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도시바가 글로벌 통신사들과 양자암호키분배(QKD) 기술 협력을 추진하는 가운데 SK텔레콤이 유력 파트너사로 거론된다. QKD 분야의 선도 기술을 가진 SK텔레콤이 도시바와 협업하며 양자암호통신 시장을 주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도시바는 19일 "QKD 파일럿 프로젝트를 추진하고자 미국 버라이즌, 영국 BT(BT.L)와 협력하고 있다"라며 "한국의 다른 통신 사업자와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도시바는 회사 이름을 공개하지 않았으나 업계는 SK텔레콤을 유력한 파트너사로 보고 있다. QKD는 양자로 만든 암호키를 통신망에 공급하는 양자암호통신 기술 중 하나다. 정보전송을 위해 디지털 신호 0과 1을 사용하는 기존 통신과 달리 양자암호는 정해져 있지 않다. 정보를 주고받는 양측이 각각 QKD를 설치하고 매번 다른 암호키를 이용해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다. 해킹과 감청 위험을 막아 5세대 이동통신(5G) 시대에 주목을 받는 기술이다. 도시바와 SK텔레콤의 협력이 성사되면 양자암호통신 분야에서 양사의 시너지는 더욱 커질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바는 QKD를 성장 동력으로 삼고 2030년까지 30억 달러(약 3조4200억원)의 수익을 올리겠
[더구루=오소영 기자] KT가 영국 문버그 엔터테인먼트(Moonbug Entertainment Ltd)와 손잡고 유튜브 키즈 채널 1위 콘텐츠 '코코멜론' 시리즈를 제공한다. 어린이 맞춤형 콘텐츠를 늘리고 IPTV 시장에서 점유율을 높인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KT는 뭄버그 엔터테인먼트와 3D 애니메이션 출시를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KT는 문버그 엔터터테인먼트가 제작한 코코멜론 시리즈를 올레 TV와 씨즌(Seezn) 등 자사 플랫폼을 통해 공급한다. 연중 내내 신규 시리즈를 선보일 예정이다. 코코멜론은 제이제이, 요요, 톰톰 등의 가상 인물이 등장해 일상에 관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는 이야기다. 목욕 노래(Bath Song)와 야채 노래(Yes Yes Vegetables Song) 등이 인기를 모으며 영어권 이용자를 대상으로 유튜브 키즈 채널 구독자 1위를 달성했다. 유튜브 빅데이터 분석 업체 레드툴박스의 집계 결과 코코멜론은 올해 상반기 8860만명의 구독자를 확보했다. 월 평균 조회 수는 35억회 이상이다. KT는 코코멜론을 추가해 IPTV의 콘텐츠 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KT는 IPTV 사업에 5조4000억원 이상 쏟고 경쟁력 있는 콘텐츠 확
[더구루=오소영 기자] 이탈리아 통신 모듈 업체 텔릿이 SK텔레콤으로부터 롱텀에볼루션(LTE) 모듈 ME310G1-WW의 인증을 얻었다. 텔릿은 지난 13일 ME310G1-WW 모듈이 SK텔레콤의 사물인터넷(IoT) 전국망 LTE-M 인증을 획득했다고 발표했다. ME310G1-WW 모듈은 15x18mm 크기의 초소형 모듈로 퀄컴 9205 LTE 모뎀을 내장했다. LTE-A 프로에 해당하는 릴리즈14를 준수한다. 릴리즈14는 국제이동통신표준화기구인 3GPP가 2015년 10월 발표한 LTE 마지막 기술 규격이다. 또 업링크 속도 1Mbps, 최대 다운링크 속도 588Kbps를 제공하며 전력 클래스3(최대 23dBm)를 지원한다. 텔릿의 'xE910' 제품군과 레이아웃 변경 없이 완벽한 핀투핀(Pin-to-pin) 호환이 가능하다. 스마트 계량기, 산업용 센서, 웨어러블 의료기기 등에 사용할 수 있다. 텔릿은 이번 인증 획득으로 품질 우수성을 입증했다. SK텔레콤의 IoT 전용망에서 자사의 모듈을 복잡한 인증 과정 없이 신속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업용(B2B) 시장을 적극 공략한다. 텔릿은 LTE 모듈 출시를 위해 SK텔레콤과 협력해왔다. 작년 초 LT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유플러스가 주도하는 XR 얼라이언스의 첫 번째 5세대 이동통신(5G) 확장현실(XR) 콘텐츠 제작이 순항 중이다. 미국 실감 콘텐츠 제작사 펠릭스 앤 폴 스튜디오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우주 유영 모습을 담기 위한 카메라를 전달하며 본격적인 영상 촬영이 시작됐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펠릭스 앤 폴 스튜디오는 ISS에 8K 카메라를 보냈다. 이 카메라는 미국 나노랙스(Nanoracks)와 협력해 제작됐다. 3차원(3D), 360도 이미지 촬영이 가능하고 공기 저항을 많이 받는 저궤도에서도 촬영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강화됐다. 극한의 빛과 열을 견디도록 맞춤형 렌즈도 탑재했다. 15시간 분량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펠릭스 앤 폴 스튜디오는 미국 타임 스튜디오, 미국항공우주국(NASA) 등과 카메라를 활용해 3D 가상현실(VR) 최초로 실제 우주에서 유영하는 모습을 담아낼 예정이다. 우주 유영 콘텐츠는 XR 얼라이언스에 의해 기획됐다. XR 얼라이언스는 5G XR 산업을 육성하고자 만든 글로벌 연합체다. LG유플러스가 의장사 격인 퍼실리테이터(Facilitator)를 맡으며 미국 반도체 회사 퀄컴, 캐나다 벨 캐나다, 일본 KD
[더구루=오소영 기자] SK텔레콤이 글로벌 텔레콤 어워드에서 2개 부문 후보에 오르며 2년 연속 수상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ICT 연구기관 인포마(Informa)는 글로벌 텔레콤 어워드의 수상 후보 명단을 발표했다. SK텔레콤은 최고 통신사(Best Operator)와 산업용 사물인터넷 이니셔티브(Industrial IoT Initiative of the Year) 두 부문에 후보로 올랐다. 글로벌 텔레콤 어워드는 통신 서비스와 인프라, 보안, 인공지능(AI) 등의 부문에서 혁신저인 성과를 거둔 통신 사업자와 개발사를 선정하는 행사다. 올해는 19개 항목을 두고 87개 회사가 경쟁 중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내달 6일 온라인으로 개최된다. SK텔레콤은 최고 통신사 부문에서 프랑스 오렌지, 베트남 비에텔과 경쟁하게 됐다. 산업용 IoT 이니셔티브 부문에서는 중국 차이나텔레콤, 영국 보다폰, 캐나다 소프트웨어 업체 인코그니토(Incognito)가 후보 명단에 함께 포함됐다. SK텔레콤은 지난해 △5세대 이동통신(5G) 상용화 △최고 통신사 △업무 및 운용 지원 전환 부문에서 수상해 3관왕을 차지한 바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SK텔레콤이 글로벌 파트너 발굴·협력 프로그램 'TEAC(TIP Ecosystem Acceleration Center)'에 참여할 유망 기업을 뽑았다. 로봇과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등 미래 기술을 접목한 스타트업들이 대거 선발됐다. 8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TEAC에 참여할 기업 5곳을 선정했다. 이들은 향후 글로벌 사업 개발과 투자 유치 연계, 상용망 테스트 등 다양한 지원을 받게 된다. TEAC는 SKT와 페이스북, 인텔, 노키아 등 글로벌 기업들이 통신 인프라 혁신을 위해 2016년 세운 글로벌 연합체 TIP(Telecom Infra Project)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SKT는 한국·미국·아시아를 거점으로 하는 TEAC 코리아를 담당하고 매년 유망 스타트업을 발굴해왔다. 올해 선발된 기업은 다비오(Dabeeo)와 뉴빌리티(Neubility), 씨드로닉스(SEADRONIX), 39데그씨(39degC), 키스위(Kiswe)다. 다비오는 AI를 활용한 지도 데이터 전문 스타트업이다. 실내 지도를 쉽게 구축할 수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 '아이엠 스튜디오(IM STUDIO)', 스마트폰 카메라로 실내 위치 측정이 가능한 '아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KT그룹의 디지털 광고 대행사 플레이디(PlayD)가 국내 시장에 진출하려는 일본 아마존 셀러를 대상으로 마케팅을 지원한다. 일본에서 높은 수익을 거두고 있는 아마존을 등에 업고 현지 시장에서 입지를 넓힌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플레이디는 아마존 마켓플레이스에 대한 광고·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내 마켓플레이스에 입점해 제품을 판매하려는 일본 판매자들을 지원한다. 셀러와 제품 등록, 원스톱주문처리 서비스인 FBA(Fulfillment by Amazon), 시장 반응 점검, 마케팅 등을 돕는다. 데이터 분석에 기초한 디지털 종합 마케팅 서비스로 일본 셀러들의 한국 시장 안착에 도움을 줄 전망이다. 플레이디는 아마존과 협력해 현지에서 광고 대행사로서의 입지를 다질 계획이다. 아마존은 지난해 일본에서 약 1조7000억엔(약 18조6300억원)의 매출을 거뒀다. 아마존이 진출한 16개국 중 네 번째로 매출이 높다. 플레이디는 국내에서 성공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해외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눈여겨보는 시장 중 하나가 일본이다. 일본은 온라인 광고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고 있다. 세계 최대 광고대행사 덴츠가 공개한 지난해 광고비를 보면 인터넷 광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유플러스가 중국 루미(Lumi United Technology)와 스마트홈 보완 솔루션을 출시하고 '홈족(Home+族)'을 공략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루미와 국내에 홈 보완 솔루션 '스마트홈 시큐리티 이지 패키지'를 국내에 선보인다. 스마트홈 시큐리티 이지 패키지는 LG유플러스와 루미가 손을 잡은 후 처음 내놓는 솔루션이다. 이 패키지는 실내 카메라와 창문·문에 부착하는 센서 2개, 동작감지센서 1개로 구성된다. 카메라 기기와 센서가 연동돼 센서가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감지하면 카메라가 이를 짧은 클립으로 촬영한다. 사용자가 푸시 알림을 통해 영상을 스마트폰으로 받아볼 수 있다. 사용자가 집에 들어가면 카메라 녹화를 중지하도록 설정할 수 있어 사생활 보호도 지원한다. 별도의 도구 없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이다. LG유플러스 가입자라면 누구나 패키지를 이용할 수 있다. LG유플러스는 자사의 통신 플랫폼과 루미의 홈 사물인터넷(IoT) 기술력을 결합해 스마트홈 생태계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2009년 설립된 루미는 홈 IoT 분야의 강자다. '아카라(Aqara)'라는 전문 브랜드로 센서와 컨트롤
[더구루=오소영 기자] KT가 전국 백본망 구축 사업에 미국 인피네라(Infinera)의 통신 장비를 사용한다. 인피네라의 첨단 광 솔루션을 활용해 고품질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5세대 이동통신(5G) 시장에서 입지를 넓힌다. 9일 업계에 따르면 KT가 전국 백본망 구축 사업에 인피네라의 7300 멀티 홀 전송(Multi-haul Transport) 플랫폼을 사용한다. 7300 시리즈는 최신 광학 기술을 기반으로 안정적인 대용량 트래픽 처리를 지원한다. 네트워크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기능과 높은 복원력을 제공한다. 닉 윌든 인피네라 부사장은 "인피네라의 첨단 솔루션으로 KT가 광섬유를 효율적으로 활용해 비용을 절감하고 5G 시장에서 기술 리더십을 유지하도록 돕겠다"라고 밝혔다. KT는 작년 5월 파트너사로 인피네라를 택하고 백본망 구축 작업을 추진해왔다. 그동안 화웨이 장비로 일부 지역의 유선 백본망을 설치했는데 화웨이가 아닌 인피네라를 선정한 것이다. KT는 망 이원화를 위해 인피네라를 택했다는 입장이지만 일각에서는 반(反)화웨이 전선을 구축하는 미국의 입김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KT는 인피네라와의 협력으로 전국 주요 도시에 신규 백본망을 깔고 하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유플러스의 파트너사인 중국 증강현실(AR) 스타트업 엔리얼이 글로벌 벤처캐피털(VC)로부터 4000만 달러(약 474억원)를 확보했다. 중국 장쑤성에 연구·개발 및 생산 시설을 구축하기 위한 실탄을 마련하고 AR 글라스의 생산량을 확대한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엔리얼은 지난 4일(현지시간) 4000만 달러의 자금을 조달했다. 중국판 유튜브 콰이쇼우(Kuaishou)와 VC 세쿼이아캐피탈차이나, 힐하우스캐피탈 등이 참여한다. 2017년 1월 설립된 엔리얼은 중국 베이징에 본사를 둔 AR 글라스 제조사다. AR 글라스는 안경처럼 착용하면 렌즈를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보여주는 웨어러블 기기다. 엔리얼은 국내에서 AR 생태계 강화를 위해 LG유플러스와 협력하고 있다. 작년 11월부터 일반 고객에게 AR 글라스 체험 기회를 제공했다. 고객 반응을 살펴 오는 3분기 엔리얼 라이트를 독점 출시하기로 결정했다. 엔리얼 라이트는 세계 최초의 개인용(B2C) AR 글라스로 초경량(88g)으로 사용자 편의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 엔리얼은 작년 1월과 2월 두 차례에 걸쳐 3100만 달러(약 368억원)의 자금을 확보했다. 올해 추가로 자금을 조달하며
[더구루=오소영 기자] KT가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과 쪼개기 후원 혐의 등에 관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로부터 조사를 받는다. 국내외에서 잇단 사법 리스크에 휘말리며 구현모 사장의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KT는 지난 4월 29일 미국 SEC에 제출한 2019년 사업보고서에서 "해외 부패방지법(FCPA)을 준수했는지 여부에 관해 SEC의 조사에 협조하고 있다"고 밝혔다. KT는 뉴욕 증시에 상장돼 있어 매년 사업보고서를 SEC에 제출해야 한다. 조사 내용은 △K재단·미르재단에 각각 11억원, 7억원을 출연한 사실 △최순실씨 요청으로 측근인 이동수씨 등을 채용한 사실 △최씨의 광고회사 플레이그라운드에 68억원어치 일감을 준 사실 등이다. 전병헌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한국e스포츠협회에 1억원을 기부하도록 압박한 사건과 전직 정치인 등에게 자문료를 주고 로비에 활용했다는 의혹도 포함됐다. SEC는 이른바 '상품권 깡(할인판매)' 사건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KT는 지난 2014년 5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법인자금으로 상품권을 산 후 되팔아 현금화하는 상품권 깡으로 비자금 11억여원을 조성한 혐의를 받아왔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SK텔레콤이 미국 측정 장비·소프트웨어 업체 키사이트와 손잡고 5세대 이동통신(5G) 성능을 확인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키사이트의 5G 테스트 솔루션을 활용해 성능 검증을 진행했다. 5G 단말기가 SK텔레콤의 5G망을 통해 초광대역 서비스(eMBB)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지 살폈다. 초광대역 서비스는 이전 세대보다 훨씬 큰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해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이는 것을 말한다. 초저지연, 초연결과 함께 5G의 특징 중 하나로 꼽힌다. SK텔레콤은 2018년 키사이트와 양해각서(MOU) 체결 이후 성능 테스트를 진행하며 파트너십을 공고히 한다. 측정 장비 분야에서 키사이트가 보유한 전문 기술을 활용해 5G 품질을 높일 계획이다. SK텔레콤은 키사이트와 5G망 설계 기술 개발에 협업하고 있다. △3.5㎓와 28㎓ 등 고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 계측 솔루션 △음영 지역 분석 시뮬레이션 △5G 단말기 품질을 측정하는 솔루션 등을 연구 중이다. 카일라시 나라야난(Kailash Narayanan) 키사이트 무선사업본부장은 "'SK텔레콤의 '초연결 사회' 비전을 지원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키사이트의 전문 지식을 활용해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SIE)로부터 '호라이즌' 지식재산권(IP) 표절로 소송을 당한 텐센트가 논란이 된 게임의 핵심 홍보 자료를 조용히 수정·삭제했다. 소송 제기 직후 이뤄진 조치가 향후 재판에서 텐센트에 어떻게 작용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텐센트는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Light of Motiram)'의 스팀 페이지의 주요 이미지와 트레일러, 게임 설명 등을 대거 수정했다. 텐센트가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주요 이미지 등을 수정한 배경에는 SIE와의 소송이 있다. SIE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북부지방법원에 텐센트의 신작 라이트 오브 모티람이 자사의 대표작인 호라이즌 시리즈를 표절했다며 저작권·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고소장에 따르면 SIE는 라이트 오브 모티람의 캐릭터, 기계 생명체 디자인, 아트 스타일, 세계관 등 많은 부분이 호라이즌과 유사하다며 저작권을 침해했다고 설명했다. SIE는 거대 로봇이 지배하는 포스트 아포칼립스 세계관, 붉은 머리의 여성 주인공, 귀에 착용하는 '포커스'와 유사한 장치 등 구체적인 유사점을 증거로 제시했다. 또한 텐센트가 호라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오픈AI의 최신 인공지능(AI) 모델 'GPT-5' 출시를 기점으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사티아 나델라 마이크로소프트(MS) CEO, 샘 알트만 오픈AI CEO 간의 설전이 벌어졌다. AI패권을 두고 경쟁하고 있는 기업 수장 간의 설전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업계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 CEO는 최근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오픈AI가 MS를 산 채로 잡아먹게 될 것"이라는 경고성 글을 올렸다. 이를 두고 MS가 막대한 투자를 통해 키운 오픈AI에게 결국 주도권을 빼앗길 것이라는 의미가 담겼다는 분석이 나왔다. 일론 머스크의 글은 사티아 나델라 MS CEO가 GPT-5를 도입했다고 발표한 내용을 공유하며 작성됐다. 나델라 CEO는 8일(현지시간) X를 통해 "GPT-5를 MS 365 코파일럿, 깃허브 코파일럿, 애저 AI 등 자사 플랫폼 전반에 탑재했다"며 "오픈AI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금까지 가장 유능한 모델을 선보이게 됐다. 놀라운 발전 속도"라고 소개했다. 사티아 나델라 CEO는 일론 머스크의 조롱 섞인 반응에 대해 여유로운 반응을 보였다. 나델라 CEO는 "사람들은 50년 동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