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공화당 대선 경선에 참여했던 친(親) 트럼프 성향의 기업가 출신 정치인 비벡 라마스와미 전 로아반트사이언시스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온라인 매체 버즈피드(BuzzFeed) 지분을 매입해 눈길을 끈다. [유료기사코드] 24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비벡 라마스와미는 올해 3~5월 버즈피드 주식 270만주를 매수했다. 매수가는 주당 1.54~2.51달러 수준이다. 라마스와미는 SEC 공시에서 "주식이 저평가돼 있어 투자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했다"면서 "회사 전략의 변화를 비롯해 주주 가치 극대화를 위해 이사회 및 경영진과 대화를 시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버즈피드는 2006년 허핑턴포스트 창업주인 조나 페레티가 설립한 온라인 미디어업체다. 밀레니얼 세대를 겨냥한 가볍고 유쾌한 소재의 콘텐츠를 통해 큰 성공을 거뒀다. 이후 시사 뉴스를 다루고 심층적인 탐사 보도를 하는 거대 미디어로 올라섰다. 하지만 계속되는 가짜 뉴스·낚시성 제목 논란과 신생 경쟁 매체 등장으로 영향력이 줄기 시작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기업들이 매체 광고비를 줄이면서 심각한 타격을 받았다 .이에 지난해 대규모 구조조정을 실시했고, 뉴스 부문을 폐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1위 케이블 사업자 컴캐스트(Comcast)가 인터넷매체 버즈피드(BuzzFeed) 주식을 대규모 매각했다. 글로벌 빅테크 메타플랫폼의 투자 이후 이 회사의 주가가 급등함에 따라 투자를 일부 회수한 것으로 보인다. [유료기사코드] 9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따르면 컴캐스트는 지난 2~6일 3거래일에 걸쳐 버즈피트 주식 총 512만1600주를 매각했다. 매각가는 주당 2.2달러 수준으로 매각 규모는 1130만 달러(약 142억원)에 이른다. 컴캐스트는 앞서 지난달 30일~이달 1일에도 이 회사 주식 572만6385주를 매도한 바 있다. 매각 규모는 1600만 달러(약 200억원) 수준이다. 이에 따라 지분율은 일주일새 20%에서 16%로 낮아졌다. 컴캐스트는 지난 2015년과 2016년 이 회사에 각각 2억 달러(약 2520억원)씩 두 차례 투자했다. 메타의 투자 소식 이후 버즈피드 주가가 급등함에 따라 차익 실현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8일 현재 미국 나스닥에서 버즈피드 주가는 1.87달러로 올해 들어 156.16%나 급등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지난달 27일 메타가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등의 크리에이터 콘텐츠 생산
[더구루=홍성환 기자] 글로벌 빅테크 메타플랫폼이 미국 인터넷매체 버즈피드(BuzzFeed)에 베팅했다.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등 최근 성장이 정체된 자사 소셜플랫폼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27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메타는 페이스북·인스타그램 등의 크리에이터 콘텐츠 생산을 지원하기 위해 버즈피드에 수백만 달러를 지원했다. 양사는 메타 소셜플랫폼에 더 많은 크리에이터를 유치하기 위해 광고 수익 창출 등에 협력할 방침이다. 버즈피드는 현재 메타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콘텐츠 생성, 인지도 확대 등을 교육하고 있다. 최근 중국 바이트댄스의 숏폼 플랫폼 틱톡이 젊은층의 인기를 끌며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하는 반해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은 성장이 정체된 상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이마케터에 따르면 지난해 틱톡의 글로벌 이용자가 18% 늘어났는데, 인스타그램은 2.75% 증가하는데 그쳤고 페이스북은 신규 유입이 거의 없었다. 버즈피드는 2006년 허핑턴포스트 창업주인 조나 페레티가 설립한 온라인 미디어업체다. 밀레니얼 세대를 겨냥한 가볍고 유쾌한 소재의 콘텐츠를 통해 큰 성공을 거뒀다. 이후 시사 뉴스를 다루고 심층적인 탐사 보도를 하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온라인 미디어업체 버즈피드(BuzzFeed)의 전현직 직원들이 회사가 기업공개(IPO) 작업을 부실하게 관리해 큰 손해를 입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버즈피드 전현직 직원 80여명은 회사가 허술하게 IPO를 진행했고, 상장 이후 주가가 하락하기 전 직원들이 주식을 처분할 수 있는 기회를 거부했다며 미국중재협회(AAA)에 2건의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총 870만 달러(약 110억원)의 배상금을 요구했다. 이들은 "회사가 상장한 지 며칠 만에 주가가 급락했는데 직원들은 팔지 못했다"면서 "이로 인해 엄청난 손실을 입었고 재정적으로 어려움이 커졌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버즈피드 측은 "직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며 필요한 정보를 제공했다"면서 "주가가 하락한 점은 유감이지만 그들의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 버즈피드는 2006년 허핑턴포스트 창업주인 조나 페레티가 설립한 온라인 미디어업체다. 밀레니얼 세대를 겨냥한 가볍고 유쾌한 소재의 콘텐츠를 통해 큰 성공을 거뒀다. 이후 시사 뉴스를 다루고 심층적인 탐사 보도를 하는 거대 미디어로 올라섰다. 작년 12월 초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인
[더구루=홍성환 기자] 최근 미국 증시에 입성한 미국 온라인 미디어업체 버즈피드의 주가가 부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버즈피드는 지난 6일(현지시간)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인 890 피프스 애비뉴 파트너스(890 5th Avenue Partners)와 합병을 완료하며 거래를 시작했다. 15일 기준 주가는 6.26달러로 합병 전 마지막 거래일인 지난 3일 종가(9.62달러) 대비 35%나 하락했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투자전문매체 모틀리풀은 17일(현지시간) 버즈피드가 뉴욕증시에 초라하게 데뷔한 원인을 7가지로 설명했다. 이 매체는 가장 먼저 버즈피드의 성장세가 인상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모틀리풀은 "버즈피드의 기업설명서를 보면 2020년 이전 재무 정보가 없다"면서 "단순히 성장하고 있다는 것에 대해서만 알려줄 뿐"이라고 주장했다. 독자들의 이용시간 증가세가 둔화된 점도 문제로 꼽았다. 모틀리풀은 "올해 첫 9개월 동안 전체 버즈피드 콘텐츠 이용시간은 60만2248시간으로 1년 전과 비교해 10% 증가하는 데 그쳤다"면서 "사용자당 평균 수익 증가세도 약하다"고 했다. 타사 플랫폼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점도 약점이다. 이 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온라인 미디어업체 버즈피드가 미국 증시 상장을 앞두고 투자자들이 대거 이탈하면서 처음 목표에 크게 못 미치는 자금을 조달했다. [유료기사코드]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버즈피드는 지난 3일(현지시간) 나스닥에 상장된 기업인수목적회사(SPAC·스팩) 890 피프스 애비뉴 파트너스(890 5th Avenue Partners)와 합병을 완료하면서 1600만 달러(약 190억원)를 조달했다. 이는 앞서 지난 6월 기업공개(IPO) 계획을 발표했을 당시 공개했던 조달금액 2억8800만 달러(3400억원)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다. 애초 상장지분 사모투자(PIPE)를 약정했던 투자자 다수가 투자를 철회한 것으로 보인다. 버즈피드는 2006년 허핑턴포스트 창업주인 조나 페레티가 설립한 온라인 미디어업체다. 밀레니얼 세대를 겨냥한 가볍고 유쾌한 소재의 콘텐츠를 통해 큰 성공을 거뒀다. 이후 시사 뉴스를 다루고 심층적인 탐사 보도를 하는 거대 미디어로 올라섰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지난해 광고, 라이브이벤트 매출이 급감하며 대규모로 인력을 감축했다. 한편, 3분기 버즈피드 매출은 9000만 달러(약 1060억원)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중국 시장 전용 6인승 전기 SUV '모델 Y L'을 출시했다. 테슬라는 모델Y L을 앞세워 중국 로컬 브랜드에 맞서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는 19일(현지시간) 모델Y L을 출시하고 판매에 돌입했다. 모델YL의 배송은 다음달 시작될 예정이다. 모델Y L은 중국 시장 최고 인기 모델인 모델Y의 롱바디 모델이다. 이를 통해 좌석을 3열까지 배치해, 탑승인원을 6명으로 늘린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테슬라 중국법인 측은 "휠베이스를 늘려 각 좌석마다 넉넉한 레그룸을 갖추고 있다"며 "좌석마다 전동 조절 시트와 열선 기능이 장착됐고, 2열 시트에는 전동 암레스트도 탑재됐다"고 소개했다. 또한 2열과 3열은 평평하게 접혀, 필요에 따라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테슬라 모델Y L의 1회 충전시 751km(CLTC 기준) 주행할 수 있으며,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데는 4.5초가 소요된다. 최고 속도는 시속 210km에 달한다. 중국 전기차 전문매체 CNEV포스트는 모델YL에 LG에너지솔루션에서 개발한 82kWh 삼원계 배터리(NMC)가 장착됐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모델YL을 33만90
[더구루=정예린 기자] 엔비디아가 오는 2027년부터 고대역폭메모리(HBM) 핵심 부품인 '베이스 다이'의 자체 생산을 추진한다. 기존 공급망 의존도가 줄어들면서 HBM 시장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대만 공상시보(CTEE)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7세대 HBM인 HBM4E부터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탑재할 계획이다. 초기에는 TSMC 3나노미터(nm) 공정을 적용해 소량 시험 생산을 진행하고, 점차 생산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는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HBM 생산 기업들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2027년 하반기부터는 엔비디아가 자체 맞춤형으로 설계한 베이스다이를 적용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2027년 하반기부터 어느 메모리 업체의 HBM 제품과 결합하더라도 엔비디아가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HBM 생산 기업 등 공급망 내 기업들의 일부 역할이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이번 전략 변화가 GPU와 HBM 시스템 통합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HBM4E부터는 단순 메모리 적층을 넘어, 최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