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한국투자증권이 베트남에서 과태료 처분을 받았다. 실무 자격이 없는 직원이 증권 중개 업무를 수행했다는 이유에서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투자증권 베트남 법인인 KIS베트남은 최근 베트남 국가증권위원회(SSC)로부터 행정 위반 제재 명목으로 6000만 동(약 325만원)의 과태료를 부과 받았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KIS베트남 내 한 직원은 증권 업무 자격증 없이 증권 중개 업무를 수행했다. 베트남 국가증권위원회는 이를 인력 배치에 관한 규정 위반으로 판단, 제32조 2항 a호에 따라 6000만 동의 과태료를 부과했다. 이와 관련해 한국투자증권 관계자는 “과태료는 이미 납부했고 해당 직원 역시 지난해 10월 말 퇴사 처리 됐다”며 “이로 인한 고객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내부통제를 강화해 재발 방지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IS베트남은 지난해 11월에도 고객 매매주문 접수 과정에서 관련 규정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1억3750만 동(약 700만원)의 벌금을 부과 받은 바 있다. 당시 국가증권위원회는 KIS베트남이 고객 거래 계좌에 충분한 자금이 없었음에도 증권 구매 주문을 허용했다고 지적했다. 이는 ‘고객의 매매주문 접수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이 인도 자동차 할부금융 전문 비은행 금융사(NBFC) SK파이낸스(SK Finance)에 투자했다. 세계 3위 자동차 판매 시장으로 부상한 인도에서 자동차 할부금융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회사의 성장세가 기대되는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SK파이낸스는 25일 133억 루피(약 2130억원) 규모 신규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에는 미래에셋인도벤처투자가 현지에서 조성한 펀드를 통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이와 함께 △노르웨스트벤처파트너스 △TPG그로쓰 △베어링PE △액시스 △아난타캐피탈 등이 투자했다. SK파이낸스는 1994년 설립한 비은행 금융사다. 신차·중고차를 비롯해 트랙터·이륜차 등에 대해 할부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6년간 연평균 40% 이상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SK파이낸스는 연내 인도 증시 상장을 준비 중이다. 기업공개(IPO) 예상 규모는 최대 2500억 루피(약 4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SK파이낸스는 "이번 1차 자본 투입은 회사 성장을 가속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인도는 지난 2022년 기준 자동차 판매량이 476만대로 중국(2680만대), 미국(1370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증권당국이 이더리움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승인을 잇따라 연기했다. 오는 5월 승인 여부가 판가름 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미국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제출한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기한을 오는 3월 10일로 연장했다. 앞서 SEC는 지난주 피델리티의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도 3월로 연기한 바 있다. 업계 안팎에서는 SEC가 5월 승인 여부를 결정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제임스 세이파트 블룸버그 ETF 전문 애널리스트는 "이더리움 현물 ETF 승인 지연은 지속될 것"이라며 "5월 23일 승인 여부가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SEC는 최근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했지만 암호화폐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게리 갠슬러 SEC 위원장은 비트코인 현물 ETF를 승인하면서 "오늘 위원회의 결정은 증권이 아닌 비트코인을 보유한 ETP에 국한됐다"며 "이는 위원회가 암호화폐 자산증권의 상장기준을 승인할 의향이 있다는 신호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투자자들은 비트코인과 암호화폐에 가치가 연계된 상품과 관련된 수많은 위험에 대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라고
[더구루=정등용 기자] 호주 투자정보업체 심플리 월스트리트(Simply Wall St)가 미국 반도체 기업 퀄컴 주식에 주목했다. 특히 최근 5년 동안 급격하게 증가한 TSR(총주주수익률)을 강조했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심플리 월스트리트에 따르면 퀄컴 주가는 지난 50년 동안 200% 급등했다. 최근 3개월을 봐도 퀄컴 주가는 39% 증가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심플리 월스트리트는 기업에 대한 시장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살펴볼 수 있는 간단한 방법 중 하나로 EPS(주당순이익)의 변화와 주가 움직임을 비교하는 것을 추천했다. EPS는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을 유통되는 보통주 주식 수로 나눈 값이다. 기업이 1년 간 올린 수익에 대한 주주의 몫을 나타낸다. 퀄컴의 경우 지난 5년 동안 주가가 상승하는 동안 적자에서 흑자로 전환했다. 다만 3년 전에는 이익을 냈지만 5년 전 이익을 내지 못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지난 3년 동안의 EPS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게 심플리 월스트리트 분석이다. 이에 따르면 퀄컴 주가는 지난 3년 동안 7.6% 하락했다. 반면 같은 기간 EPS는 매년 13%씩 증가했다. 3년 동안 주가 하락과 EPS 증가 사이에 상당한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텔이 인수한 이스라엘 자율주행 자동차 기업 모빌아이가 집단소송에 휘말렸다. 고객사 재고 과잉과 관련해 투자자들에게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소비자 권리 전문 로펌 하겐스 버먼(Hagens Berman)은 최근 모빌아이를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하겐스 버먼은 모빌아이가 고객사의 제고 과잉과 관련해 사실을 은폐하고 허위 진술을 했다고 주장했다. 모빌아이 1차 고객사가 지난 2021년과 2022년 공급망 제약으로 인한 공급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2023 회계연도 수요를 초과해 재고를 구매했는데 이 같은 내용을 투자자들에게 제대로 알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실제로 1차 고객사들은 600~700만대의 EyeQ 시스템온칩을 초과 보유했으며, 이로 인해 2024 회계연도 제품 구매가 감소해 재무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는 게 하겐스 버먼 지적이다. 모빌아이는 지난 4일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고객사가 600만~700만대의 EyeQ 시스템온칩 재고를 보유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이 같은 우려는 사실로 드러났다. 또한 모빌아이는 EyeQ 시스템온칩 예상 출하량을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그룹의 제약·바이오 전문 벤처캐피털(VC) 미래에셋캐피탈 라이프사이언스가 제약바이오 스타트업 '액센트 테라퓨틱스(Accent Therapeutics)'에 투자했다. 이는 회사 출범 후 첫 번째 투자로 미국 바이오 분야에 대한 투자 확대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액센트 테라퓨틱스는 24일 7500만 달러(약 1000억원) 규모 시리즈C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미래에셋캐피탈 라이프사이언스가 주선했고, 계열사인 미래에셋캐피탈과 미래에셋벤처투자도 참여했다. 이와 함께 △존슨앤존슨이노베이션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 등 글로벌 기업이 투자했다. 액센트 테라퓨틱스는 소분자 표적항암제를 개발하는 제약바이오 기업이다. 액센트 테라퓨틱스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으로 신약 파이프라인을 발전시킬 계획이다. 샤크티 나라얀 액센트 테라퓨틱스 최고경영자(CEO)는 "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혁신적인 치료법을 발전시키겠다는 우리의 약속을 공유하는 혁신적인 투자자의 지원을 받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초기 임상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겠다"고 전했다. 미래에셋캐피탈 라이프사이언스는 미래에셋그룹이 지난해 미국에 설립한 제약·바이오 전문 벤처 투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증권이 베트남 마진대출 부문 1위 자리를 현지 증권사 테크콤증권(TCBS)에 내줬다. 테크콤증권의 막대한 자금 투입에 밀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23일 미래에셋베트남증권(MAS) 재무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마진대출 규모는 전분기 대비 3690억 동(약 200억원) 감소한 14조6720억 동(약 8000억원)을 기록했다. 전반적인 사업 실적이 부진했다. 영업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5% 이상 감소한 6280억 동(약 340억원)을 나타냈으며, 세후이익도 7% 감소한 1370억 동(약 70억원)을 기록했다. 연간 총 이익은 5663억1000만 동(약 310억원)으로 전년 대비 25% 가까이 줄었다. 미래에셋베트남증권 영업 수익 중 중요한 한 축을 담당하는 중개업의 경우 1531억3000만 동(약 83억원)을 기록해 전년 동기 대비 2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테크콤증권은 막대한 자금을 쏟아 부으며 마진대출 부문 1위 자리를 차지했다. 테크콤증권은 지난해 4분기 3조8000억 동(약 2100억원)을 시장에 투입했다. 그 결과 마진대출 규모는 16조6190억 동(약 9100억원)까지 증가했다. 지난해 4분기 세전이익은 전
[더구루=홍성일 기자] 호주 디자인 회사 캔바(Canva)가 주식 매각을 통해 신규 자금을 조달한다. 캔바는 신규 자금으로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블룸버그는 21일(현지시간)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캔바의 주식 매각 작업이 거의 마무리 됐다고 보도했다. 캔바는 이번 주식 매각으로 15억 달러 이상의 자금을 조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캔바는 이번 주식 매각 작업에서 기업가치 260억달러를 인정받았으며 매각 작업은 골드만삭스와 손잡고 진행하고 있다. 해당 관계자는 "현재 논의가 진행 중이며 세부 사항은 변경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캔바와 골드만삭스는 블룸버그에 논평 요청을 거부했다. 캔바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경쟁력 확보에 투입한다. 캔바는 특히 디자인 툴 시장에서 글로벌 강자인 어도비, 마이크로소프트 등과 경쟁하고 있다. 양사는 생성형AI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며 시장 경쟁을 강화하고 있다. 캔바는 2013년 서비스 출시 이후 중소기업과 Z세대를 중심으로 시장을 확대했다. 현재 캔바는 190개국 1억7000만 명 이상의 이용자를 확보하고 있으며 페덱스, 스타벅스, 줌 등의 기업에서도 활용하고 있다. 이에 캔바는 지난 2021년 밥 아이거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자산운용 미국 계열사 글로벌X가 중국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를 대거 청산한다. 중국 증시 하락세가 장기화하면서 수익률이 부진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X는 내달 미국 증시에 상장한 19개 ETF를 청산한다고 22일 밝혔다. 이 가운데 중국 섹터의 ETF가 11개다. 구체적으로 △통신 ETF(Global X MSCI China Communication Services ETF) △필수소비재 ETF(Global X MSCI China Consumer Staples ETF) △에너지 ETF(Global X MSCI China Energy ETF) △금융 ETF(Global X MSCI China Financials ETF) △헬스케어 ETF(Global X MSCI China Health Care ETF) △산업 ETF(Global X MSCI China Industrials ETF) △정보통신(IT) ETF(Global X MSCI China Information Technology ETF) △소재 ETF(Global X MSCI China Materials ETF) △부동산 ETF(Global X MSCI China Re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에 이어 홍콩에서도 조만간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주펀드(ETF)가 출시될 전망이다. 실제 출시될 경우 가상자산 업계 호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2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홍콩 소재 자산운용사 벤처스마트파이낸셜홀딩스(Venture Smart Financial Holdings)는 1분기 비트코인 현물 ETF를 출시할 계획이다. 이르면 이달 중으로 홍콩증권선물위원회(SFC)에 ETF 상장 신청서를 제출한다는 방침이다. 상장을 완료하면 아시아 최초 비트코인 현물 ETF가 된다. 벤처스마트파이낸셜은 올해 말까지 5억 달러(약 6700억원) 규모로 비트코인 현물 ETF의 자산 가치를 확대한다는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홍콩 당국도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에 긍정적인 입장이다. 앞서 SFC와 홍콩통화청(HKMA)은 작년 12월 공동 성명을 통해 "가상자산 현물 ETF를 포함해 가상자산에 노출된 다른 펀드들의 승인을 위한 신청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지난 10일 비트코인 현물 ETF의 거래소 상장과 거래를 승인했다. 이 결정에 따라 11개 비트코인 현물 ETF는 11일부터 거래를 시작했다. 블랙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투자 전문매체 더 모틀리 풀(The Motley Fool)이 엔비디아 주식의 성장 가능성을 조망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더 모틀리 풀은 최근 ‘엔비디아 주식에 2만 달러를 투자하면 백만장자가 될 수 있을까?’란 제목의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최근 몇 년 동안 많은 백만장자를 배출했다. 지난해에만 주가가 3배 이상 올랐기 때문이다. 현재 시가총액 500억 달러(약 66조9350억원) 이상의 기업 중 엔비디아는 지난 3년, 5년, 10년 동안 그 어떤 기업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다. 지난 2016년 230억 달러의 시가총액에서 출발한 엔비디아는 시장 기회에 따라 사업 전략을 변화시켜왔다. 특히 게임 및 전문가용 고성능 그래픽 카드가 이더리움 토큰 채굴에 탁월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엔비디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기 시작했다. 더 모틀리 풀은 지난 2016년 2만 달러(약 2700만원)를 투자해 엔비디아 주식을 샀을 경우 8년 후 그 가치가 100만 달러(약 13억원)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했다. 연평균 수익률은 67.4%에 달한다. 더 모틀리 풀은 엔비디아 주식이 장기적으로 우상향 할 것이라고 확신했지만 많
[더구루=홍성환 기자] 네이버 관계사 라인의 간편결제 서비스 라인페이가 대만 장외거래(OTC) 시장에 상장한다. 대만 간편결제 시장에서 점유율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19일 대만증권거래소(TWSE)에 따르면 라인페이는 오는 26일(현지시간)부터 대만 장외시장에서 거래를 시작할 예정이다. 라인페이는 액면가 주당 10대만달러, 총 6000만주를 상장한다. 라인페이는 대만 국민 절반이 사용하는 현지 1위 간편결제 서비스다. 신용카드 가맹점이 아닌 노점이나, 해외카드를 이용할 수 없는 편의점 등에서도 결제할 수 있다. 현재 사용자는 1200만명에 달하고 온·오프라인 가맹점은 50만개 이상이다. 라인페이는 지난 2015년 8월 처음 대만 시장에 진출했다. 모회사 라인 이외에 타이페이푸본은행·타이완유니온은행 등이 주요 주주로 있다. 라인페이는 지난 2022년 매출이 36억1900만 대만달러(약 1500억원)로 전년 대비 73% 증가했다. 순이익은 4억3900만 대만달러(약 190억원)로 200% 급증했다. 라인은 대만 금융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 2021년에는 인터넷전문은행 라인뱅크를 공식 출범했다. 월간 활성 이용자(MAU)가 2100만명에 달
[더구루=홍성일 기자] 러시아 드론 기업이 일론 머스크의 저궤도(LEO) 위성 통신 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를 이용할 수 있는 대형 드론을 개발했다. 우크라이나 군의 후방을 타격하는 장비로 운용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러시아 드론기업 KB 발키리야(KB Valkyriya)는 최근 전시회에서 RD-8 드론을 공개했다. KB 발키리야는 해당 드론이 스타링크와도 연결되기 때문에 우크라이나에서 러시아군의 드론 운용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RD-8은 날개폭이 3.8m이며 내연기관과 전기모터 2개가 결합된 하이브리드 동력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최대 이륙중량은 정찰형일 경우 30kg, 모선형일 경우 35kg이다. 비행가능 시간은 각각 최대 4.5시간, 3시간이다. 최대 고도는 3km이며 항속거리는 최대 150km다. 순항속도는 80km/h, 최대속도는 200km/h다. RD-8은 목적에 따라 각각 3kg의 탄두를 장착한 FPV 드론 2대를 탑재하거나 30배 망원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를 장착할 수 있다. 이외에도 KB 발키리야는 RD-7, RD-10, RD-12 등 다양한 드론 시리즈를 출시했으
[더구루=홍성일 기자] 현대자동차그룹 자회사 미국 보스턴다이내믹스의 4족 보행 로봇 '스팟(Spot)'이 미국에서 경찰특공대로 변신했다. 보스턴다이내믹스의 스팟이 적용 범위를 빠르게 확장하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루이지애나주 레이크찰스 경찰은 스팟을 새로운 SWAT(Special Weapons And Tactics) 다목적견으로 도입했다. 스팟은 정찰, 화학물질 탐지 등 특수 임무에 투입된다. 레이크찰스 경찰은 이전부터 스팟을 도입해 운용하고 있었다. 지난해 8월에는 지역 행사를 통해 공개한 바 있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레이크찰스 경찰에 투입된 스팟은 1개의 팔과 360도 감시가 가능한 카메라가 장착돼 있다. 팔에는 물건을 집을 수 있도록 집게형태의 손이 연결됐다. 스팟은 해당 손과 팔을 통해 문도 열고 진입할 수 있다. 또한 스팟은 4개의 다리를 통해 걷고, 앉고, 기어가기 등이 가능하다. 지난달 보스턴다이내믹스가 공개한 영상에 따르며 상부에 별도의 장비가 장착되지 않은 스팟은 사이드플립(옆돌기), 백플립(뒤돌기) 등이 가능하다. 조종 편의성도 높였다. 이번에 공급된 스팟은 휴대용 게임기와 같은 형태의 컨트롤러로 조정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