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영국 '브리티시볼트'의 매각이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인수자인 호주 '리차지 인더스트리(Recharge Industries)'가 매각 대금을 기일안에 입금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10일 브리티시볼트 법정 관리인인 컨설팅 업체 EY(Ernst & Young)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주 채권단에 보낸 보고서에서 "지난 4월 5일까지 지불될 예정이었던 인수금이 미결제 상태로 남아 있어 최종 (리차지 인더스트리에) 판매가 완료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구매자(리차지 인더스트리)는 857만 파운드에 브리티시볼트를 인수했고, 이는 여러 번에 걸쳐 지불할 수 있었다"며 "최종 할부금은 미지급 및 연체 상태로 남아 있으며, 결과적으로 구매자는 판매 계약을 불이행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리차지 인더스트리는 지난 3월 브리티시볼트를 인수했다. 브랜드명을 유지하고 노섬벌랜드 블리스 기가팩토리 건설 프로젝트를 재개하기로 했다. <본보 2023년 2월 28일 참고 파산 위기 '브리티시볼트' 매각 완료…기가팩토리 건설 재개 추진> 매각 절차에 차질이 생기며 브리티시볼트의 주인이 또 다시 바뀔 가능성도 높아졌다. EY는 지난 4월에도 리차지 인
[더구루=정예린 기자] 호주 '리차지 인더스트리(Recharge Industries)'의 영국 브리티시볼트 인수 시도가 계약 조건 미이행으로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매각 절차에 차질이 생기며 브리티시볼트의 존폐 여부에 또다시 이목이 쏠린다. [유료기사코드] 4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리차지 인더스트리는 최근 브리티시볼트 법정 관리인인 컨설팅 업체 EY(Ernst & Young)와 갈등을 빚고 있다. 전력 공기업 내셔널 그리드와의 전력망 계약 이전을 놓고 양측이 대립하고 있다는 것. 해당 계약은 브리티시볼트가 파산 전 내셔널 그리드와 체결한 건이다. 리차지 인더스트리가 브리티시볼트를 인수하며 과거 공급 계약들을 넘겨받는 과정에서 대금 규모 관련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리차지 인더스트리는 지난 2월 브리티시볼트를 인수했다. 브랜드명을 유지하고 노섬벌랜드 블리스 기가팩토리 건설 프로젝트를 재개하기로 했다. 인수가는 단돈 860만 파운드였다. <본보 2023년 2월 28일 참고 파산 위기 '브리티시볼트' 매각 완료…기가팩토리 건설 재개 추진> 다만 리차지 인더스트리와 EY 간 갈등은 이미 예견됐었다는 분석도 나
[더구루=정예린 기자] 호주 배터리 기업 '리차지 인더스트리(Recharge Industries)'가 파산 위기에 놓인 영국 '브리티시볼트'를 손에 넣었다. 유럽에서 촉망받던 배터리 기업을 확보, 신흥 강자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리차지 인더스트리는 27일(현지시간) 브리티시볼트를 인수했다고 발표했다. 구체적인 매입가와 조건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일부 직원은 리차지 인더스트리로 소속을 이전한다. 리차지 인더스트리는 늦어도 1년 내 브리티시볼트의 노섬벌랜드 블리스 기가팩토리 건설 프로젝트를 재개한다. 기가팩토리가 완공되면 우선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배터리를 생산해 현지 수요에 대응할 방침이다. 오는 2025년 말 첫 생산이 목표다. 이후 고성능 전기 스포츠카용 배터리까지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한다는 계획이다. 브리티시볼트 브랜드명은 그대로 유지한다. 브리티시볼트는 자금난을 버티지 못하고 지난달 법정관리를 신청했다. 리차지 인더스트리는 브리티시볼트의 법정 관리인인 컨설팅 업체 'EY'가 주도한 입찰전에 뛰어들어 소유권을 따냈다. <본보 2023년 2월 2일 참고 호주 배터리 기업, '법정관리 신청' 브리티시볼트 인수 추진…포
[더구루=정예린 기자] 호주 배터리 기업 '리차지 인더스트리(Recharge Industries)'가 파산 절차에 돌입한 영국 '브리티시볼트' 구원투수로 나선다. 기가팩토리를 손에 넣어 유럽 시장 진출을 도모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리차지 인더스트리는 지난달 24일(현지시간) 브리티시볼트 예비 입찰에 참가했다. 구체적인 입찰 가격과 조건 등은 알려지지 않았다. 예비 입찰 접수는 지난달 31일 마감됐다. 영국 법원이 브리티시볼트 법정 관리인으로 지정한 컨설팅 업체 'EY'는 이번주 내 두 번째 라운드에 진출할 입찰자를 결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법정 관리에 돌입하기 전 브리티시볼트와 매각 논의를 진행중이던 재규어랜드로버를 소유하고 있는 인도 타타모터스과 영국 금융그룹 딜랩(DeaLab) 등 12개사도 입찰전에 뛰어든 것으로 알려진다. 리차지 인더스트리는 지난 2021년 설립된 호주 배터리 스타트업이다. 코발트나 니켈을 사용하지 않는 배터리를 개발중이다. 오는 2024년 양산을 목표로 올해 호주 질롱에 연간 2GWh급 배터리 기가팩토리 건설에 착수한다. 오는 2028년 30GWh까지 생산능력을 확장한다. 리차지 인더스트리가 브리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동박 제조업체 더푸커지(德福科技·지우장더푸테크놀로지)가 솔루스첨단소재의 유럽 룩셈부르크 동박 공장을 인수하기로 했다. [유료기사코드] 더푸커지는 30일 솔루스첨단소재 종속회사인 볼타 에너지 솔루션(Volta Energy Solutions)과 '서킷 포일 룩셈부르크(CFL)' 지분 100%를 1억7400만 유로(약 2800억원)에 인수하는 주식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CFL은 정보통신기술(ICT)용 동박을 제조하는 공장으로 1965년 완공됐다. 솔루스첨단소재의 전신인 두산솔루스가 2014년 인수한 공장으로, 11년 만에 매각 결정을 내렸다. 더푸커지는 "우리는 초극저조도(HVLP) 동박과 초극박(DTH) 등 최첨단 IT용 동박 제품 개발을 장기 전략으로 항상 최우선 순위에 뒀다"면서 "이번 거래가 완료되면 IT용 동박 부문에서 세계적인 선도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전했다. 더푸커지는 중국 3대 동박 제조기업이다. 동박은 두께 10㎛(마이크로미터, 1㎛=100만분의 1m) 내외의 얇은 구리 박막으로 전기차용 이차전지 핵심 소재로 주목받았다. 특히 최근에는 AI 반도체에 들어가는 주요 소재로 부각되고 있다. HVLP 동박
[더구루=홍성일 기자] TSMC를 세계 1위 파운드리 기업으로 만든 '역전의 용사'들이 연이어 퇴장하고 있다. TSMC는 차세대 리더를 발굴하며, 승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웨이젠 로(Wei-Jen Lo) TSMC 기업전략개발 부사장이 지난 27일 은퇴했다. UC버클리에서 고체물리학·화학 박사를 학위를 취득한 웨이젠 로 부사장은 인텔과 모토로라, 제록스 등에서 경력을 쌓고 2004년 운영 조직 2부 총괄로 TSMC에 입사했으며, 2006년부터 2009년까지 샹이 치앙(Shang-Yi Chiang) 부사장에 이어 연구개발(R&D) 부문 부사장으로 근무했다. 2009년부터는 제조 기술 부문 부사장으로 활동했다. 웨이젠 로는 21년간 TSMC에서 기술 연구를 이끌며 1000개에 달하는 미국 특허를 포함해, 총 1500개 이상의 특허를 확보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TSMC는 웨이젠 로 부사장의 후임으로 로라 호(Lora Ho) 인사부문 부사장을 임명했다. 로라 호는 과학자 출신인 웨이젠 로와 다르게 회계, 재무 부문 전문가로 활동해왔다. 로라 호는 1999년 회계 담당자로 TSMC에 입사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