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국 웨강아오 대만구(그레이터 베이·Grater Bay Area) 글로벌 투자 콘퍼런스에 2년 연속 참가한다. 투자 유치 성과에 초점이 맞춰진 올해 콘퍼런스에서 현대차는 핵심 수소 사업자로서 존재감을 알리는 데 집중할 계획이다. 8일 중국 광둥성 정부 공보실에 따르면 현대차는 이날 이틀간 중국 광저우바이윈인터내셔널컨벤션센터 국제오디토리움에서 열리는 웨강아오 대만구 글로벌 투자 콘퍼런스에 참가한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참가다. 현대차를 비롯한 포춘 글로벌 500대 기업들도 대거 참석한다. 현재까지 참석을 확정한 기업 대표만 430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웨강아오 대만구는 지난 2016년 3월 중국 정부가 발표한 중국 남부 도시 경제 통합안에 따라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지역이다. 홍콩과 마카오를 포함해 중국 남부 주강 삼각주(PRD) 도시 9개를 하나로 묶어 경제 통합을 촉진하고 지역 간의 인력, 상품, 금융, 물류를 융합하는 도시 클러스터를 조성하고 있다. 총 면적은 5만6000㎢에 달하며, 7000만 인구의 경제 통합체로 이 지역 총생산(GDP)은 9조 위안(한화 약 1683조1800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의 기존 소형 전기차 볼륨 모델인 니로EV가 유럽 전기차 시장에서 떠난다. 유럽 자동차 시장 바로미터인 독일 판매 라인업에서 제외되며 사실상 단종 수순에 돌입했다. 대신 니로EV 후속 모델로 점치고 있는 EV3에 화력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7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유럽 전기차 시장에서 니로EV 단종 수순을 밟고 있다. 독일을 시작으로 유럽 전 지역에서 판매를 중단할 계획이다. 이미 독일 공식 홈페이지 판매 목록에서 니로EV가 제외됐다. 브랜드 전용 소형 전기차 모델 EV3 현지 출시에 따른 조치이다. EV 시리즈 세대교체 흐름과 중국산 저가 전기차 공세,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등을 고려한 전략적 선택이다. 특히 기아는 같은 소형 전기 SUV 모델인 EV3와 수요층이 겹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다만 수요층이 겹치지 않는 니로 하이브리드(H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는 유지한다. 앞사 비슷한 이유로 소형 전기 SUV 모델 쏘울EV 역시 유럽 전기차 시장 진출 10년 만에 단종 수순을 밟은 바 있다. <본보 2024년 8월 20일 참고 기아, 쏘울EV 유럽서 10년 만에 단종…EV3 화력 집중> 일각에선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1~3분기 폭스바겐그룹을 제치고 글로벌 영업이익 2위 자리를 탈환했다. 3분기 충당금 반영으로 영업이익이 1조 원가량 줄었음에도 폭스바겐과의 격차를 2조원 가량 벌렸다. 현대차·기아는 연말 글로벌 자동차 영업이익 '넘버2'가 확실할 것으로 보인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누적 현대차·기아 합산 영업이익은 21조3681억 원으로 집계됐다. 3분기 충당금 반영으로 영업이익이 1조원가량 줄어들었음에도 양호한 실적을 나타내며 글로벌 영업이익 2위 자리를 되찾았다. 앞서 지난 1분기 글로벌 영업이익 2위를 기록한 현대차·기아는 2분기 폭스바겐그룹에 2위 자리를 내주고 3위로 밀려난 바 있다. 3위로 내려 앉은 폭스바겐그룹 1~3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162억 유로) 대비 21% 두 자릿수 감소한 129억 유로(한화 약 19조3894억 원)에 그쳤다. 현대차·기아와의 격차는 1조9787억 원까지 벌어졌다. 지난 1분기와 2분기 양사 영업이익 격차가 각각 2031억 원과 1676억 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10배 가량 확대된 셈이다. 폭스바겐그룹 측은 "코어 브랜드 그룹 및 프로그레시브 브랜드 그룹에서 주로 발생한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스포티지 인기에 힘입어 영국 시장 '톱5' 지위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올해는 10월까지 누적 판매 10만 대를 돌파하며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현대차 역시 브랜드 인기 SUV 모델 투싼 활약 덕에 '톱10'을 달리고 있는 상태로, 양사는 지속해서 현지 SUV 시장을 공략해 판매 확대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7일 영국자동차공업협회(SMMT)에 따르면 기아는 올해 들어 10월까지 영국 시장에서 10만936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9만6784대) 대비 4.29% 증가한 수치이다. 시장 점유율은 전년(4.29%) 대비 1.8%포인트 확대된 6.09%를 기록했다. 브랜드별 판매 순위는 4위다. 판매 라인업 중에서는 스포티지가 활약했다. 같은 기간 총 4만2115대가 판매되며 베스트셀링카 2위에 이름을 올렸다. 1위인 포드 푸마(4만246대)와의 판매 격차는 300여 대에 불과했다. 지난달의 경우에는 4533대 판매로 푸마를 1000대가량 앞서며 월간베스트셀링카에 꼽히기도 했다. 현대차는 같은 기간 전년(7만5456대) 대비 5.27% 증가한 7만9431대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전년(4.70%)보다 0.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지난달 중국 시장에서 전월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나타냈다. 로컬 브랜드의 시장 장악력 확대로 합작 브랜드의 입지가 축소된 가운데 중국공장 수출 확대를 통해 돌파구를 마련하며 성과를 냈다. 중국 전략형 EV 플랫폼 개발 등 신에너지차(ZEV) 시장 공략에도 나설 예정인 만큼 향후 현지 브랜드 입지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7일 BAIC그룹에 따르면 현대차 중국 합작사 베이징현대는 지난달 중국 시장에서 총 1만4000여 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월 대비 40% 두 자릿수 급증한 수치이다. 판매 반등을 위한 돌파구로 수출을 선택한 데 따른 성과로 풀이된다. 베이징현대는 지난 9월 중국 공장을 글로벌 수출기지로 육성하고 내수와 수출 비중을 '50:50'으로 나눴다. 지난 4월 베이징 오토쇼에서 발표한 '글로벌 인 차이나'(Global in China) 전략의 개념을 재정립한 것이다. '글로벌 인 차이나'는 중국 안에서 글로벌화를 이루겠다는 목표 아래 세워진 전략이다. 당초에는 현지 R&D 역량 강화를 토대로 한 제품 성능 개발이 중점이었다. <본보 2024년 9월 6일 참고 현대차, 中공장 수출기지 육성…‘내수:수출=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호주에서 렌터카를 내세워 전기차(EV)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글로벌 렌터카 업체 유로카(Europcar Mobility)와 파트너십을 맺고 아이오닉 5와 6의 전기차 구독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호주법인(HMCA)은 유로카와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이번 파트너십에 따라 현대차는 아이오닉 5·와 아이오닉6 등 총 270대를 호주 전역의 유로카 지점에 배치한다. 이는 유로카의 전기차 운영 최대 규모다. 현대차는 일반 렌트를 비롯해 유로카 구독서비스 ‘마이 유로카(myEuropcar)’를 통해 최소 1개월에서 최대 12개월까지 다양한 장기 렌트 옵션을 마련했다. 해당 프로그램에는 △기본 보험 패키지 및 △월간 1200km 주행 한도 패키지 △유지 보수 등 서비스가 포함된다. 고객이 아이오닉의 높은 실용성과 성능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유로카는 고객 편의를 위한 다양한 혜택과 서비스도 마련했다. △중개 수수료 면제 △24시간 긴급 지원 △차량 교체 서비스 △추가 운전자 등록 옵션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 현대차는 이번 유로카 파트너십이 호주 전기차 시장 확대로 이어길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스페인 해변을 찾는 관광객들의 주차 요금을 플라스틱 폐기물로 받는 이색적인 캠페인을 진행했다. 주차 비용 절감을 노린 관광객들의 자체 정화 활동을 유도하기 위한 넛지(nudge)를 마련한 것이다. 이번 캠페인과 함께 신형 전기차 모델 전시를 병행하며 친환경 브랜드 이미지 구축도 병행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스페인 산센소(Sanxenxo) 해변에서 인터렉티브 옥외광고(interactive OOH) 캠페인 '에코파킹'을 진행했다. 에코파킹은 주차 비용 절감과 해양 환경 보호 활동에 대한 책임감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둔 스마트 이니셔티브이다. 주차장 이용 요금을 플라스틱 폐기물로 받아 자체 정화 활동을 유도한다. 플라스틱병 1개당 무료 주차 혜택은 30분이다. 개수 제한은 따로 없다. 현대차가 캠페인 장소로 스페인을 낙점한 이유는 명확하다. 스페인은 유럽에서 가장 많은 양의 플라스틱 폐기물을 배출하는 국가이다. 7268㎢에 달하는 해안선을 보유하고 있어 매년 수백만 명의 관광객이 모여든 데 따른 영향이다. 에코파킹 운영은 하루 10시간씩 약 한 달간(348시간) 진행됐다. 해당 기간 수거된 플라스텍 폐기물은 424개로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중동 수소 산업 리더들이 모인 자리에서 미래 수소 모빌리티 비전을 제시했다. 중동 지역에서 지속 가능한 운송을 위한 솔루션으로 수소 생태계 조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는 점을 어필하며 존재감을 과시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는 최근 오스트리아 빈 리히텐슈타인 궁전과 가든 팰리스에서 열린 '제14회 Dii 사막 에너지 리더십 서밋'(14th Dii Desert Energy Leadership Summit 2024, Dii 서밋) 핵심 후원사(Gold Sponsor)로 참가했다. Dii 서밋은 중동과 유럽의 산업 리더들이 모여 청정 에너지의 미래와 지속 가능한 저탄소 경제 달성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머리를 맞대는 자리이다. 지속가능개발목표(SDG)에 따라 프로젝트 실행자를 결정, 이를 토대로 오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와 에너지 효율을 3배 이상 늘리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현대차는 중동·북아프리카 수소 에너지 연합(MENA Hydrogen Energy Alliance)의 회원이다. DEI(Desert Energy Initiative)를 토대로 이들 지역에 수소 트럭과 버스를 배치하는 데 상당한 진전을 이루고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유럽 시장 영업력 강화를 위해 유럽권역본부 수장을 교체한다. 약 30년 간 영업 마케팅 분야에서 전문성을 갖춘 인물을 유럽권역본부장으로 새로이 영입했다. 유럽에서 가장 사랑받는 브랜드로 거듭나겠다는 브랜드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고객경험만큼이나 영업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현대자동차 유럽법인(HME)은 5일(현지시간) 자비에르 마티넷(Xavier Martinet)을 현대차 신임 유럽권역본부장으로 영입했다고 발표했다. 내달 31일 부로 임기를 마치는 마이클 콜(Michael Cole) 유럽권역본부장의 뒤를 이어 내년 1월1일부터 직책을 수행한다. 전임자인 마이클 콜은 현대차의 유럽 진출을 촉진하는 가교 역할을 하며 선도적인 모빌리티 솔루션 공급업체가 될 수 있도록 기반을 닦은 인물이다. 자비에르 신임 유럽권역본부장은 유럽과 아메리카 자동차 산업에서 27년간 몸을 담은 베테랑이다. 1997년 르노에서 영업 및 마케팅 어시스턴트로 자동차 업계에 발을 들인 이후 영업 관리 총괄과 최고 마케팅 책임자 등 주요 직책을 역임했다. 현대차 입사 직전에는 르노그룹 산하 다시아 마케팅 영업 및 운영 담당 수석 부사장을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CNN과 함께 여성 리더십과 혁신을 조명하는 글로벌 캠페인을 전개한다. 이번 캠페인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는 여성 리더들의 도전 스토리를 통해 현대차의 지속 가능성과 브랜드 가치를 강화한다는 각오다. 5일 CNN에 따르면 현대차는 CNN의 자회사 CNN 인터내셔널 커머셜(CNNIC)과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크로스 플랫폼 광고 캠페인을 진행한다. CNN TV 채널은 물론, 소셜미디어(SNS) 및 스폰서십(후원) 광고를 결합한 방식으로 폭넓은 글로벌 시청자층을 타깃으로 한다. 단순 광고 형식이 아닌 캠페인 속 주인공의 삶의 여정을 자연스럽게 풀어내는 스토리텔링 방식을 채택해 자사의 브랜드 비전인 ‘인류를 위한 진보’와 주인공의 혁신적인 리더십을 시청자에게 전달한다. 이를 통해 시청자들로 하여금 삶에 대한 영감 및 동기를 불러일으킨다는 계획이다. 우선 CNNIC의 글로벌 브랜드 스튜디오인 ‘크리에이트(Create)’에서 다큐멘터리 영상을 제작해 송출한다. 이 영상에는 호주 출신 프로 서퍼이자 기네스 세계 기록 보유자, 현대차 홍보대사인 로라 에네버가 출연한다. 로라는 서핑에 대한 열정과 여성 서퍼로서의 삶을 강조하며 차세대 여성
[더구루=김은비 기자] 현대자동차가 새로운 디자인과 첨단 기술로 적용한 '올 뉴 베르나'(국내명 액센트)를 출시했다. 인도 현지의 제조 역량을 토대로 다양한 판매 라인업을 내세워 현지 시장 확대에 강한 드라이브를 건다. 현대차 인도법인(HMIL)은 지난 4일(현지시간) 인도 시장에서 ‘올 뉴 베르나’를 공식 출시했다. 신형 베르나는 리어 스포일러가 눈에 띄는 스포티한 패스트백 스타일로 출시됐다. 새롭게 출시된 아마존 그레이 색상과 두 가지 듀얼 톤 옵션을 포함한 총 8가지의 컬러 옵션으로 제공된다. 미래지향적 디자인의 다양한 외관 옵션으로 눈길을 모으고 있다. 여기에 넓은 실내 공간과 고성능 사양을 갖춰 한층 업그레이드됐다. 실내에는 △통합 인포테인먼트 및 △디지털 클러스터 △통풍 및 열선 시트 △64가지 색상의 앰비언트 라이트 △보스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 등 고급 편의 기능이 장착돼 고객에게 뛰어난 차량 내 경험을 제공한다. 가격은 110만400루피(약 1803만 원)부터 시작된다. 현대차는 이번 신형 베르나를 출시를 기점으로 인도 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인도자동차판매협회(FADA)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달 인도 시장에서 5만5128대를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미국 전기차(BEV) 최대 승부처인 캘리포니아에서 고속질주하고 있다. 테슬라가 주춤하자 수요를 확대, 두 자릿수 성장을 일궈나가고 있다. 5일 캘리포니아신차딜러협회(CNCDA)에 따르면 현대차는 올들어 9월까지 캘리포니아주 BEV 시장에서 총 1만6433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1만2596대) 대비 30.5% 두 자릿수 성장한 수치이다. 시장 점유율은 전년(4.3%)보다 1.3%포인트 상승한 5.6%를 기록했다. 판매 라인업 중에서는 브랜드 전용 전기차 모델 아이오닉5가 실적을 견인했다. 같은 기간 총 1만1711대를 기록하며 베스트셀링BEV 3위에 이름을 올렸다. 제네시스도 같은 기간 전년(1039대) 대비 32.1% 확대된 1373대를 판매했다. 점유율은 0.5%로 전년(0.4)보다 0.1%포인트 소폭 증가했다. 기아는 같은 기간 전년(6436대) 대비 64.4% 수직성장한 1만584대를 기록했다. 점유율은 3.6%로 전년(2.2%)보다 1.4%포인트 올랐다. 이들 브랜드 합산 시장 점유율은 9.7%다. 테슬라를 제외하면 완성차 업체 중에서는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냈다. 올해 들어 테슬라가 주춤하는 사이 캘리포
[더구루=홍성일 기자] 헝가리가 폴란드 기업과 손잡고 소형 모듈 원전(Small Modular Reactor, SMR) 도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헝가리는 단순 검토 수준이 아닌 미국산 SMR 도입까지 완료, 에너지 믹스 구축에 속도를 낸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4일 업계에 따르면 헝가리 원자력 개발 회사 '후나톰(Hunatom)'은 폴란드 SMR 기업 '신토스 그린 에너지(Synthos Green Energy, 이하 신토스)'와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후나톰과 LOI를 체결한 신토스는 폴란드 최고 부호인 미하우 소워보프(Michał Sołowow)가 운영하는 SMR 전문기업이다. 신토스는 폴란드 기업 중에서도 가장 적극적으로 SMR 도입을 추진해 온 기업이다. 미국 제네럴일렉트릭(GE)과 일본 히타치 합작사인 'GE 히타치 뉴클리어 에너지(GEH)'와 전략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신토스는 GEH가 개발한 발전용량 300메가와트(㎿)의 SMR 'BWRX-300'의 폴란드 내 독점권을 보유하고 있다. 계약에 따라 후나톰은 신토스를 통해 BWRX-300 도입에 앞서 필요한 기술적, 인프라적, 재정적, 법적 준비 작업을 진행한다. 후나톰이 정확히
[더구루=홍성환 기자] 엔비디아가 투자한 것으로 유명한 AI 데이터센터 기업 코어위브(CoreWeave)가 미국 뉴저지주(州) 데이터센터 개발에 본격 착수한다. [유료기사코드] 4일 미국 상업용 부동산 컨설팅 회사 뉴마크에 따르면 코어위브는 미국 뉴저지주 케닐워스 지역 노스이스트 과학기술센터(NEST) 내 데이터센터 개발 부지를 3억2200만 달러(약 4500억원)에 매입했다. 코어위브는 이 부지에 12억 달러(약 1조6700억원)를 투자해 전체면적 약 2만6000㎡ 규모 AI 데이터센터를 건설할 계획이다. 노스이스트 과학기술센터는 미국 부동산 투자사 오닉스 에쿼티스와 머신 인베스트먼트 그룹이 머크 본사를 인수해 개발한 과학기술 단지다.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AI 반도체를 이용한 데이터센터를 운영하고 임대하는 사업을 한다. 이 회사는 2017년 암호화폐 채굴 회사로 출발 후 2019년 AI 학습·추론에 필수적인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사업으로 전환했다. 코어위브는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라는 점에서 아마존의 웹서비스 AMS, 마이크로소프트(MS) 애저, 구글 클라우드와 경쟁하고 있다.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와 IBM 등을 고객사로 두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