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프랑스 설비 제조·엔니지어링 기업 알트라드(Altrad)에 매각되는 두산에너빌리티의 유럽 원전 엔지니어링 자회사 두산밥콕이 컨소시엄을 통해 영국 탄소포집 플랜트 기본 설계를 맡는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엔지니어링 업체 에이커 솔루션은 지난 16일(현지시간) 지멘스 에너지와 두산밥콕으로 구성된 컨소시엄으로 '키드비 3(Keadby 3) 탄소 포집 플랜트'에 대한 프론트 앤드 엔지니어, 설계(FEED) 계약을 수주했다. 컨소시엄은 12개월 동안 최대 910메가와트의 발전 용량을 갖춘 제안된 천연 가스 발전소에 대한 엔지니어링 설계를 제공한다. 배출물에서 이산화탄소(CO2)를 제거하기 위한 탄소 포집 플랜트가 설치된다. 공장은 지역 혜택은 물론 영국 경제에 12억 파운드 이익을 제공한다. 앞서 두산밥콕은 지난해 9월 글로벌 에너지 사업인 지멘스, 엔지니어링업체 에이커솔루션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 영국의 CCUS 기술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본보 2021년 9월 9일 참고 [단독] 두산중공업, 탄소포집 동맹 구축···영국 CCUS 시장 정조준> 두산밥콕과 지멘스가 가진 복합 사이클 가스 터빈(CCGT) 엔지니어링·설계와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에너빌리티 영국 자회사인 두산밥콕이 밀월 관계를 이어온 프랑스 기업에 팔린다. 인수 16년 만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밥콕은 프랑스 복합기업 알트라드(Altrad)에 인수된다. 두산에너빌리티가 원천 기술을 확보하면서 매각을 결정했다. 매각가는 비공개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역외자산운용부문을 매각하기로 합의했으며 올해 하반기 거래가 성사될 전망이다. 알트라드는 "두산밥콕의 열정, 비전, 가치를 공유함으로써 두산밥콕의 발전에 또 하나의 흥미로운 이정표를 제기할 것"이라며 "오는 3분기 거래가 완료되면 두산밥콕의 4000명의 직원 알프레드에 합류한다"고 말했다. 이번 거래는 알트라드의 인수 라인업 추가이다. 알트라드는 지난 3월 스패로우 그룹을 인수했고, 지난 1월에는 덴마크와 영국에서 뮐한(Muehlhan)의 석유.가스 사업 인수를 완료했다. 알트라드는 비계 등 건설 설비 제조와 원전, 석유·화학 등 다양한 플랜트 건설 현장에 MRO(소모성 자재 구매대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파드리그 소머스(Padraig Somers) 알트라드 영국·아일랜드·북유럽 지역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인수는 서비스 포트폴리오를 확장하고 새로운 시장에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중공업 영국 자회사인 두산밥콕이 탄소포집저장 능력으로 영국 탈탄소화에 기여한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 이산화탄소포집·저장협회(CCSA)가 GE와 두산밥콕을 새로운 회원사로 추가했다. CCSA는 영국 이산화탄소포집·저장(CCUS) 산업의 무역 기구로, 총 76개 회원사로 구성됐다. 두산밥콕과 GE는 지난 1월 31일부터 협회 활동을 이어간다. 루스 허버트(Ruth Herbert) CCSA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1년간 회원 수가 전례 없이 증가해 2021년 1월 이후 규모가 두 배로 커졌다"며 "GE와 두산밥콕이 CCSA에 참여하게 된 것을 기쁘해 생각하고, 향후 CCUS 산업이 전력·산업 부문의 탈탄소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밝혔다. CCSA에 합류한 GE 가스 파워는 천연 가스 발전 기술과 서비스, 솔루션 제공업체이다. 마틴 오닐(Martin O’Neill) GE 가스파워 전략 담당 부사장은 "GE는 탄소배출량을 줄이거나 제거함으로써 기후변화 노력을 지원하고 있다"며 "CCSA 회원들과 협력해 비용 효율성, 성능, 유연한 가스 플랜트용 CCUS 솔루션의 채택을 지원하기 위해 기본설계(FEED) 연구, 상업 프로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중공업 영국 자회사 두산밥콕이 폴란드 열 생산시설을 건설한다. 지역 난방 공급 목적인 열 생산시설을 구축해 사업 영역을 넓힌다. 3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밥콕 에너지 폴스카(Doosan Bobcock Energy Polska)는 폴란드 국영 석유·가스회사 피지앤아이지(PGNiG)가 실롱스키에주 리브니크(Rybnik)에 추진하는 6곳의 열 생산시설 중 4개를 맡아 설계, 건설, 시운전을 맡는다. 두산밥콕 에너지 폴스카는 △2x18MWt △2x5.5MWt 작은 규모의 열 생산시설을 구축해 오는 2023년 초 리브니크 지역 주민에게 열을 공급한다. 두산밥콕 에너지 폴스카가 구축하는 열 생산시설은 열 생산·공급하는 시설로, 화력발전소나 열병합 발전소와는 다른 개념이다. 지역 난방 공급 목적으로 건설된다. 두산밥콕 에너지 폴리스카는 폴란드 리브니크의 기업간거래(B2B) 서비스를 담당한다. 두산밥콕 서비스센터로 2015년 개소했다. 폴란드 지역 전력 생산을 비롯한 에너지 분야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현재 두산밥콕은 영국 저탄소 프로젝트에 대거 참여 중이다. 두산밥콕은 저탄소 대용량 블루수소 생산·공급 시스템 개발을 위한 하이퍼(HyPER) 프로
[더구루=길소연 기자] 두산중공업 영국 자회사인 두산밥콕(Doosan Babcock)이 임금 분쟁에 휩싸였다. 근로자와 고용주 간 급여 책정과와 휴가일수 조정에서 갈등을 겪으면서 소송으로 불거질 전망이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 버밍엄에 있는 두산밥콕 근로자 30여명은 지난달 27일 시작한 산업 소송 투표를 오는 11일까지 진행한다. 근로자들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도 감염 우려를 무릅쓰고 열심히 일했는데 고용주가 휴가일수를 쪼개고 급여 자체도 적게 지급해 불만이 쌓였다. 이에 근로자들은 부당 임금 공제를 주장하면서 올 연말 고용재판이 열리길 바라고 있다. 스튜어트 해리슨 영국일반노조(GMB) 조직위원장은 "근로자들은 코로나 팬데믹 동안에 고군분투했지만 고용주는 휴가일수를 쪼개고 만성적으로 급여를 적게 지급했다"며 "노조원들은 회사의 제안을 거절했고, 산업 소송 투표로 넘어간 것을 적극 지지한다"고 밝혔다. 미쓰이밥콕이 전신인 두산밥콕은 두산중공업이 지난 2006년에 1600억원에 인수해 현재 두산중공업의 유럽 자회사로 운영되고 있다. 보일러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발전소 EPC 시공부터 화력발전소 및 원전 서비스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두산밥콕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아마존(Amazon)이 로봇 기술과 인공지능(AI)을 결합해 미국 스마트 물류 시스템 표준을 정립하고 있다. 물류 효율성이 기업 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면서, 아마존의 행보가 업계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25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 보고서에 따르면 아마존의 스마트 물류 시스템은 미국 연방정부가 제정한 '인프라 투자 및 일자리 법(IIJA, Infrastructure Investment and Jobs Act)' 등과 맞물려 미국 물류 산업 전반의 지능형 전환을 이끌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마존은 지난 2012년 로봇 기술 스타트업 '키바 시스템(Kiva Systems)' 인수를 기점으로 물류센터 자동화를 본격화했다. 현재는 △프로테우스(Proteus) △카디널(Cardinal) △스패로(Sparrow) 등 다양한 첨단 로봇과 AI 기반 소프트웨어를 통해 물류 처리 속도와 정확성,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2022년 공개된 프로테우스는 사람과 동일한 공간에서 충돌 없이 자율주행하며 카트를 운반하는 완전 협업형 로봇이다. 카디널은 머신러닝 기반 비전 시스템
[더구루=홍성일 기자] 대만 전자제품 위탁생산(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이 엔비디아(NVIDIA)의 인공지능(AI) 서버 생산을 위해 미국 제조 시설 건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위스트론, 폭스콘 등과 손잡고 미국 AI 인프라 구축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제프 린(Jeff Lin) 위스트론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개최된 연례 주주총회에서 "내년 중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 공장을 준공하고 블랙웰(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AI 서버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위스트론 댈러스 공장은 엔비디아의 대대적인 미국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따라 건설된다. 엔비디아는 지난달 최대 5000억 달러(약 690조원)를 미국 AI 인프라 구축에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엔비디아는 AI 인프라 구축 사업에 필요한 슈퍼컴퓨터 등을 미국에서 생산하겠다고 밝히며 폭스콘, 위스트론과 협력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폭스콘도 텍사스주 휴스턴에 새로운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폭스콘 휴스턴 공장에서는 반도체 칩 테스트, 모듈 통합 작업 등이 진행된다. 위스트론은 엔비디아 외에 미국 내 추가 고객사 확보에도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