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시스테크(此芯科技官网)가 마이크로소프트(MS) 인공지능(AI) 개인용컴퓨터(PC) 플랫폼 코파일럿+ 기준에 충족하는 프로세서를 선보였다. 중국의 반도체 자립에 속도가 붙고 있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시스테크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AI PC용 프로세서 '시스 P1(Cixin P1)'를 공개했다. 시스테크는 조만간 해당 칩의 대량 양산에 돌입한다. 시스테크는 해당 프로세서를 15개월에 걸쳐 개발했으며 4개월간 제조해 3개월간 테스트를 거쳤다고 소개했다. 이번에 공개된 시스 P1은 6나노미터(nm) 공정에서 생산되며 ARM 아키텍처를 기반으로 개발됐다. 12개의 ARM CPU가 탑재됐으며 최대 클럭은 3.2㎓다. 시스 P1이 주목받는 것은 45톱스(TOPS, 초당 1조 연산) 신경망 처리장치(NPU)가 탑재됐다는 것이다. 45톱스는 MS 코파일럿+ 노트북에 탑재된 퀄컴 스냅드래곤 엑스(Qualcomm Snapdragon X) 엘리트와 동일한 수치다. MS 코파일럿+ 기준인 40톱스도 넘어선다. 이외에도 시스 P1은 최대 64GB LPDDR5-6400을 지원하며 디스플레이에서 최대 4K 120 FPS, U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주요 디스플레이 기업들의 실적이 대폭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중국이 전체 패널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절반에 달하는 만큼 글로벌 디스플레이 업황의 회복 시그널이 감지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미국 디스플레이 산업 전문 매체 '디스플레이 데일리'에 따르면 중국 시장조사기관 '시그마인텔'은 올해 패널 산업의 매출이 작년보다 14%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7.6% 감소한 것과 달리 확실한 성장세가 점쳐진다. 시그마인텔은 중국 디스플레이 제조사들의 긍정적인 실적 전망치에 주목했다. BOE와 TCL 자회사인 CSOT는 세자릿수대의 순이익 증가율이 예상된다. 적자를 기록했던 비전녹스(Visionox)와 티엔마(Tianma)는 적자폭을 축소할 것으로 관측된다. BOE는 올해 연간 순이익이 전년 대비 185~213% 증가한 210억~230억 위안을 달성할 것으로 기대된다. CSOT도 95억~105억 위안 가량의 순이익을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작년과 비교해 180~210% 증가한 수치다. 비전녹스와 티엔마는 적자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다만 비전녹스는 전년 대비 11~33% 개선된 110억~114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 혼다가 세계 최대의 자동차 시장인 중국에서 내연기관 차량 생산을 대폭 줄인다. 일부 라인은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중국 완성차 업체의 점유율 확대 및 전기차(EV)로의 전환 추세 등으로 인해 현지 시장에서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하며 결국엔 생산 중단이라는 '고육지책'까지 내놨다. [유료기사코드] 29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에 따르면 혼다는 중국 내 7개 자동차 생산라인 중 3개를 폐쇄하거나 생산 중단한다. 혼다가 중국 내 생산을 축소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우선 혼다는 오는 10월 중국 광둥 광저우시에 위치한 합작공장의 문을 닫는다. 후베이성 우한시에 위치한 공장은 11월부터 생산 중단한다. 이를 통해 현재 연간 149만 대 가량인 중국 내 내연기관 차량 생산 능력을 100만 대로 줄일 계획이다. 일본 자동차 업체는 지난 2000년대부터 중국 정부의 자동차산업 육성 전략하에 현지 기업과의 합작 법인을 세우는 등 현지에서 자동차 생산·판매에 힘을 쏟기 시작했다. 일본 자동차 업체들이 중국 내에서 가장 높은 판매 점유율을 기록했던 지난 2020년 당시 점유율은 약 20%에 달했다. 하지만 최근 중국 정부의 EV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 시장이 하반기에도 성장세를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기차 배터리 시장 부진으로 전체 산업이 흔들리고 있는 가운데 ESS 배터리가 분위기를 전환시킬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상하이증권뉴스 등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중국 신형 ESS의 신규 설비용량은 14.66기가와트시(GWh)로 전년 동기 대비 75% 증가했다. 5월에만 신규 설비용량이 2.97GWh에 달하며 동기 대비 10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 시장 수요가 늘어나며 중국의 ESS용 배터리 수출도 급증했다. 지난달 중국의 기타 배터리(주로 ESS용 배터리)의 수출량은 5.3GWh였다. 전년 동기 대비 417.8%라는 폭발적인 성장률을 기록했다. 실제 올 2분기 중국 주요 배터리 기업도 잇따라 대형 수주를 따냈다. 이브(EVE) 에너지는 지난달 미국 ESS 기업인 포윈(Powin)과 15GWh 규모 배터리 공급을 계약을 체결했다. 작년에도 10GWh 규모 공급 계약을 확보한 바 있다. 정부 정책 기조도 ESS 산업 성장 촉진과 맞닿아 있다. 중국 중앙과 지방 정부는 '14차 5개년 경제 사회 발전 계획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디스플레이 소재 회사 '루이롄신소재(瑞联新材)'가 상반기 매출과 순이익 모두 두자릿수 성장률을 보였다. 스마트폰 패널용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수요가 치솟고 웨어러블 기기와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으로 수요처 범위가 넓어져서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차이롄서(财联社) 등 외신에 따르면 루이롄신소재는 상반기 매출이 6억9300만 위안(약 13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57% 증가했다. 모회사 귀속 순이익은 1년 사이 62.04%나 급등해 9445만5800위안(약 180억원)에 달했다. 2분기만 보면 순이익이 전 분기 대비 75.14% 뛰어 6012만 위안(약 110억원)을 기록했다. 실적 성장의 배경은 OLED 사업의 성장에 있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올 1분기 OLED 스마트폰 출하량과 매출이 각각 전년 동기 대비 50%, 3%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상반기 기준으로는 같은 기간 43% 폭등했다. 주요 수요처인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OLED 채택이 늘며 관련 소재 매출은 액정표시장치(LCD)를 능가했다. 올해에도 LCD와는 대조적으로 높은 성장률이 전망된다. 스마트폰과 TV에 이어 태블릿PC, 노트북, 차량
[더구루=홍성일 기자] 상하이시가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한 무인 자율주행차 시범사업을 개시한다. 중국에서 본격적인 자율주행차 시대가 시작되고 있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상하이시는 무인 스마트 커넥티드카 시범 응용을 승인했다. 상하이시 승인에 따라 중국 내 스마트 자율주행차 기업들은 무인 자율주행 테스트 사전 준비에 돌입했다. 테스트는 빠르면 7월 말부터 시작될 예정이다. 상하이 무인 자율주행 시범 사업은 린강 지역의 68제곱킬로미터(㎢) 구역에서 진행된다. 이용자들은 위챗 내 미니 프로그램을 활용해 자율주행차량을 호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차량에는 완전 자율주행차를 시험중인 우한과 다르게 조수석에 안전요원이 배치된다. 차량에 탑승하면 설치된 태블릿 PC에 휴대전화 4자리를 입력하면 된다. 이후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출발 버튼을 누르면 도착지점까지 자율주행을 시작한다. 이용자는 탑승 기간 주행 루트 등을 태블릿PC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음악 감상 등도 가능한다. 상하이시 자율주행차 테스트에 참여한 기업들은 소수의 차량을 우선 투입한 이후 상황에 따라 테스트 차량을 추가로 배치할 계획이다. 한편 중국의 자율주행차 기술 부문은 현재 세
[더구루=윤진웅 기자] 중국 BYD가 인도네시아 시장에 브랜드 첫 번째 전기 MPV 모델 M6를 출시했다. 현지 시장에서 기대감이 커지자 출시일을 앞당겼다. BYD 블레이드 배터리를 장착해 1회 충전 주행거리 530km를 자랑하는 전기차 모델인 만큼 현지 운전자들의 높은 관심을 얻을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8일 업계에 따르면 BYD는 지난 22일 인도네시아 컨벤션 전시장(ICE BSD)에서 열린 인도네시아 국제모터쇼(GIIAS 2024)를 통해 7인승 전기 MPV 모델 M6를 현지 출시했다. 6인승과 7인승으로 나눠 3가지 트림으로 출시된 M6의 현지 판매 가격은 2만3400~2만6500달러(한화 약 3242만~3672만 원)로 책정됐다. BYD는 인도네시아 전기차 시장 성장 기대감에 따라 출시일을 앞당겼다는 설명이다. 인도네시아 정부가 올해 전기차 5만 대 시장을 열겠다고 발표했다는 이유에서다. BYD는 M6가 인도네시아에 출시하는 브랜드 최초 전기 MPV 모델이라는 점에서 수요 확보가 용이할 것으로 봤다. BYD M6에는 BYD 블레이드 배터리가 장착된다. 55.4kWh와 71.8kWh 2가지 용량으로 제공되며 각각 NEDC 기준 1회 충전 주행 거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기술 기업 텐센트 클라우드(Tencent Cloud)가 자국 3대 중앙처리장치(CPU) 브랜드를 지원하기 위해 자체 개발 서버 운영체제(OS)를 출시했다.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에 대응하기 위해서다. 텐센트를 비롯한 중국 기술 기업들은 자국의 자체 OS 점유율을 점차 늘려 미국 기술 의존도를 낮춘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기술 기업 텐센트 클라우드가 엔터프라이즈급 서버 OS인 '텐센트OS 서버V3(TencentOS Server V3)'를 출시했다. △화웨이(Huawei) △하이곤(Hygon) △파이티움(Phytium) 등 자국 CPU 브랜드를 지원하기 위해 설계됐다. 텐센트OS 서버V3는 △CPU 사용량 및 △전력 소비 △메모리 사용량을 최적화한다. 이로써 프로세서와 데이터 센터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텐센트OS 서버V3는 그래픽처리장치(GPU) 클러스터를 실행해 텐센트의 인공지능(AI) 작업도 지원한다는 특장점을 지녔다. 가상화된 엔비디아의 GPU를 지원해 광학문자인식(OCR)과 같은 단순하지만 리소스 집약적인 서비스 사용시 프로세서 활용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같은 방식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디지털 휴먼 기술이 서비스 산업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최근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디지털 휴먼 기술의 발전에도 가속이 붙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코트라 상하이무역관이 작성한 'AI를 통해 새로운 세계로, 중국의 디지털 휴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디지털 휴먼 기술 산업 규모는 2025년 6402억7000만 위안(약 122조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2023년 3334억7000만 위안(약 63조원)에 2배 가까운 규모다. 디지털 휴먼 기술은 인간의 동작, 목소리 등의 데이터에 AI 기술을 접목해 가상 인간을 만드는 기술이다. 디지털 휴먼은 방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감정소모도 하지 않아 서비스 산업에서 장점을 발휘하고 있다. 현재 중국에서는 전자상거래, 금융 등 민간 분야 외에도 문화관광, 공공서비스 등에도 적극활용되고 있다. 분야별로 유명한 디지털 휴먼에는 중국 국가 박물관의 디지털 휴먼 가이드 '애우언우언'을 비롯해 바이씬 은행의 아이야, 상하이 푸동개발은행 시아오푸 등이 있다. 중국 정부는 디지털 휴먼을 활용한 문화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디지털 문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연구진이 태양광으로 구동되는 초소형 드론을 개발했다. 초소형 태양광 드론은 순수 자연광만 있으면 비행을 지속할 수 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중국 언론 신화망(新华网,신화왕)에 따르면 베이징항공우주대학(北京航空航天大学) 연구진은 독자적으로 개발한 정전기 모터를 이용해 무게가 4.21그램(g)에 불과한 초소형 태양광 드론 개발에 성공했다. 정전기 구동 솔루션으로 드론을 비행하게 한다. 그동안 태양광으로 움직이는 대형 드론은 개발됐으나, 태양광을 적용한 초소형 드론이 개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대형 드론에는 기존의 모터와 함께 대형 태양광 패널을 설치할 수 있어서 패널의 에너지 전환율이 매우 낮더라도 충분한 동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초소형 드론의 경우 장착되는 모터도 초소형으로 만들어져 발열량이 늘어나고 에너지 전환율이 급격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초소형 드론 기체가 태양광 패널 무게를 견디지 못해 비행이 불가능했다. 베이징항공우주대학 연구진이 개발한 초소형 드론은 날개를 폈을 때 길이가 20㎝로, 기체 하부 양쪽에 손바닥 크기보다 더 작은 태양전지 2개가 장착됐다. 연구진은 1.13g의 초경량 고압 전기에너지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테무(Temu)의 올해 상반기 매출이 급증했다. 테무의 글로벌 시장 확대 전략이 성공적인 성적표로 돌아온 셈이다. 다만 글로벌 각국에서 규제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어 향후 전망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7일 업계에 따르면 테무는 올해 상반기 총매출(GMV) 200억 달러(약 27조원)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 총매출 180억 달러(약 24조9400억원)를 뛰어넘은 규모다. 분기별로는 1분기가 80억 달러, 2분기가 120억 달러를 기록했다. 가장 많은 매출이 발생한 지역은 미국으로, 올해 상반기 테무 매출의 45%가 미국에서 발생했다. 테무의 매출이 급상승한 이유는 지난 2022년부터 펼쳐온 글로벌 확장 전략이 효과를 보고 잇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테무는 2022년 9월 미국에 진출하며 본격적으로 해외 사업을 확장했다. 현재 테무는 70여국에 진출했으며 초저가 전략으로 시장에 안착했다. 여기에 테무는 올해 3월부터 미국에서 반위탁 서비스를 시작했다. 해당 서비스는 테무가 마케팅, 고객 서비스, 물류 등을 지원하고 판매자가 제품 선택, 가격 책정, 재고를 관리하는 서비스다. 테무는 반위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중공업이 중국 액화석유가스(LPG) 단열탱크 제조 공장 건설 프로젝트에 본격 착수했다. 정부 허가 절차를 거쳐 조만간 착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영성(荣成, 룽청)시에 따르면 천연자원국은 지난 22일(현지시간) 삼성중공업 단열코팅 공장 건설 승인에 앞서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을 받는다고 공고했다. 이의가 있는 이해관계자 등은 이달 30일까지 시 당국에 청문회 개최를 요청해야 한다. 이 기간 동안 정부에 접수된 이의 제기가 없으면 이달 내 승인이 이뤄질 전망이다. 청문회 개최 요청이 발생할 경우 허가 절차가 길어져 최종 승인이 늦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중공업의 중국 유일 사업장인 영성법인은 1300만 달러를 투자해 LPG 단열탱크 공장을 짓는다. 약 7110㎡ 규모 부지에 단층 시설이 들어선다. 내년 하반기 완공이 목표다. 지난 5월 삼성중공업과 영성시 관계자 참석 하에 프로젝트 조인식을 개최했다. <본보 2024년 6월 3일 참고 삼성중공업, 中 룽청에 LPG 단열탱크 제조공장 구축...친환경 선박 기술 선도> 삼성중공업이 현지에 LPG 탱크 공장을 구축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기존 중국 내
[더구루=한아름 기자] 맥도날드(Mcdonald)의 40년 특별 인기 메뉴 '맥립 버거'가 다음달 미국에서 부활한다. 겨울철 비수기에도 매출을 유지하기 위해 맥립 버거 한정 판매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국내에서도 맥립 버거 출시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맥도날드가 다음달 3일 미국에서 '맥립 버거'를 겨울 특별 메뉴로 선보인다. 맥립 버거 출시에 앞서 오는 25일부터 맥립 BBQ 소스 판매에도 돌입한다. 맥립 버거는 1980년대 추운 겨울 맥도날드 매장을 찾을 정도로 맛있는 버거를 만들자는 독특한 아이디어에서 착안해 개발된 제품이다. 지난 1981년 미국 캔자스주 캔자스시티(Kansas City)에서 처음 출시됐다. 매콤한 맥립 BBQ 소스에 스모키한 향이 나는 돼지고기와 양파, 피클을 구운 번 사이에 넣어 든든한 한끼 식사로 현지 소비자들의 인기를 끌었다. 맥립 버거는 출시 4년 만에 판매 부진으로 단종됐으나 소비자들이 꾸준히 재출시를 요청했으며, 맥도날드가 향수를 자극하는 마케팅을 전개하기 위해 맥립 버거를 특별 인기 메뉴로 부활시켰다. 그러자 맥립 버거는 소비자들의 이목을 다시 끌었다. 소비자들은 맥립 버거가 언제 어디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반도체 부품 제조업체 팔리두스(Pallidus)가 사우스캐롤라이나주 록힐에 계획했던 반도체 공장 건설 프로젝트를 전격 취소했다. 미국 정권 교체에 및 희토류 수급 부족 등 반도체 산업 전반에 걸친 불확실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팔리두스가 록힐에 본사 및 제조시설을 이전하려던 계획을 전면 철회했다. 팔라두스는 지난해 2월 뉴욕주 올버니에서 록힐로 생산 거점을 이전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팔라두스는 당시 4억4300만달러(약 6200억원)를 투자, 새 거점에 30만 평방피트(ft²) 규모로 공장을 설립한다고 밝혔다. 팔리두스는 실리콘 카바이드(SiC) 기술에 특화된 선구적인 반도체 솔루션 기업이다. 전력 반도체 및 첨단 시장을 위한 고성능 SiC 웨이퍼를 제공하고 있다. 필리두스가 공장 이전 계획을 철회한 데에는 글로벌 전역에 끼친 반도체 산업에 대한 불확실성이 큰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미·중갈등에 따른 희토류 수급 불안 등 공급망 문제가 장기화되면서 업계 전반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에 따라 반도체 산업 보조금 삭감 우려도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