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투자 전문매체 더 모틀리 풀(The Motley Fool)이 AI(인공지능) 붐 속 도약할 원자력 관련주로 마이크로소프트와 오라클을 선정했다. 28일 더 모틀리 풀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와 오라클은 AI 데이터 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원자력 에너지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실제로 마이크로소프트는 최근 미국의 쓰리마일 아일랜드(Three Miles Island) 핵발전소와 20년간 전력을 공급받기로 계약을 체결했다. 데이터 센터 확장으로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다. 올초에는 핵 발전 가속화 책임자로 에린 헨더슨 박사를 임명했다. 테네시 밸리 전력 관리국에서 13년간 경력을 쌓은 헨더슨 박사는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 센터에 전력 공급을 하기 위해 소형 모듈 반응로와 마이크로 반응로의 글로벌 전략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는 생성형 AI 운영에 필요한 막대한 전기 수급을 충족하기 위해 원자력 발전소 사업도 시작했다. AI 가동에 필요한 전력 조달을 위해 SMR(소형모듈원전) 사업 승인 절차를 밟고 있으며, 미국 원자력 규제·라이선스 문서를 LLM(초거대 언어모델)에 훈련 시켰다. 오라클은 최대 3기의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캐피탈이 미국 항암제 개발 스타트업 858 테라퓨틱스(858 Therapeutics)에 투자했다. 858 테라퓨틱스는 저분자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확대하는 데 투자 자금을 사용할 계획이다. 858 테라퓨틱스는 26일(현지시간) 어비디티 파트너스가 주도한 시리즈B 투자 라운드를 통해 5000만 달러(약 660억원)를 조달했다고 발표했다. 미래에셋캐피탈은 △인사이트 파트너스 △알렉산드리아 벤처 인베스트먼트 △버산트 벤처스 △NEA △로고스 캐피탈과 함께 이번 투자 라운드에 주요 투자사 중 하나로 참여했다. 이번 투자 유치의 일환으로 어비디티 파트너스의 전무이사인 모날 메타 박사가 858 테라퓨틱스 이사회에 합류한다. 858 테라퓨틱스는 새로운 종양학 및 면역학 표적을 겨냥한 저분자 치료제 포트폴리오를 개발하는 생명공학 업체다. 주요 프로그램은 DNA 손상 복구와 선천성 면역, RNA 후성유전학 등 암 생물학의 중요한 노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설립자들이 수십 년간 쌓아온 신약 개발 경험을 바탕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주요 치료제로는 ETX-19477이 있다. ETX-19477은 PARG에 대한 강력한 저분자 억제제다. PARG
[더구루=정등용 기자] RJ 스캐린지 리비안 최고경영자(CEO)가 자사주 매각을 단행했다. 이후 리비안 주가는 7% 가까이 떨어졌다. 27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스캐린지 최고경영자는 지난 23일 약 97만 달러(약 12억원) 규모의 클래스A 보통주 주식을 매각했다. 주식은 11.6351달러의 가중 평균 가격에 매각됐으며, 주당 11.42달러에서 11.85달러까지 여러 부분으로 나눠 거래가 이뤄졌다. 이번 매각은 지난 3월8일 스캐린지 최고경영자가 채택한 규정 10b5-1 거래 계획에 따라 자동으로 진행됐다. 10b5-1 거래 계획은 회사 내부자가 내부자 거래 혐의를 피하기 위해 미리 정해진 시간에 주식을 매도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규정이다. 스캐린지 최고경영자는 이날 스톡옵션(주식매수선택권) 행사를 통해 주당 2.6282달러의 가격으로 클래스A 보통주 8만3333주를 취득했다. 총 거래 규모는 약 22만 달러(약 3억원)다. 스캐린지 최고경영자의 거래 이후 리비안 주가는 지난 25일 미국 뉴욕증시에서 전거래일보다 6.84% 하락한 11.03달러를 기록했다. 리비안은 최근 여러 악재를 겪고 있다. 미국 일리노이 공장 화재 사고로 인해 전기차
[더구루=진유진 기자] 미래에셋증권 인도네시아 법인 미래에셋 세쿠리타스가 DBS(구 싱가포르개발은행) 인도네시아 은행과 손잡고 고객 펀드 계좌(RDN) 서비스를 선보인다. 한때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기록하다 현재 6위로 밀려난 가운데 이번 협력을 통해 5년 내 대규모 신규 고객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 세쿠리타스는 지난 24일(현지시간) 자카르타 인도네시아 증권거래소(IDX)에서 DBS 인도네시아 은행과 RDN 출시를 위한 협업 출범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양사 경영진과 인도네시아 주요 인사 등이 참석했다. 이번 RDN 서비스는 하나의 계좌로 모든 자본시장 활동을 관리할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하며, 미래에셋과 DBS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경쟁력 있는 금리와 최소 잔액 요구·관리 수수료 없음 등의 혜택을 제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에셋 세쿠리타스는 이번 협력을 통해 투자·자본시장에 대한 고객의 접근성을 높이고, 향후 5년 내 인도네시아에서 100만 명의 신규 투자자를 유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채권·공동 브랜드 저축 계좌 서비스 등 다양한 협업 기회를 모색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도판 배달의 민족'으로 불리는 음식배달 플랫폼 스위기(Swiggy)가 인도 증시에 상장한다. 이 회사의 초기 투자자인 미래에셋의 투자 대박 기대감이 나온다. 2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인도 증권거래위원회(SEBI)는 스위기의 기업공개(IPO)를 승인했다. 스위기는 IPO를 통해 12억5000만 달러(약 1조6650억원)를 조달할 계획이다. 수요 예측에 따라 조달 규모가 늘어날 수 있다. 스위기는 지난 2014년 설립한 음식배달 플랫폼이다. 인도 전역 500여개 도시에 진출해 15만여개 음식점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경쟁사인 조마토와 함께 인도 음식배달 시장의 80%를 차지한다. 미래에셋은 앞서 지난 2020년 이 회사에 투자한 바 있다. 중국 텐센트의 대주주인 네덜란드 프로서스가 이 회사의 지분 33%를 보유하고 있으며, 소프트뱅크·싱가포르투자청(GIC)·메이투안·인베스코 등이 주요 투자자로 있다. 미래에셋은 스위기 라이벌인 조마토에 투자해 큰 수익을 거둔 바 있다. 미래에셋은 지난 2020년 조마토에 처음 투자했고, 이듬해 인도 증시에 상장하면서 기업가치가 크게 뛰었다. 미래에셋은 최근 조마토 투자 일부를 회수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가 테슬라 콜 옵션 매수를 권고했다. 오는 10월 로보택시 공개 등 빅 이벤트를 앞두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골드만삭스는 25일(현지시간) 투자 보고서를 통해 테슬라 콜 옵션 매수를 권고했다. 테슬라 콜 옵션은 골드만삭스의 추천 거래 중 하나다. 테슬라는 현재 전체 S&P 500 옵션 거래량의 17%를 차지하고 있는데, 14%를 기록 중인 엔비디아보다 높은 수치다. 골드만삭스는 내달 10일 공개 예정인 로보택시에 주목했다. 테슬라는 이날 완전 자율주행 기술과 사업 전망도 함께 발표할 예정이다. 2일 공개되는 테슬라의 3분기 인도량도 골드만삭스의 이 같은 분석에 힘을 실었다. 금융정보업체 팩트셋에 따르면 월가는 테슬라가 3분기에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한 46만대의 차량을 인도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마크 델라니 골드만삭스 자동차 애널리스트는 “테슬라는 중국 시장의 강세에 힘입어 3분기 인도량이 전분기 대비 4%, 전년 동기 대비 6% 증가해 컨센서스에 부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존 마샬 골드만삭스 파생상품 리서치 책임자는 “소비자 비즈니스의 생산량과 수직 통합, 좁은 센서 제품군을 고려할 때 테
[더구루=정등용 기자] SK가 미국 친환경 가스 기업 넷파워(NET Power) 지분을 매각했다. 지난 5월 이후 약 4개월 만에 추가 지분 매각이다. 25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자료에 따르면 SK와 8리버스 캐피탈(8 Rivers Capital)은 지난 20일과 23일 두 차례에 걸쳐 총 20만 달러(약 2억6600만원) 이상의 넷파워 지분을 처분했다. 20일에는 평균 가격 7.0036달러에 총 2만6926주가, 23일에는 평균 가격 7.002달러에 1764주가 각각 매각됐다. 이보다 앞서 지난 5월에는 총 250만주의 넷파워 주식이 매도됐는데 당시 매도 가격은 주당 10.04달러, 총 2510만 달러(약 340억원)에 이르렀다. SK는 지난해 6월 넷파워가 기업인수목적회사(스팩·SPAC) 합병으로 미국 증시에 상장하는 과정에서 상장지분사모투자(PIPE)를 통해 5000만 달러(약 680억원)를 투자했다. 투자 주체는 자회사 SK머티리얼즈였다. 지난 2010년 설립한 넷파워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더럼에 본사를 두고 있다. SK와 넷파워는 지난해 지분 투자를 통해 아시아 지역에서 순산소 초임계 이산화탄소 발전 설비를 개발하기 위한 합작사를
[더구루=홍성환 기자] 세계 최대 국부펀드 가운데 하나인 아부다비투자청(ADIA)이 한국 부동산 사모대출펀드에 투자했다. 최근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로 국내 금융기관들이 자금줄을 조이면서 사모대출펀드에 대한 기관 투자자의 관심이 높이진 모습이다. 홍콩계 투자펀드 운용사 SC로위는 25일 ADIA의 전액 출자 자회사로부터 한국 부동산 부문에 초점을 맞춘 사모대출펀드의 약정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 펀드는 한국 부동산 개발사와 건설회사, 금융기관 등에 맞춤형 부동산 사모대출을 제공하는 전략으로 운용된다. 한국 주요 도시의 주거시설, 상업시설, 물류시설 등에 선순위 담보대출을 제공한다. 사모대출펀드는 부동산 자산을 담보로 대출하는 사모펀드를 말한다. 지분 투자보다는 기대 수익률이 낮지만 부동산 담보를 통해 손실 위험을 줄이는 구조다. 최근 은행과 증권사가 부동산 PF를 축소함에 따라 사모대출펀드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이수천 SC로위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우리의 사모대출 전략은 한국 부동산 시장에 혁신적인 자금 조달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라며 "한국 부동산 시장에서 증가하는 사모대출 수요에 대처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모하메디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낸드플래시 메모리 3위 기업인 일본 키옥시아(Kioxia)가 상장 계획을 전격 철회했다. 약 4조원의 투자금 회수를 기대했던 SK하이닉스의 바람도 다음을 기약하게 됐다. 25일 일본 현지 언론들은 키옥시아 내부 사정에 밝은 소식통을 인용해 키옥시아가 오는 10월 도쿄증권거래소에 상장하려던 계획을 취소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키옥시아는 메모리 칩 시장 불확실성으로 인해 시가총액 목표인 1조5000억 엔(약 13조7300억원)을 달성하기에 주식 수요가 충분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다만 키옥시아 대변인은 “적절한 시기가 되면 주식 시장에 다시 상장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상장 계획에는 변함이 없다는 뜻을 재차 강조했다. 키옥시아의 상장 무산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키옥시아는 지난 2020년에도 상장을 추진했다가 미중 무역 마찰로 인한 업황 악화로 기존 계획을 취소한 바 있다. 당초 키옥시아는 올해 일본 IPO 시장의 최대어로 평가 받았다. 키옥시아의 기업 가치는 지난해 상장 최대 규모였던 반도체 장비회사 고쿠사이의 기업 가치 4240억엔(약 3조9356억원)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이 때문에 업계에선 키옥시아
[더구루=정등용 기자] 율호가 2대 주주로 있는 미국 배터리 재활용 기업 아쿠아 메탈스(Aqua Metals)가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브로드마켓지수(BMI)에서 제외됐다. 24일 미국 투자전문기관 마켓스크리너에 따르면 아쿠아 메탈스는 지난 22일(현지시간) S&P 글로벌 BMI 지수에서 빠졌다. S&P 글로벌 BMI는 글로벌 투자가능 기회를 포착하도록 설계됐다. 25개 선진시장과 25개 이머징마켓의 약 1만1000개 주식을 포함한다. 아쿠아 메탈스는 미국 나스닥 상장 기업으로 73개 글로벌 특허와 출원 중인 43개의 라이선스를 통해 배터리 재활용 후처리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친환경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폐배터리에서 고순도의 유가금속(원자재)을 모두 회수하는 기술을 갖고 있으며 아쿠아 리파이닝(Aqua Refining)이 핵심 기술이다. 아쿠아 리파이닝은 기존 습·건식 제련방식과 달리 최소한의 화학물질만으로 물과 전기반응을 통한 친환경 추출이 가능하다. 기존 업체들의 방식인 파이로(Pyro)제련과 표준습식제련(Hydro Process) 대비 각각 99%, 96% 화학폐기물 및 탄소를 감소시켜 혁신적 기술로 평가 받는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 자회사 글로벌X가 호주법인 신임 최고경영자(CEO)를 선임했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X 호주법인은 알렉스 자이카 신임 CEO를 선임했다. 오는 11월 4일부터 임기를 시작한다. 자이카 CEO는 호주 자산운용 시장에서 20년 이상 경력을 쌓은 전문가로 맥쿼리, 바클레이즈, 블랙록 등 글로벌 운용사에서 근무했다. 가장 최근에는 GAM인베스트먼트의 전무를 역임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지난 2022년 호주 운용사 ETF시큐리티스를 인수해 글로벌X로 사명을 변경했다. 현재 39개 ETF를 운용 중이다. 자이카 CEO는 "ETF 분야의 성장세가 이뤄지는 시기에 글로벌X를 이끌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호주 투자자에게 가치 있는 투자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이 차세대 리튬메탈 배터리 기술기업 SES AI코퍼레이션(SES AI) 지분을 일부 매각했다. 24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테마섹은 지난 19일과 20일 SES AI 주식을 각각 46만7143주, 25만3119주씩 매도했다. 매도가는 주당 0.9달러, 0.83달러로 총매도액은 64만 달러(약 9억원) 수준이다. 테마섹은 지난 13일부터 SES AI 주식을 지속해서 처분하고 있다. 13일 16만5539주를 매도한 것을 시작으로 △16일 6만7890주 △17일 138만656주 △18일 100만주를 각각 팔았다. 매도한 주식 규모는 330만 달러(44억원) 수준이다. 테마섹은 SES AI 주요 투자자 가운데 하나로 올해 6월 말 기준 이 회사 주식 3467만5757주를 보유하고 있다. 이는 기관 투자자 가운데 가장 많은 수치다. SES AI는 MIT 출신 치차오 후 최고경영자(CEO)가 2012년 설립한 배터리 스타트업이다. 미국 보스턴에 본사를 두고 싱가포르와 중국 상하이에 연구소와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전기차를 비롯한 여러 응용처용 고성능 리튬메탈 배터리 개발과 생산 분야에서 선도적 기업으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일본 모바일 게임 시장이 다운로드 수 정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을 기반으로 아시아 2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충성도 높은 이용자 기반과 효과적인 수익화 전략이 일본 시장의 강점이자 한계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 나사) 연구진이 슈퍼컴퓨터를 통해 지구 생명체의 '종말 시점'을 예측했다. 나사는 인류가 다른 생명체보다 훨씬 이른 시점에 생존 위기를 맞을 것으로 전망하며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