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르노의 전기차 자회사 암페어와 첨단 팩 디자인인 '셀투팩(Cell-to-Pack, CTP)' 개발에 힘을 합친다. CTP 기반 LFP를 올해 말부터 5년 동안 약 39GWh 공급한다. CTP 양산 전부터 선제적으로 고객사를 확보해 기술 리더십을 증명했다. 2일 르노에 따르면 암페어는 LG에너지솔루션과 CTP 기술 기반 파우치형 LFP 개발에 협력한다. LG에너지솔루션은 폴란드 공장에서 생산한 배터리를 공급한다. 2025년 말부터 2030년까지 총 5년 동안 약 39GWh를 납품한다. 이는 순수 전기차 약 59만 대를 생산할 수 있는 양이다. CTP는 '셀-모듈-팩'으로 이어지는 배터리 제조 과정에서 모듈을 생략하는 기술이다. 셀을 팩 내부에 직접 조립해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고 부품 수가 줄어 비용 절감에 유리하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 3월 국내 최대 배터리 전시회 '인터배터리'에서 파우치형 CTP를 최초로 공개했다. 이 배터리는 무게당 에너지 밀도를 약 5% 수준으로 높게 설계할 수 있다. 팩강성을 높이고 검증된 열 전이 방지 기술을 적용해 안정성도 향상됐다. 내년 양산을 목표로 완성차 고객사들과도 활발히 공급
[더구루=오소영 기자] 프랑스 르노그룹이 현지 전기차 배터리 스타트업 '베르코어'로부터 배터리를 공급받는다. 연간 12GWh 규모로 조달해 2025년 생산 예정인 프리미엄 신차에 탑재한다. [유료기사코드] 르노는 지난 13일(현지시간) 베르코어와 전기차 배터리 상용화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르노는 베르코어로부터 연간 12GWh의 배터리를 받는다. 12GWh는 약 10만대가 넘는 전기차에 탑재할 수 있는 배터리 양이다. 르노는 2025년부터 프랑스 디에프에서 생산되는 준중형 크로스오버차량(CUV) GT 라인을 시작으로 프리미엄 모델에 베르코어의 배터리를 탑재할 예정이다. 베르코어는 프랑스 덩케르케 생산시설에서 르노향 배터리를 생산한다. 베르코어는 작년 2월 유럽 첫 기가팩토리 부지로 덩케르케를 택했다. 2025년부터 연간 16GWh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점차 증설해 2030년 50GWh로 확대한다. 르노는 2021년 베르코에 처음 투자했다. 1억 유로(약 1430억원) 상당의 자금 조달 라운드에 프랑스 정부, EQT 벤처스 등과 공동으로 참여했다. 이를 계기로 배터리 공급망에 베르코를 추가하고 전기차 기업으로의 전환에 매진한다. 르노는 지난해 2025년까
[더구루=오소영 기자] 프랑스 완성차 업체 르노와 미국 수소 회사 플러그파워의 합작사 '하이비아'(HIVIA)가 내년부터 수소차 3종 판매를 시작한다. 5분 이내 충전이 가능한 급속 충전소도 개발하고 유럽 시장을 공략한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하이비아는 최근 마스터 밴 H2-테크에 이어 마스터 섀시 캐빈(Chassis Cabine) H2-테크, 마스터 시티버스 H2-테크를 공개했다. 마스터 밴 H2-테크는 12m³의 적재 공간을 가졌으며 최대 500㎞를 주행할 수 있다. 택배 운반에 적합하다. 섀시 캐빈은 19㎥로 적재 공간은 밴보다 넓지만 주행거리(250㎞)는 짧다. 시티버스는 최대 15명을 태울 수 있는 도심형 미니버스다. 약 300㎞의 주행거리를 자랑한다. 세 차량 모두 30kW급 연료전지를 탑재한다. 하이비아는 이르면 내년부터 신차를 출시하고 동시에 충전 인프라 조성을 지원한다. 5분 이내에 충전이 가능한 급속 충전소를 보급할 계획이다. 수소차뿐 아니라 충전소까지 제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유럽 내 연료전지 기반 중소형 상용차 시장에서 30% 이상 점유율을 확보한다는 포부다. 데이비드 홀더바흐 하이비아 최고경영자(CEO)는 "하이비아의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카드가 르노삼성 지분 매각을 추진하는 가운데 삼성과 프랑스 르노의 결별이 양사 모두에게 이익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삼성은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며 배터리와 전장 등 '미래 먹거리'에 힘을 실을 수 있게 됐다. …글로벌데이터 애널리스트 분석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글로벌데이터(GlobalData)의 바카르 사딕 아관(Bakar Sadik Agwan) 애널리스트는 2일 삼성카드의 르노삼성 지분 처분에 대해 "삼성과 르노 모두에게 윈윈(Win-Win)"이라고 평가했다. 삼성카드는 지난달 르노삼성 지분 19.9%를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르노삼성은 삼성카드와 르노그룹(80.04%), 우리사주조합(0.06%)으로 구성된다. 아관 애널리스트는 "삼성의 탈퇴는 그룹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사업 구조조정의 일환"이라며 "대주주인 르노도 매출 감소와 제조비, 인건비 증가 등으로 위축되고 있는 내수 사업의 최적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완성차 사업을 26년간 지속해온 삼성의 매각 결정에 주목했다. 아관 애널리스트는 "2020년은 한국의 르노삼성에 힘든 한 해였다"며 "내수 판매는 2004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고 수출은 약
[더구루=오소영 기자] 프랑스 르노가 호주 벌칸 에너지(Vulcan Energy)와 전기차 배터리 핵심 소재인 리튬을 공급받는다.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확보해 전기차 업체로의 탈바꿈에 속도를 낸다. 르노는 2일(현지시간) "세계적인 리튬 개발업체 벌칸 에너지와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르노는 벌칸 에너지로부터 2026년부터 연간 6000~1만7000t의 리튬을 수급한다. 계약 기간은 5년으로 상호 합의 하에 연장 가능하다. 벌칸 에너지는 독일 남서부 라인강에서 지열발전소로 이용한 리튬 추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깊은 암석층에 뜨거운 물을 넣어 리튬을 용해하는 저공해 방식을 활용해 주목을 받고 있다. 2024년 생산을 목표로 17억 유로(약 2조3210억원)를 투자했다. 지난달에는 LG에너지솔루션과 1만t 공급 계약을 맺은 바 있다. 글로벌 4위 완성차 업체 스텔란티스와도 리튬 공급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르노는 이번 계약으로 50kWh 배터리 기준 300~700㎏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이고 2050년 탄소 중립 목표에 한걸음 다가서게 됐다. 리튬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전기차 전환에 전력투구한다. 르노는 2025년까지 전기차 모델 10종
[더구루=오소영 기자] 프랑스 르노가 중국계 기업 엔비전AESC, 프랑스 스타트업 베르코(Verkor), ACC(Automotive Cells Company)와 전기차 배터리 협력을 논의하고 있다. 공급망을 다변화해 배터리를 안정적으로 수급하고 전기차 기업으로의 변신에 총력을 기울인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르노와 엔비전AESC의 배터리 공급 계약 체결이 임박했다. 르노의 전기차 생산기지가 있는 프랑스 북부 두에에 엔비전AESC가 배터리 공장을 만들어 제품을 납품한다. 투자비는 약 29억 달러(약 3조2800억원)로 배터리 공장은 연간 43GWh 생산용량을 갖출 전망이다. 공장에서 만든 배터리의 절반은 프랑스 자동차 제조사에 공급된다. 엔비전AESC는 르노·닛산·미쓰비시 얼라이언스에 배터리를 공급한 바 있다. 과거 거래 이력을 토대로 르노에 공급량을 늘리며 전기차 허브 지원군으로 떠오르고 있다. 르노는 베르코에 지분 투자도 모색하고 있다. 지난해 설립된 베르코는 프랑스에서 배터리 16GWh 규모의 배터리 생산시설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연내 공장이 들어설 지역을 공개할 계획이다. 엔비전AESC, 베르코와 함께 프랑스 푸조시트로엥그룹(PSA)과 토탈의 자회사
[더구루=오소영 기자] 완성차 업체 르노가 '메이드 인 프랑스(Made IN France)' 전략을 강화한다. 프랑스 북부 주요 사업장 3곳을 전기차 관련 시설로 바꾸고 연간 40만대를 생산한다. LG에너지솔루션 폴란드 공장에서 만든 배터리를 탑재하며 돈독한 파트너십을 이어간다. 르노는 9일(현지시간) 전기차 전략의 일환으로 '르노 일렉트릭시티(Renault ElectriCity)'를 발표했다. 이는 프랑스 두에와 모브쥬, 루츠 사업장을 중심으로 2025년까지 연간 40만대의 전기차를 생산하는 구상을 담는다. 전기차 투자로 2024년까지 700개 일자리를 창출한다. 르노는 두에 공장에서 메간 E-테크 일렉트릭(이하 메간E)와 후속 모델로 B·C세그먼트(소형·준중형) 차량을 생산할 예정이다. 모브쥬 공장에선 다목적 전기 밴 '캉구'(Kangoo)를 만든다. 메르세데스-벤츠와의 합작품인 시탄처럼 캉구를 개량한 차량도 2023년까지 전기차 버전으로 양산한다. 루츠는 전기 부품 생산시설로 활용된다. 르노의 계획은 현지 노조에 환영을 받고 있다. 르노는 노조와 세 사업장 개조를 승인하는 내용의 계약을 체결하고 전기차 공장으로의 전환을 순탄하게 진행하고 있다. 배터리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마이크론과 인텔, 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등 반도체 회사들이 현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과감한 투자 행보를 보이고 있다. 글로벌 첨단 반도체 시장에서 미국의 위상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반도체 매출도 2029년 100조원을 넘길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코트라 실리콘밸리무역관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뉴욕과 아이다호주에 반도체 제조 시설을 건설하고 약 2만 개 일자리를 창출한다. 이번 투자로 첨단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미국의 비중은 2% 미만에서 2035년 약 10%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이크론은 투자 대가로 지난 10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행정부로부터 61억6500만 달러(약 8조9400억원)의 보조금을 받았다. 버지니아주 마나사스에 위치한 D램 생산시설의 확장을 추진하며 최대 2억7500만 달러(약 4000억원)도 추가로 수령할 예정이다. 마이크론은 미국 내 유일한 고대역폭메모리(HBM) 제조사로 AI 반도체 시장에 진출했다. 엔비디아의 AI GPU(H200)에 HBM3E를 공급하면서 사업 보폭을 넓히고 있다. 내년 도널드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이후에도 HBM 투자에 따른 추가 지원을 받을 가능성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 혼합현실(MR) 디바이스 비전프로(Vision Pro)의 애플리케이션(앱) 생태계 구축이 속도가 나질 않고 있다. 애플은 보급형 버전 개발을 연기하는 등 반전을 꾀하고 있지만 좀체 성장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소프트웨어 구독 플랫폼 셋앱(Setapp)에 따르면 개발자 중 3%만이 비전프로용으로 새로운 앱을 개발하고 있다. 50%의 개발자는 비전프로 애플리케이션 지원 여부 자체가 불확실하다고 답변했다. 셋앱 설문조사에 따르면 35%의 개발자는 비전프로용 앱 개발 계획 자체가 없다고 밝혔다. 대신 60%의 개발자들은 인공지능(AI) 기능 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 1월 출시된 애플 비전프로는 높은 관심도와는 다르게 다소 비싼 가격, 미성숙한 생태계 등으로 판매가 미비한 상황이다. 블룸버그 IT전문 기자 마크 거먼에 따르며 비전프로는 출시된 이후 50만대도 판매하지 못했다. 심지어 구매자들조차 애플 비전프로에 대한 흥미를 잃은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애플은 상황을 반전시키기 위해 초광각을 지원하는 비전OS 2.2를 출시하기도 했지만 상황을 역전시키지는 못했다. 최근에는 올해 말 비전프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