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도담 기자]중국 배터리 기업 CATL이 루이스 아르세(Luis Arce) 볼리비아 대통령과 만나 우유니 사막 등 볼리비아 소재 염호 개발 계약의 유효성을 재확인하고, 협력 확대 가능성을 모색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2위 이차전지 전해핵 제조사인 캡켐(Capchem)이 미국 생산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글로벌 이차전지 전해핵 시장 내 입지를 보다 공고히 하기 위한 행보로 해석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배터리 시장이 두 자릿수 성장세를 이어갔다. 특히 현지 배터리 제조사들이 강점을 가진 리튬인산철(LFP) 분야가 급성장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과시했다. 18일 중국 자동차 배터리 혁신 연합(CABIA)에 따르면 지난 5월 중국 이차전지 생산량은 56.6GWh로 전년 동월과 전월 대비 각각 57.4%, 20.4% 증가했다. 같은 기간 탑재량은 작년 동월과 비교해 52.1% 늘어난 28.2GWh였다. 배터리 종류별로 살펴보면 LFP 배터리가 삼원계 배터리에 비해 생산량과 탑재량 모두 월등히 앞섰다. 5월 LFP 배터리 생산량은 전년 동월 대비 96.7% 증가한 37.8GWh였다. 전체 생산량의 66.9%를 차지했다. 삼원계 배터리 생산량은 11.9% 증가한 18.6GWh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LFP 배터리 탑재량은 작년 동월 대비 87.2% 늘어난 19.2GWh였다. LFP 배터리가 전체 탑재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7.8%에 달했다. 삼원계 배터리 탑재량은 8.7% 증가한 9.0GWh였다.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누계 기준으로 배터리 생산량과 탑재량은233.5GWh와 119.2GWh였다. 작년 동기와 비교해 각각 34.7%, 43.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전자집적회로 시장이 2025년 300조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시장이 커지며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중국 내 전자집적회로 기업들도 증가했으나 대부분 설계 분야에 포진해 수입산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코트라 다롄무역관에 따르면 중국 전자집적회로 시장 규모는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19.3% 성장했다. 지난해 약 1조2000억 위안(약 210조원)에 달했다. 전장화와 인공지능(AI), 스마트 제조 수요가 증가한 영향이다. 2025년까지 15% 안팎의 성장률을 보이며 약 1조8000억 위안(약 320조원)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글로벌 기업들은 중국 시장을 본격 공략했다. 삼성전자는 1994년 쑤저우, 2012년 시안 법인을 설립했다. SK하이닉스는 2005년 중국 우시에 D램 생산시설을 세웠다. 2020년 미국 인텔의 낸드플래시 사업부를 인수하며 다롄 사업장도 품었다. 인텔은 1994년 상하이에 중국법인을 만들어 현지에 첫발을 디뎠다. SK하이닉스에 넘긴 다롄 공장을 2007년 구축했다. 마이크론은 상하이와 시안에 법인을 운영 중이다. 대만 TSMC는 2003년 상하이에 이어 20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에너지 저장 인버터 시장이 현지 신재생에너지 산업 확대에 힘입어 고성장하고 있다. 배터리 등과 함께 에너지저장장치(ESS) 핵심 부품으로 지속적인 수요 증가가 기대된다. 19일 중상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에너지 저장 인버터 시장 규모는 2021년 30억7000만 위안에서 올해 105억4000만 위안으로 3배 이상 성장이 예상된다. 출하량은 지난 2021년 기준 전년 대비 63.6% 증가한 3.6GW를 기록했다. 에너지 저장 인버터는 ESS에서 전기의 직류와 교류를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모터와 더불어 태양광 발전을 위한 필수 부품이다. 배터리팩의 충전과 방전 과정을 제어할 수 있도 있다. 에너지 저장 인버터는 주로 집중식, 직렬식, 집산식, 마이크로 등으로 분류한다. ESS는 크게 배터리팩, 에너지 저장 인버터,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배터리 관리 시스템, 기타 전기 장비로 구성된다. 이중 에너지 저장 인버터가 차지하는 원가 비중은 20%로, 배터리(60%) 다음으로 높다. 에너지관리시스템은 약 10%를 차지한다. 중국 에너지 저장 인버터 기업 수는 30개사 이상이다. △상넝전기 △커화 데이터 △수오잉 전기 △난루이지바오 △양광전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전기차 회사 니오(Nio)가 현재 판매 중인 전체 모델의 가격을 일괄 인하했다. 테슬라로부터 시작된 전기차 가격 인하 경쟁에 동참한 것으로 풀이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자동차업계에서 리튬이온배터리 공급 과잉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공격적인 증설 프로젝트가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창안자동차 주화룽 사장은 최근 개최된 '2023년 중국자동차(충칭)포럼'에서 "2025년 중국이 필요한 이차전지 생산능력은 1000~1200GWh인데 현재 업계의 생산능력 확충 계획은 4800GWh에 달한다"며 우려를 표했다. 주 사장은 "2018년 중국 신에너지 승용차 소매 보급률이 4.3%에 불과했던 것에 비해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기준 30.4%를 돌파했다"며 "이는 신에너지차 산업이 폭발적인 성장기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하며, 시장 경쟁 패턴도 변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기차 성장률이 점차 둔화하며 배터리 수급 부족 문제도 해소될 것이라는 설명이다. 쩡칭훙 광저우기차(GAC)그룹 회장도 중국 자동차 산업이 고성장하는 시기는 지났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른 기업 경쟁력 약화를 방어하기 위해 정부가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앞으로는 마이크로 성장 시대가 도래할 것"이라며 "자동차 회사의 수익성은 더욱 악화돼 일부 국제 브랜드와 자체 소유 브랜드가
[더구루=김도담 기자]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낮은 에너지밀도로 외면을 받아온 나트륨에 주목하며 배터리 소재 다변화에 나선다. 이를 기반으로 유럽 등 해외 경쟁자의 도전을 꺾고 주도권을 더욱 강화한다는 목표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바이트댄스가 서비스하고 있는 글로벌 숏폼 플랫폼 틱톡이 동남아 시장에 대한 대대적인 투자를 예고했다. 틱톡의 대대적 투자 움직임에도 향후 사업 유지를 위해 넘어야할 산이 많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틱톡은 향후 수 년간 동남아시아 시장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키로 했다. 틱톡은 대규모 투자를 통해 이커머스 부문 등을 더욱 빠르게 확장하겠다는 목표다. 이를 통해 쇼피, 라자다, 토코피디아 등과 벌이고 있는 경쟁에서 승리하겠다는 것. 틱톡이 동남아시아 시장에 대규모 투자 결정을 내린 것은 최대 시장이기 때문이다. 동남아시아는 전체 인구 6억3000만여명 중 절반이 30세 미만인 지역으로 틱톡의 영향력이 큰다. 이에 틱톡은 동남아시아에만 8000여명의 직원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틱톡의 투자는 바이트댄스와 중국 정부 간의 관계를 의심하고 있는 현지 정부들을 설득하기 위한 포석도 있다. 동남아 일부 국가에서 바이트댄스가 중국 정부에 수집한 사용자 데이터를 전달한다는 우려를 보이고 있어서다. 실제 인도네시아의 경우 틱톡 내에서 유통되는 콘텐츠가 부적절하다며 2018년 조사를 진행한 바 있으며 최근에는 베트남이 콘텐츠의 유
[더구루=김도담 기자] LG전자와 인쇄회로기판(PCB)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중국 '아오홍'이 생산량 확대에 나선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비야디(BYD)'와 '화이하이 홀딩 그룹(Huaihai Holding Group, 이하 화이하이)'가 나트륨이온 배터리 상업화를 위해 손을 잡았다. CATL에 이어 BYD까지 관련 사업을 본격화, 나트륨이온 배터리 채택 사례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의 투자를 유치한 바 있는 중국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전문 제조업체 제이드버드디스플레이(JBD)의 추가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JBD는 시리즈A3+, 시리즈A4 투자 라운드를 통해 1000만 달러(약 130억원)를 조달했다. 해당 펀딩은 6월 첫째주 마무리됐으며 근시일 내 최종 결과가 발표될 예정이다. JBD의 시리즈A3+ 투자 라운드는 BYD를 비롯해 상하이 사이언스&테크놀로지 벤처 캐피탈, GF Qianhe 등이 참여했다. 시리즈A4 펀딩은 알리바바, 지리, V스타 캐피탈 등이 주도하고 기존 투자자들의 추가 투자가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JBD는 이번에 조달한 자금을 안후이성 허페이시에 있는 공장의 증설 등에 투입, 연간 생산량을 1억2000만 개로 늘리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다. JBD는 지난 2015년 설립한 디스플레이 제조업체로 0.5인치 미만 마이크로 디스플레이를 개발·생산하고 있다. 삼성의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탈(CVC) 삼성벤처투자는 지난 2021년 8월 완료된 JBD의 시리즈A 투자 라운드에 참여했다.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는 10~100 마이크로미터(㎛) 수준의
[더구루=길소연 기자] 세계 1위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寧德時代·닝더스다이)가 중국 리튬 배터리 소재 공급업체 캔맥스 테크놀로지스(Canmax Technologies, 이하 캔맥스)의 지분에 투자하며 리튬 배터리 소재 확보를 늘린다. 원재료·소재·셀·팩·재활용까지 수직 계열화된 밸류체인(생산부터 유통까지 산업 전반의 구성) 구조에 집중하고 있는 CATL은 배터리 소재 확보로 공급망 구축과 원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수소연료전지 기업 블룸에너지(Bloom Energy)가 약 3조6000억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성공했다. 강화된 자본을 기반으로 연료전지 발전용량 확대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