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글로벌 타이어 제조 업체 미쉐린이 영국 가상 랩 타임 시뮬레이션 전문 업체 캐노피 시뮬레이션(canopy simulations)을 인수했다. 가상 현실을 이용한 모터스포츠 타이어 개발을 토대로 브랜드 타이어 제품 기술력과 성능을 끌어올리겠다는 포부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미쉐린은 최근 캐노피 시뮬레이션을 인수했다. 캐노피 시뮬레이션은 국제자동차연맹(FIA)이 규정하는 세계 최고 자동차경주대회인 '포뮬러 원'의 유일한 시뮬레이션 공급업체로 알려진 곳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을 통해 랩 타임 시뮬레이션과 차량 모델링 등을 제공하고 있다. 미쉐린은 캐노피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상 현실을 이용한 모터스포츠 타이어 개발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데이터 처리 기술과 고급 수학적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브랜드 타이어 기술력 향상에 집중하겠다는 각오다. 이동성 개선과 모터스포츠 지원을 위한 혁신뿐 아니라 가상 현실을 활용한 파트너사와의 협력 방안도 모색할 방침이다. 특히 연구개발(R&D) 역량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가상 현실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환경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존 타이어 개발 과정과 비교해 실질적인 비용
[더구루=윤진웅 기자]미쉐린이 원자재·물류비 상승 등을 이유로 내년 1월 유럽 판매 가격을 인상한다. 유럽을 시작으로 국내는 물론 미국과 중국 가격도 인상될 전망이다. 미쉐린은 지난 22일 딜러 공지문을 통해 내년 1월 유럽에서 판매하는 승용차(PCR)·경상용차(LTR)·버스트럭(TBR) 등 타이어 전 제품 가격을 일제히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륜차와 농업용 타이어도 포함된다. 미쉐린은 "어려운 경제 여건이 내년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타이어뿐 아니라 타이어 관련 액세서리 등 부품에 대한 인상 방안도 이뤄지고 있다"고 전했다. 구체적인 가격 인상 폭에 대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으나 업계는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이하 한국타이어)와 비슷한 4~7% 수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같은 이유로 내년 1월 유럽 타이어 판매 가격 인상을 결정한 리딩 브랜드라는 이유에서다. 통상 타이어 업계는 리딩 브랜드가 가격을 인상하면 후발 업체도 가격 인상 대열에 참여하는 '도미노 인상'으로 이어진다. 앞서 한국타이어 독일판매법인(Hankook Reifen Deutschland)은 내년 1월 겨울용 타이어를 제외하고 유럽에서 판매하는 타이어 제품 가격을 최대 4%까지 올리겠다고
[더구루=윤진웅 기자] 글로벌 타이어 제조 업체 미쉐린이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스타트업 '로드보틱스'(RoadBottics)를 인수한다. 사업 다각화 전략에 따라 비타이어 부문 성장에 집중, 타이어 의존도를 낮추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미쉐리는 최근 로드보틱스를 인수하겠다고 발표했다. 로드보틱스는 지난 2016년 설립된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업체다. △로드웨이 △애자일매퍼 등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활용해 도로 사정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차량용 지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미쉐린은 로드보틱스의 솔루션을 활용해 자사 교통 데이터 분석 시스템 미쉐린 DDi(Driving Data to Intelligence) 기능 강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로드보틱스의 전문성과 DDi의 혁신을 결합해 교통 사고 근본 원인을 조기에 식별하는 새로운 서비스를 선보겠다는 것. 북미 시장을 시작으로 향후 유럽 시장에도 신규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로레인 프레가(Lorraine Frega) 미쉐린 영업전략 담당 부사장은 "이번 인수는 미쉐린의 비타이어 성장 전략을 토대로 진행됐다"며 "로드보틱스를 통해 AI 전문성을 확장하고 더 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자동차, 로보틱스, 재생에너지의 발전이 질화갈륨(Gan) 전력 장치 시장의 성장을 이끌 것으로 전망됐다. 이들 산업이 요구하는 고성능, 고효율, 소형화라는 과제를 해결할 소재로 질화갈륨이 주목받으면서, 관련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글로벌 질화갈륨 전력 장치 시장은 2024년 3억9000만 달러(약 5390억원)에서 2030년 35억1000만 달러(약 4조8500억원)로 9배 가까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 기간 연평균 성장률(CAGR)은 44%에 달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질화갈륨은 실리콘의 물리적 한계를 극복한 제품이다. 질화갈륨 반도체는 실리콘 반도체 대비 내구성이 우수해 고온·고전압을 견딜 수 있다. 에너지 변환 효율도 높아 소형화에 유리하다. 실제로 실리콘 반도체와 비교해 같은 성능의 반도체 크기를 3분의 1수준으로 줄일 수 있다. 이에 질화갈륨 반도체는 전기차, 신재생에너지, 데이터센터, 로봇 분야 등에서 발생하는 고성능 전력 부품 수요에 적합한 차세대 소재로 꼽히고 있다. 질화갈륨 전력 장치 시장 성장의 가장 강력한 동력은 AI
[더구루=길소연 기자] 영국이 차세대 원자력 발전 건설 속도를 높이기 위해 원전 규제 개편에 착수한다. 원자력 프로젝트 승인 속도를 높이고 지나치게 느리고 복잡한 시스템을 개편해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한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영국 원자력규제청(ONR)은 원전 규제 관련 문제점을 인정하며 관행 개선에 나선다. ONR은 업계 이해 관계자들과 협의를 거쳐 올 연말까지 최종 권고안을 도출할 계획이다. 권고안은 규정을 간소화하고, 절차를 현대화하며, 높은 안전 기준을 유지하는 동시에 운영 효율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규제 개편은 행정 규제 비용을 25% 감축하고, 현재 허가된 8개 부지 외에도 잉글랜드와 웨일즈 전역에 원자력 발전소 건설을 허용하는 완화된 정부 개혁도 포함된다.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는 지난 2월 장기 국가계획으로 원전 규제를 대폭 완화하겠다며 8개로 제한됐던 원전 부지 제한 규정을 폐지했다. 마이크 피너티 ONR 최고경영자(CEO)는 "규제 개편을 위해 그룹과 지속적인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며 "원자력 부문 성장을 방해하는 규제 관련 과제를 인정하고 관행을 개선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ONR이 원전 규제 개편에 나서는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