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본 반도체 업계에서 인력 확보를 위한 '쟁탈전'이 격화되고 있다. 현지 대규모 공장들이 늘어나면서 인재 수요는 늘어나는 데 반해 반도체 관련 인력 자체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유료기사코드] 8일 일본 구인 정보회사 리쿠르트에 따르면 반도체 엔지니어 채용 공고가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만 하더라도 일본 내 반도체 및 전자 제조 장치 관련 엔지니어 구인 수는 2013년 대비 14.24배 증가했다. 일본 현지에서 대규모 공장 건설이 진행되면서 인력 부족 현상은 심화되고 있다. TSMC가 진출한 규슈 및 오키나와 지역과 라피더스가 공장을 건설 중인 홋카이도 및 도호쿠 지역 모두 부족한 반도체 인력을 메우기 위한 채용이 줄을 잇고 있다. 일손이 부족하다 보니 관련 인력의 연봉도 크게 늘었다. 연봉 600만엔 이상을 제시하는 기업은 2018년 13.1%에서 2023년 19.5%로 증가했다. 반면 400만엔 미만을 제시하는 기업은 42.7%에서 30.3%로 감소했다. 일본 내 반도체 기업들로서는 인력 확보가 그 어느 때보다 시급하다. TSMC는 구마모토현에 지난 2월 1공장을 개소해 오는 4분기 상업 생산을 시작한다. 지난 4월에는
[더구루=정예린 기자]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전문 회사 ‘미라콤아이앤씨(이하 미라콤)’가 6년 내 매출 5배 성장을 자신했다. 선도적인 디지털 인프라를 앞세워 고객사의 생산과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고 기업 성장을 지원한다는 목표다. 8일 싱가포르 경제매체 '더월드폴리오(The Worldfolio)'에 따르면 강석립 미라콤 대표이사는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주요 목표는 2030년까지 매출 10억 달러를 달성하는 것"이라며 "세계에서 가장 빠른 스마트팩토리 토탈 솔루션 공급업체가 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이어 "저희는 반도체, 배터리, 식음료, 자동차, 화학 산업에 집중할 것"이라며 "축적된 전문성을 활용해 각 산업별 프로세스를 고객사 직원보다 더 잘 이해하고 있다고 확신하며, 해외 현지 기업과 협력할 준비도 잘 되어 있다"고 덧붙였다. 미라콤은 지난 1998년 설립된 통합생산관리시스템(MES) 회사다. MES를 비롯해 창고관리시스템(WMS), 설비자동화, 제조물류자동화 시스템과 IT 인프라 구축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내에서는 삼성 계열사는 물론 반도체, 전기·전자, 자동차, 식음료 등 21개 업종의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사업을 펼치고 있다. 동남아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오키나와 과학기술원(OIST) 연구진이 반도체 첨단 공정 구현을 위한 핵심 설비 극자외선(EUV) 노광 장비의 '가성비 모델'을 개발했다. 세계 유일 EUV 노광 장비 공급사인 네덜란드 ASML의 독점 체제를 깨고 반도체 산업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일으킬지 이목이 집중된다. [유료기사코드] 7일 OIST에 따르면 신타케 츠모루 물리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ASML이 개발·제조한 것보다 저렴하면서도 간소화된 새로운 EUV 노광 장비 설계를 개발, 특허를 출원했다. 장비 대량 생산에 성공할 경우 칩 생산 비용을 획기적으로 낮출 수 있다는 설명이다. 연구 결과는 올 4월 일본 요코하마에서 열린 '포토마스크 재팬 심포지엄'에서 발표됐다. 한 달 뒤인 5월 'EUV 리소그래피의 에너지 효율을 개선할 수 있을까?(Can we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of EUV lithography?)'라는 제목으로 논문을 냈고, 현재 출판 전 논문(preprint) 상태로 공개됐다. EUV 노광 장비는 빛의 파장이 기존 노광 장비보다 짧아 이를 이용하면 더 미세한 반도체 회로를 만들 수 있다. 특히 7나노 이하 반도체 초미세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전자가 브라질 '제2의 가전 공장' 건설을 본격화한다. 오는 2026년부터 냉장고를 시작으로 세탁기, 건조기 등 주요 제품을 양산한다. 브라질을 주요 거점 삼아 신흥 시장에서 판매를 확대하고 선진국의 수요 둔화에 대응한다. 7일 노쏘디아(Nossodia) 등 외신에 따르면 LG전자는 브라질 파라나주 파잔다 리우 그란데시에서 신공장 설립을 위한 부지 정리 작업을 시작했다. 오는 2026년 1분기 생산을 목표로 공장을 짓는다. 신공장은 냉장고부터 세탁·건조기 등 주요 생활가전 제품을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 총투자비는 15억 헤알(약 3700억원) 이상으로 추정된다. LG전자는 지난해 5월부터 파라나주와 투자를 논의해왔다. 여러 부지와 함께 검토한 끝에 지난 2월 카를로스 마사 라띠뇨 주니어(Carlos Massa Ratinho Junior) 주지사의 방한을 기념해 파라나주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당시 MOU 행사에 참석한 류재철 LG전자 H&A사업본부장(사장)은 "브라질 시장은 LG에 매우 중요하다"며 "우리는 시장 조사를 충분히 했고 파라나에서 완벽한 인프라와 물류를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주·시정부와 협력해 성
[더구루=정예린 기자] SK하이닉스가 미국 에너지부 산하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ANL)와의 기술 파트너십을 강화한다. 차세대 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개발해 인공지능(AI), 고성능 컴퓨팅(HPC) 등 데이터 집약적인 응용처를 위한 첨단 스토리지 생태계를 구축한다. LANL은 6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클라라에서 열리는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행사 'FMS 2024'에서 SK하이닉스와의 공동 연구 성과를 공개한다고 발표했다. 양측이 함께 개발한 객체 기반 컴퓨팅 스토리지(OCS) 시스템을 시연한다. OCS는 데이터 분석 성능을 높여주는 스토리지 장비다. 높은 확장성과 데이터 인식 성능이 특징이다. 기존 데이터 분석을 위해 불러왔던 방대한 데이터를 줄이기 위해 스토리지 자체에서 스스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서버에 전송해 데이터 이동량을 최소화한다. SK하이닉스는 작년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열린 '슈퍼컴퓨팅 2023(Supercomputing 2023)'에 참가해 OCS 시스템을 비롯한 LANL와의 협업 결과물을 선보인 바 있다. 당시 OCS 시스템과 CXL 기반 CMS(Computational Memory Solution)도 전시
[더구루=정예린 기자] 국내 혼합현실(XR) 글라스 제조사 '피앤씨솔루션'이 국내외 기업으로부터 러브콜을 받고 있다. 글로벌 기업들과 잇따라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경쟁력을 확보, 성장 가속페달을 밟는다. 7일 싱가포르 경제매체 '더월드폴리오(The Worldfolio)에 따르면 최치원 피앤씨솔루션 대표는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미국에 있는 한 방위 회사가 우리에게 연락해 미 공군 내 항공기 수리를 위해 증강현실(AR) 안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며 "우리는 프로젝트를 제안했고, 현재 미 공군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그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항공기를 수리하는 정비사가 AR 안경을 착용하면 오류를 최소화해 작업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게 최 대표의 설명이다. 예를 들어, 항공기에 단단하게 고정되지 않은 볼트를 인식, 사용자에게 시각적 알림을 보낸다. 작업 후 검사관 등이 최종 점검을 할 때도 활용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공급 뿐만 아니라 기술 교류 측면에서도 국내외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 해외 기업 중에서는 퀄컴, 델, 소니 등을 파트너사로 확보했다. 피앤씨솔루션은 퀄컴과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 피앤씨솔루션은 퀄
[더구루=김은비 기자] 일본 소니 그룹이 개발한 하드디스크구동장치(HDD)용 반도체 레이저의 출하량이 본궤도에 올랐다. 생성형 인공지능(AI)의 보급 등으로 데이터센터 수요가 급증하면서다. 소니는 이를 통해 HDD 시장에서 입지를 확보하고 매출을 대폭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6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소니 그룹 반도체 자회사 소니세미컨덕터솔루션즈(SSS)는 미국 시게이트테크놀로지(이하 시게이트)에 납품하는 HDD용 반도체 레이저를 지난 6월 말 기준 누적 약 7000만개 이상 출하했다. SSS의 반도체 레이저는 시게이트의 열 보조 자기기록(HAMR) 기술을 구현하는 핵심 부품이다. HAMR은 고온 레이저를 통해 국소 면적을 순간 가열함으로써 자계의 강도를 일시적으로 저하시키는 방식으로, 메모리를 고밀도로 기록할 수 있다. 운영 효율화 및 비용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시게이트는 기존 3.5인치 HDD 1대당 디스크를 10장 탑재하고 수직 자기 기록(PMR) 방식으로 정보를 기록해 왔다. 그러나 HMAR 기술을 통해 동일한 단위 면적에 더 높은 밀도로 메모리를 기록할 수 있게 되면서 저장 용량을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질화갈륨(GaN) 반도체 기업 나비타스 세미컨덕터(Navitas Semiconductor)가 삼성전자 스마트폰에 반도체 공급을 확대한다. [유료기사코드] 나비타스는 자사 GaN 전력 반도체를 기존 삼성전자 갤럭시S 시리즈에 이어 갤럭시A 시리즈, 갤럭시 Z 폴드6, 갤럭시 Z 플립6 등으로 확대 적용한다고 6일 밝혔다. 나비타스는 2014년 설립된 GaN 전력 반도체 전문 기업이다. 삼성전자를 비롯해 아마존, 샤오미, 오포, 델, 레노보, 벨킨 등 글로벌 전자업체의 고속충전기에 자체 개발 GaN 전력 칩인 'GaNFast'를 공급하고 있다. GaN 전력 반도체는 기존 실리콘 반도체에 비해 열에 강해 고전압에서 내구성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전력 모듈에 필요한 냉각장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시스템의 소형화·경량화를 가능하게 한다. 전력을 75% 덜 소비해 높은 효율을 자랑하며 고속 충전 성능도 우수하다. 나비타스는 "삼성에 대한 공급 확대를 통해 주류 스마트폰의 GaN 반도체 채택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스마트폰 고속충전기와 5G, 가전, 전기차 등에 활용되며 GaN 반도체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
[더구루=홍성일 기자] 퀄컴의 차세대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스냅드래곤8 4세대의 성능 정보가 공개돼 눈길을 끌고 있다. 기대보다 점수가 높지않아 퀄컴이 앞으로 현재 공개된 점수보다 얼마나 더 성능을 향상시킬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각종 반도체 성능점수를 공개하는 긱벤치에 스냅드래곤8 4세대 벤치마크 점수가 공개됐다. 이번에 점수가 공개된 AP는 레퍼런스 디자인으로 추정되는 제품으로 12GB 램이 장착됐으며 '2+6 클러스터'를 특징으로 한다.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스냅드래곤8 4세대의 싱글코어 점수는 2884점, 멀티코어 점수는 8840점이다. 올해 초 공개된 점수보다 싱글코어점수는 40점 가량 높아졌지만 멀티코어 점수는 1800점 가량 떨어졌다. 애플 A17 프로와 비교하면 싱글코어 점수는 거의 같으며 멀티코어 점수는 월등하다. 아이폰 15 프로 맥스에 장착된 A17프로의 싱글코어는 2800점대, 멀티코어는 6000점대 후반을 기록하고 있다. 문제는 퀄컴이 스냅드래곤8 4세대 AP를 출시하면 경쟁하게 될 제품은 A18이 될 것이라는 점이다. 이전까지의 기록에 따르면 1세대가 발전할 때마다 애플은 바이오닉 AP의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마이크론이 업계 최초로 최신 PCIe(PCI 익스프레스) 규격을 기반으로 하는 고성능 솔리드스테이트드라이브(SSD)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소비자용부터 서버용까지 SSD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한다. [유료기사코드] 마이크론은 지난 5일(현지시간) PCIe 6.0(6세대) 규격 기반 데이터센터용 SSD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지난달 PCIe 5.0 기반 데이터용 SSD '마이크론 9550'을 출시한 데 이은 성과다. 마이크론은 높은 기술력을 요하는 인공지능(AI) 분야에 대한 광범위한 수요를 지원하기 새로운 기술을 선보였다. 파트너에게 PCIe 6.0 기반 SSD 기술을 제공해 관련 생태계를 활성화하고 차세대 SSD 시대를 연다는 포부다. PCIe 6.0 기반 SSD는 26GB/s 이상의 순차 읽기 대역폭을 제공한다는 게 마이크론의 설명이다. 마이크론 9550의 순차 읽기(14GB/s) 속도 대비 약 2배 가량 높다. PCIe은 프로세서와 저장장치, 그래픽카드와 AI 가속기를 연결하는 데이터 전송 규격이다. 표준화 단체인 PCI-SIG(스페셜 인터레스트 그룹)가 주관한다. 현재 PCIe 규격은 7.0
[더구루=김은비 기자] 삼성전자 스마트폰 갤럭시S24 FE의 출시가 임박한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프랑스 공식 웹사이트에서 갤럭시S24 FE 관련, 지원 페이지가 발견됐다. 신규 모델 출시 가능성에 소비자들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6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프랑스 공식 홈페이지에 모델 번호 'SM-S721B'로 기재된 제품의 지원 페이지를 등록했다. 이 모델은 갤럭시 S24 FE의 모델번호로 추정되고 있다. 다만 모델 번호 외의 추가적인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작년에 이어 올해도 하반기 출시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12월 갤럭시S23 FE를 출시한 바 있다. 업계에선 삼성전자가 올해 9~10월 출시를 공식 발표하고 하반기 본격 판매를 시작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의 갤럭시S FE 라인업은 플래그십 모델의 성능을 일부 계승하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으로 선보이는 이른바 '가성비' 제품이다. 플래그십 부품을 일부 활용해 기본 성능은 유지하되, 몇몇 성능은 제외해 가격을 낮춘 것이 특징이다. IT팁스터 등 이전에 유출된 바에 따르면 갤럭시S24 FE는 엑시노스(Exynos) 2400 칩셋을 탑재, OS는 안드로이드14 기반의 원UI(O
[더구루=홍성일 기자] '가성비' 게임용 그래픽처리장치(GPU)로 인기를 끌어온 엔비디아 RTX 3060의 단종이 임박했다. 엔비디아는 RTX 3060의 마지막 생산에 돌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GPU 제조 파트너사들에 RTX 3060의 최종 주문을 요청했다. 이같은 사실은 중국 테크관련 커뮤니티인 '보반탕(Bobantang)'을 통해 전해졌다. 보반탕은 2023년 5월 RTX 3060 Ti의 단종을 예측하기도 했던 곳이다. RTX 3060은 지난 2021년 2월 출시된 이후 가성비 게이밍 GPU로 큰 인기를 끌어왔다. RTX 3060은 2024년 7월 스팀 하드웨어 설문 조사 결과 스팀이 설치된 전체 데스크톱 중 5.71%에 설치돼 있었다. 이는 2위인 GTX 1650의 3.88%보다 약 1.9% 많은 것이다. 출시 3년이 지난 현재도 꾸준히 판매되며 스팀 점유율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RTX 3060의 인기 비결은 준수한 성능과 더불어 다른 GPU 대비 저렴한 가격이다. RTX 3060은 8GB, 12GB 버전이 판매되고 있으며 출시 이후 V램 속도를 향상시키는 리프레시도 진행됐다. 패스마크 소프트웨어의 GP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새로운 최고운영책임자(COO)를 임명했다. 15년간 COO를 맡아온 제프 윌리엄스(Jeff Williams)가 물러나면서 팀 쿡 최고경영자(CEO)의 후계 구도에도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애플은 8일(현지시간) 사비 칸(Sabih Khan) 운영 담당 수석 부사장을 COO로 임명했다고 밝혔다. 사비 칸은 다음달부터 COO 업무를 시작한다. 2010년부터 COO를 맡아오며 애플의 2인자로 불린 제프 윌리엄스는 사비 칸에게 자리를 넘겨주고 연말까지 디자인팀을 이끌게 된다. 제프 윌리엄스는 올해까지 근무하고 은퇴하기로 했다. 애플의 새로운 COO로 임명된 사비 칸은 인도 출신으로 SABIC(옛 GE플라스틱)에서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로 근무했으며, 1995년 애플에 합류했다. 사비 칸은 2019년 운영 담당 수석 부사장에 임명됐으며, 애플의 글로벌 공급망을 총괄하며 제품 품질 보장과 기획, 조달, 제조, 물류, 주문 처리 등을 감독했다. 애플이 15년만에 새로운 COO를 임명하면서 대대적인 변화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눈에 띄는 변화 중 하나는 제프 윌리엄스가 은퇴 전까지 디자인팀을 이끌며 팀 쿡
[더구루=길소연 기자] 동유럽 국가인 리투아니아가 기후 관리 의무와 에너지 자립 목표를 고려해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도입을 추진한다. SMR을 2050년까지 74테라와트시(TWh)로 예상하는 전력 수요를 충족하는 전력원으로 삼을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9일 업계에 따르면 리투아니아 정부는 SMR 도입과 핵 에너지 개발 전망을 모색하기 위해 실무 그룹을 구성한다. 에너지부 산하에 출범하는 실무그룹은 폐쇄된 이그날리나 원자력 발전소의 전문가들로 구성된다. 이들은 2050년까지 74TWh로 예상하는 전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SMR의 타당성을 평가해 잠재적 배치와 관련된 보고서를 작성한다. 실무그룹은 또 엄격한 평가를 기반으로 전략적 실행 계획을 개발하기 위해 공개 협의와 국제 협력을 포함한 상세한 분석을 수행한다. 리투아니아 정부의 SMR 도입에 대한 최종 결정은 2028년에 내려질 예정이다. SMR 가동은 건설 후 10년 후로 예정됐다. 리투아니아는 과거 체르노빌형 원전인 흑연 감속로(RBMK)-1500형 원자로 2기로 구성된 이그날리나 원전에 크게 의존했다. 이그날리나 원자력 발전소는 26년간 운영을 통해 3079억 kWh의 전기를 생산했다. 1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