즈를 출시한다. 한류 콘텐츠를 통해 K푸드에 관심이 높은 현지 분위기를 반영해, 한국 대표 메뉴인 △한국 비빔밥 피자 △프라이드치킨&뿌링클 파우더 피자 △프라이드치킨&까망베르 치즈소스 피자 등 K피자 3종과 K사이드 메뉴 4종을 판매한다. K사이드 메뉴는 △양념치킨 △모찌 모찌 치즈볼 △뿌링클 프라이드치킨 △뿌링클 감자튀김로 구성돼 있다. 도미노피자는 비빔밤 피자를 대표 메뉴로 현지 소비자 입맛을 훔친다는 계획이다. 비빔밥을 올린 피자는 도미노피자 일본법인이 직접 방한해 수개월간의 연구 끝에 개발된 메뉴다. 피자 도우 위에 버터라이스와 나물, 숯불 불고기, 슬라이스 달걀과 고추장소스를 올려 감칠맛을 살렸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글로벌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K푸드 메뉴를 선보인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피자헛·모스버거 등이 K푸드 열풍에 탑승하며 일본에 한정 메뉴를 선보인 바 있다. 이들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미국 뉴저지주 호보컨(Hoboken) 지역에 1호 매장을 오픈했다. 앞으로도 미국 전역에 점포를 꾸준히 개설하며 오는 2030년 북미 1000호점 비전 실현을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파리바게뜨는 뉴저지주 호보컨에 있는 스티븐스 공과대학교(Stevens Institute of Technology) 인근에 신규 매장을 열었다. 호보컨에 들어선 첫번째 파리바게뜨 매장이다. 파리바게뜨 호보컨점은 레스토랑, 카페 등이 즐비한 대학가 상권에 자리를 잡았다. 뉴저지주와 뉴욕주를 연결하는 항구, 호보컨 역사 박물관, 대형마트 등도 가까워 유동인구가 풍부해 집객에 유리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파리바게뜨는 '베이커리 카페' 콘셉트를 적용해 파리바게뜨 호보컨점을 조성했다. 패스트리, 케이크 등 다양한 베이커리 메뉴와 커피 등의 음료를 선보이고 있다. 소비자가 원하는 빵을 직접 고를 수 있는 중앙 진열 방식을 도입했다. 점포 한쪽에 테이블과 의자 등을 설치해 매장을 방문한 고객들이 편안하게 빵과 커피를 즐길 수 있도록 했다. 파리바게뜨는 미국 전역에 가맹 사업을 확대하는 데 방침이다. 이달 초 워싱턴주 린우드에
[더구루=한아름 기자] 스타벅스 미국본사가 여름을 맞아 에너지 음료 포트폴리오를 확대한다. 기존 에너지 캔음료 '스타벅스 바야 에너지'(이하 바야 에너지)와 달리 이번에는 바리스타가 직접 만들어주는 메뉴로 차별성을 뒀다. 국내 출시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스타벅스는 미국에서 △멜론 버스트(Melon Burst) △트로피칼 시트러스(Tropical Citrus) △프로즌 트로피컬 시트러스 아이스드 에너지(Frozen Tropical Citrus Iced Energy) 총 세가지 에너지 음료를 론칭했다. 세 메뉴 모두 카페인과 비타민, 타우린이 포함돼 있다. 멜론 버스트·트로피칼 시트러스 2종은 매장에서 직접 주문 가능하다. 한정판 메뉴인 프로즌 트로피컬 시트러스는 스타벅스 애플리케이션(앱)에서만 주문할 수 있다. 스타벅스는 미국 현지 소비자 반응을 살핀 후 출시국을 확대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일각에선 스타벅스가 미래 먹거리로 에너지 음료를 꼽았다는 해석도 나온다. 실제 에너지 음료는 △현대인의 즉각적인 에너지 충전 △운동 전후의 에너지 보충제 등으로 활용되면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 조사기관 맥시마이즈 마켓 리서치(Maxim
[더구루=이연춘 기자] 미국에서도 로봇이 튀긴 교촌치킨을 맛볼 수 있게 된다.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가 전용 조리 로봇을 활용한 가맹점 운영 효율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연내에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운영 중인 미드월셔(Mid-Wilshire)점(1호점)과 로랜하이츠(Rowland Height)점(3호점) 등 직영 점포 2곳에 해당 로봇을 도입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24일 교촌에프앤비 글로벌미주∙신사업부문 미주운영개발팀에 따르면 미국 미드월셔(Mid-Wilshire)점은 2대, 로랜하이츠(Rowland Height)점은 1대를 발주했으며, 빠르면 연내 설치 및 양산 테스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발주한 로봇은 최근 새롭게 출시된 개선형 모델로, 주방 내부 동선 및 조리 상황별 맞춤형 동작 설정, 원격 접속 등 전체적인 소프트웨어 기능이 업데이트 돼 사용 편의가 더욱 높다. 튀김 바스켓을 들어 옮기는 '그리퍼'에 위치 감지 센서를 장착하는 등 기존 모델에 대한 가맹점주들의 불편사항을 적극 개선했다는 전언이다. 교촌은 지난 2021년 로봇 제조기업 '뉴로메카'와 업무협약을 맺고 1차 튀김~조각성형(치킨 조각에 붙은 불필요한 튀김 부스러기를 제거하는
[더구루=한아름 기자] 굽네치킨이 말레이시아 시장 공략을 위해 메뉴 다변화 카드를 꺼내 들었다. 현지 소비자 입맛을 사로잡아 충성고객을 확보하고 브랜드 인지도를 이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사이드 메뉴 개발에 공을 들이는 모양새다. 사이드 메뉴는 현지에서도 뜨거운 반응을 보이고 있어 향후 굽네치킨의 상승 동력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굽네치킨이 말레이시아 매출 톱5 메뉴로 △핫치킨 △UFO 치즈 퐁듀 △볼케이노 치즈떡볶이 △볼케이노 볶음밥 △짬뽕라면 등을 꼽았다. 사이드 메뉴의 비중이 전체 매출 상위권의 80%를 차지하고 있다. 사이드 메뉴가 굽네치킨의 말레이시아 매출을 책임지고 있는 셈이다. 2위에 오른 UFO 치즈 퐁듀는 치킨 위에 굽네치킨이 자체 개발한 치즈 소스를 올려 먹는 재미 요소가 가미된 제품이다. 치즈 소스에는 체다 치즈와 모짜렐라 치즈 등이 함유돼 있어 고소하고 짭짤한 맛을 자아낸다. 치킨의 바삭함과 조화를 이뤄 10·20대 젊은 층에 높은 인기를 끌고 있다는 평가다. 3위부터 5위까지 모두 K-푸드에 기반을 뒀다는 점도 눈에 띈다. 소비자 선택지를 다양하게 한 점이 시장에 먹혀들었다는 분석이다. 굽네치킨은 경쟁력 강화 전략의
[더구루=이연춘 기자] 복합쇼핑몰 퍼블릭가산에 최근 아방베이커리, 카페 노티드 등이 잇따라 입점하며 디저트 성지로 떠오르고 있다. 오는 8월까지 자리를 잡게 될 업체를 포함하면 F&B 매장의 30%가 디저트 맛집이 포진하게 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카페 ‘노티드’가 이달 1일, 성수, 역삼에서 인기를 모은 ‘아방베이커리’가 지난달 31일 서울 서남부권 최초로 퍼블릭가산에 문을 열면서 오픈런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성수동 핫플로 이름난 수제 쿠키 ‘구욱희씨’와 수플레 전문점 ‘5to7‘도 이달 문을 열면서 열기를 더했다. 수제 쿠키를 선보이는 구욱희씨는 예능 방송을 통해 유명인들이 즐겨찾는 맛집으로 소개됐을 정도로 폭발적인 인기를 끄는 곳이다. 수플레 케이크 성지로 통하는 5to7 또한, 성수동과 강릉 2개 지점에 이어 3번째 지점을 퍼블릭가산으로 낙점해 더욱 관심을 모으는 상황이다. 성수동뿐만 아니라 잠실의 베이글 맛집 ‘킴스델리마켓’ 등 이름난 디저트 성지들이 8월까지 오픈할 예정이다. 식료품점 컨셉이 특징인 킴스델리마켓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영감을 받은 곳으로, 이국적인 매장 분위기와 독특한 디자인의 빵들로 인기를 모으며 퍼블릭가
[더구루=김형수 기자] 미국 IT 대기업 IBM 출신이 파리바게뜨와 현지 가맹 계약을 체결해 이목이 쏠린다. 앞서 4성급 미국 호텔 오너, 현지 대형 외식 프랜차이즈 업체 임원 출신 인사 등 비즈니스 전문가들이 연달아 파리바게뜨를 가맹 파트너로 선택하면서 파리바게뜨의 현지 프랜차이즈 사업 경쟁력이 입증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19일 파리바게뜨에 따르면 지난 2000년부터 20년 가까이 IBM에서 근무하며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업무를 담당한 란 마(Lan Ma)와 가맹계약을 체결했다. 란 마는 파리바게뜨와 맺은 가맹계약을 토대로 펜실베니아주 최대 도시 필라델피아 북쪽에 위치한 베들레햄 지역에 파리바게뜨 매장을 열 예정이다. 다만 구체적 개점 일정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다. 파리바게뜨 매장은 베들레헴에 자리한 역사적 명소 베들레헴 호텔 인근에 조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베들레헴 호텔은 윈스턴 처칠(Winston Churchill) 전 영국 총리, 존 F. 케네디(John F. Kennedy) 전 미국 대통령을 비롯한 국가 정상과 14대 현 달라이 라마(Dalai Lama) 등이 묵으면서 유명해진 호텔이다. 박물관, 미술관, 강변공원 등도 인근에 자리하고 있어 유동 인구
[더구루=한아름 기자] 제너시스BBQ그룹이 일본에 디저트 포트폴리오를 강화한다. BBQ의 매출 효자 '황금알 치즈볼'의 라인업에 추가해 현지 소비자 입맛 잡기에 나선다. 황금알 치즈볼의 국내 매출은 지난 2019년부터 4년간 지속 상승하고 있는 데다 해외에서도 마니아층이 두텁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BBQ는 오는 30일까지 일본에서 황금알 치즈볼 할인 이벤트를 진행, 현지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한다. 이 기간 황금알 치즈볼(3개입 기준) 판매가는 300엔이다. 기존 가격 390엔보다 23% 저렴하다. 황금알 치즈볼 6개입과 감자튀김이 포함된 세트는 1000엔에 판매된다. BBQ가 일본에 디저트 신제품 황금알 치즈볼 △플레인 △딸기 △초코 등을 출시한다. 황금알 치즈볼은 찹쌀가루와 모짜렐라 치즈를 접목해 만든 디저트 제품으로, 황금 올리브유로 튀겨 바삭함·쫄깃함을 더했다. 앞서 황금알 치즈볼 매출 잠재력을 확인한 바 있다. 지난 2월 강원 동계 청소년 올림픽에서 외국인 고객을 대상으로 31종 메뉴를 판매한 결과 황금알 치즈볼이 가장 큰 호응을 얻었다. 지난해 10월에 문을 연 BBQ 베트남 다낭점에서도 황금알 치즈볼이 단박에 인기 메뉴로 선정됐다. BBQ는
[더구루=한아름 기자] CJ푸드빌이 뚜레쥬르 사업에 가속 페달을 밟는다. 베트남 베이커리 시장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매장 추가 출점을 위해 현지인 인재 채용을 본격화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뚜레쥬르가 다음달 5일까지 △하노이 △하이퐁 지역에서 매장 관리자 직책을 모집한다. 주요 업무는 △매장 운영 총괄 △위생 관리 등 매장 시설 점검 △서비스 품질 및 인력 관리 등이다. 이번 채용의 지원 조건은 식음료 회사에서 관리자 또는 점장으로 최소 2년 이상의 근무 경험이 있고 교대 근무 가능한 인재다. 영어 회화가 가능한 인재를 우대한다. 뚜레쥬르가 베트남 내 우수 인재를 적극 채용, 현지화 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소비자 만족도를 제고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이를 토대로 현지에서 대표 K-베어커리 지위를 이어간다는 것. 실제 뚜레쥬르는 매년 베트남에서 최소 5개씩 신규 매장을 출점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바 있다. 뚜레쥬르는 지난 2007년 베트남에 처음 문을 열고 K-베이커리 전파에 나섰다. 현재 베트남에서 37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현재 베트남 베이커리 점당 매출 1위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 뚜레쥬르는 베트남 베이커리 시장 성장성이 높다고 판단, 매출 성장을
[더구루=한아름 기자] CJ푸드빌 뚜레쥬르가 인도네시아에서 불닭 크로켓과 갈릭 치킨 크로켓 등 K-베이커리를 전파한다. K-푸드에 관심이 많은 현지 소비자의 입맛을 사로잡고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뚜레쥬르가 인도네시아에 K-베이커리 5종을 새롭게 선보인다. 신제품은 △불닭 크로켓 △갈릭 치킨 크로켓 △소보루 팥빵 △크랜베리 크림치즈빵 △소보루빵으로 구성돼 있다. 뚜레쥬르가 가장 마케팅에 힘주고 있는 제품은 크로켓 2종이다. 크로켓의 매운맛이 인도네시아 전통 양념 삼발(Sambal)과 닮아 현지 소비자 입맛에 잘 맞을 것이라는 판단에서다. 원물 조리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옥수수와 양파, 완두콩, 당근 등 다양한 야채에 다진 닭고기를 넣어 크로켓의 맛깔스러운 식감을 살렸다. 뚜레쥬르는 "크로켓 속 야채와 고기 등 원재료를 손상시키지 않고 원물 그대로의 조직감을 살려 씹었을 때 가득 차는 식감을 구현한 점이 특징"이라며 "현지 베이커리 시장에서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뚜레쥬르가 인도네시아에서 K-베이커리를 선보이는 배경은 차별화를 꾀하기 위함이다. 현지에 없는 제품을 선보이며 현지 소비자로부터 궁금증을 불러일으키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중국 시장 전용 6인승 전기 SUV '모델 Y L'을 출시했다. 테슬라는 모델Y L을 앞세워 중국 로컬 브랜드에 맞서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는 19일(현지시간) 모델Y L을 출시하고 판매에 돌입했다. 모델YL의 배송은 다음달 시작될 예정이다. 모델Y L은 중국 시장 최고 인기 모델인 모델Y의 롱바디 모델이다. 이를 통해 좌석을 3열까지 배치해, 탑승인원을 6명으로 늘린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테슬라 중국법인 측은 "휠베이스를 늘려 각 좌석마다 넉넉한 레그룸을 갖추고 있다"며 "좌석마다 전동 조절 시트와 열선 기능이 장착됐고, 2열 시트에는 전동 암레스트도 탑재됐다"고 소개했다. 또한 2열과 3열은 평평하게 접혀, 필요에 따라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테슬라 모델Y L의 1회 충전시 751km(CLTC 기준) 주행할 수 있으며,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데는 4.5초가 소요된다. 최고 속도는 시속 210km에 달한다. 중국 전기차 전문매체 CNEV포스트는 모델YL에 LG에너지솔루션에서 개발한 82kWh 삼원계 배터리(NMC)가 장착됐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모델YL을 33만90
[더구루=정예린 기자] 엔비디아가 오는 2027년부터 고대역폭메모리(HBM) 핵심 부품인 '베이스 다이'의 자체 생산을 추진한다. 기존 공급망 의존도가 줄어들면서 HBM 시장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대만 공상시보(CTEE)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7세대 HBM인 HBM4E부터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탑재할 계획이다. 초기에는 TSMC 3나노미터(nm) 공정을 적용해 소량 시험 생산을 진행하고, 점차 생산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는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HBM 생산 기업들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2027년 하반기부터는 엔비디아가 자체 맞춤형으로 설계한 베이스다이를 적용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2027년 하반기부터 어느 메모리 업체의 HBM 제품과 결합하더라도 엔비디아가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HBM 생산 기업 등 공급망 내 기업들의 일부 역할이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이번 전략 변화가 GPU와 HBM 시스템 통합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HBM4E부터는 단순 메모리 적층을 넘어, 최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