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제넥신의 인도네시아 파트너사가 제넥신이 부스터샷용으로 개발하는 중인 코로나19 백신을 인도네시아를 넘어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선보일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제넥신의 인도네시아 파트너사인 칼베 파르마의 베르나르두스 카르민 위나타 재무 담당 이사는 현지 경제전문 매체 비즈니스 인도네시아(Bisnis Indonesia)와의 인터뷰에서 "'GX-19N' 상업화 지역에는 인도네시아뿐만 아니라 아세안(ASEAN) 지역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베르나르두스 카르민 위나타 이사는 코로나19 백신의 부스터샷 접종이 한 번으로 충분할지 확실하지 않아 인도네시아 자체의 부스터샷용 코로나19 백신 수요도 상당히 크다고 말하면서 이같이 발언했다. 오미크론 변이가 나타난 이후 세계 각국의 방역 당국이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 접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선 가운데 동남아시아 지역을 통째로 노리는 전략을 펼치겠다는 의사를 표시한 것이다. 1967년 창설된 아세안 회원국의 현재 회원국은 인도네시아를 비롯해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브루나이, 베트남, 라오스, 미얀마, 캄보디아 등 10개국에 달한다. 인도네시아(2억6400만명·이하 2017년 기
[더구루=오소영 기자] 제넥신의 인도네시아 파트너사 칼베 파르마가 현재 시장에 유통 중인 중국 시노팜의 백신과 비슷한 가격에 부스터 백신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칼베 파르마는 부스터 백신 공급을 추진하고 있다. 재무를 담당하는 베르나르두스 카르민 위나타(Bernadus Karmin Winata) 칼베 파르마 이사는 메신저 서비스 왓츠앱에서 "부스터 백신은 현행 VGR(Vaksin Gotong Royong)의 가격대를 따를 것"이라고 밝혔다. 세부 가격은 밝히지 않았지만 "현재 사용 중인 백신의 가격대에 머물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VGR은 민간 기업이 백신을 구매해 직원과 가족에게 무료로 접종하는 민간 주도의 유료 백신 프로그램이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작년 5월 VGR 프로그램을 실시하며 자국에 도입하는 중국 시노팜의 백신 가격을 1회분당 32만1660루피아(약 2만6920원), 예방 접종 서비스 가격을 11만7910루피아(약 9860원)로 책정했다. 이어 7월 회사에 속하는 않은 일반 시민들이 VGR 프로그램을 활용해 시노팜 백신을 같은 가격에 접종받도록 허용했다. 위나타 이사의 발언을 감안할 때 칼베 파르마의 부스터 백신은 시노
[더구루=정예린 기자] 제넥신이 개발중인 코로나19 부스터샷용 백신이 이르면 내년 하반기 인도네시아 정부로부터 승인을 받을 전망이다. 파트너사 '칼베 파르마'를 통해 공급하고 현지 생산도 추진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칼베 파르마의 최고경영자(CEO)인 비종티우스 비종티우스는 "최근 인도네시아 식약처(BPOM)에 부스터샷 후보물질 'GX-19N' 임상시험을 신청했으며 내년 초 승인받길 바란다"며 "임상 계획은 내년 중반까지이므로 하반기에 긴급 사용 허가를 받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칼베 파르마는 인도네시아의 대형 제약사다. 제넥신과 백신 개발·생산·유통에 협력하고 있다. 양사는 인도네시아 합작법인 'KG바이오'를 설립하고 2016년 2월 현지 공장을 개소하는 등 오랜 기간 우호적인 관계를 맺어왔다. 백신 개발 초기 단계부터 구매를 논의하는 등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었던 이유다. 내년 하반기 승인을 받으면 칼베 파르마가 백신 1000만 회 분을 구매한다. 추가 계약도 논의중이다. 다만 인도네시아 정부가 아직 민간 기업의 백신 조달·수입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지 않아 정확한 규모는 확정짓지 못했다. 제넥신과 칼베 파르마는 오는 2023년 인도네시아 현지에
[더구루=김다정 기자] 미국계 사모펀드 제너럴아틀란틱(General Atlantic)가 KG바이오(Kalbe Genexine Biologics)에 투자하면서 제넥신과 칼베 파르마의 지분율이 변동됐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제너럴아틀란틱의 추가 납입자본금에 따라 KG바이오에 대한 제넥신과 칼베 파르마의 소유권이 축소됐다. 하지만 여전히 KG바이오는 칼베 파르마의 자회사로 남아있다. 올해 초 제너럴아틀란틱은 KG바이오에 5500만 달러(약 608억원)를 투자하기로 결정했다. 이어 지난 26일 KG바이오에 자본을 다시 주입했다. 이에 따라 KG바이오의 자본은 1조4400억 루피아(약 1159억원)에서 1조5800억 루피아(약 1308억원)로 증가했다. 이와 함께 제러럴아틀란틱의 KG바이오 지분도 16.52%에서 23.83%로 증가했다. 반면 제넥신의 지분은 기존 22.26%에서 20.32%로 줄어들었다. 칼베 파르마의 지분율도 60.78%에서 55.46%로 떨어졌다. KG바이오는 한국 제넥신과 인도네시아 제약사 칼베 파르마가 2016년 설립한 합작사로, 동남아 제약 시장 선도를 목표로 한다. 칼베 파르마는 "KG바이오에 대한 제너럴아틀란틱의 투자금은 임상실험
[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네시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허브 구축에 의지를 표명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적극 구애하고 백신 기술에 높은 관심을 보이며 제넥신의 현지 진출이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부디 구나디 사디킨(Budi Gunadi Sadikin) 인도네시아 보건부 장관은 16일 로이터 통신에서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의 글로벌 제조 허브가 되고자 WHO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달 초 유럽을 방문했을 때 테드로스 아드하놈 게브레예수스(Tedros Adhanom Ghebreyesus) WHO 사무총장을 만났다"며 "WHO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첫 장소로 지목했고 나는 인도네시아가 두 번째가 되어야 한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WHO는 남아공과 mRNA 백신 기술 이전 허브를 세우기 위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남아공을 생산 거점으로 키워 아프리카에 백신 보급을 확대하겠다는 포부다. 남아공 외에 25개국이 WHO에 백신 허브 유치 의사를 보였다. 인도네시아도 그중 하나다. 사디킨 장관은 "인도네시아는 전 세계에 백신을 수출하는 데 있어 좋은 위치에 있다"며 "특히 세계에서 가장 무슬림 인구가 많아 (백신) 주
[더구루=김다정 기자] 제넥신과 공동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개발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제약사 '칼베 파르마'(Kalbe Farma)가 다시 한 번 연내 상용화의 의지를 다졌다. 베르나르두스 카르민 위나타(Bernadus Karmin Winata) 칼베 파르마 이사는 8일(현지시간) 온라인 기자회견을 열고 코로나19 백신과 관련 "임상시험이 잘 진행되면 올해 말까지 칼베가 백신에 대한 과학적 데이터를 식품의약품안전청(BPOM)에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베르나르두스 이사는 "올해 말 도출될 임상시험 데이터를 통해 긴급사용승인 발급을 촉진할 것"이라며 "해당 백신이 무상 백신으로 지정될지 등에 대한 문제는 정부가 결정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제넥신은 인도네시아 최대 제약사인 칼베파르마와 백신 개발 초기 단계부터 협력하면서 인도네시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았다. 현재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다국적 임상 2B/3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칼베 파르마는 지난달 BPOM으로부터 백신 후보물질 'GX-19N'의 2b/3상 임상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승인을 받았다. GX-19는 국내 제약사인 제넥신이 바이넥스, 국제백신연
[더구루=김다정 기자] 제넥신의 성장호르몬 결핍치료제 'GX-H9'이 중국에서 임상 3상 첫 환자 투약을 완료하고 순조롭게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제넥신의 중국 파트너사인 아이맵 바이오파마(I-Mab Biopharma)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열린 컨퍼런스콜에서 "지난 2월 소아 성장호르몬 결핍증(PGHD)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에프탄소마트로핀(GX-H9) 임상 3상의 첫 번째 환자 투약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GX-H9은 제넥신의 지속형 플랫폼기술인 hyFcTM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성장호르몬(rhGH) 제제다. 간에서 IGF-1(insulin-like Growth Factor 1)의 생성을 유도해, 골아세포(osteoblast) 및 연골세포(chondrocyte)를 포함한 다양한 조직에 작용하여 뼈 성장을 촉진한다. 최근에는 유럽의약품청(EMA)로부터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기도 했다. 아이맵은 제넥신과 GX-H9(I-Mab코드명 TJ101)을 포함한 3개 파이프라인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해, 중국 내 에프탄소마트로핀의 개발, 제조 및 상업적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 이에 지난해 1월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 산하 의약품평가센터
[더구루=김다정 기자] 제넥신의 항암 면역치료제 'GX-I7' 중국 임상이 순항하면서 '310조원' 규모의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낸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제넥신의 중국 파트너사인 아이맵 바이오파마(I-Mab Biopharma)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컨퍼런스콜을 개최하고 'TJ107'(GX-I7의 I-Mab코드명)의 개발현황에 대해 공유했다. TJ107은 제넥신이 항암 면역치료제로 개발 중인 '유전자재조합 인간 인터루킨-7(interleukin-7)' 성분 의약품이다. 인터루킨-7은 면역 시스템의 핵심세포인 T세포를 만들어내는 가장 중요한 단백질이다. 아이맵은 지난 2017년 제넥신으로부터 암에 대한 적응증에 대하여 TJ107의 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에 대한 개발권 및 판권을 기술이전 받았다. 아이맵에 따르면 TJ107는 진행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중국의 1상 임상 시험을 완료했다. 이어 교모세포종(GBM) 환자에 대한 2상 임상 시험은 지난 2월 첫 번째 환자 투약을 완료하고, 현재 환자 등록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지난달에는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 산하 의약품평가센터(CDE)로부터 삼중음성유방암과 두경부암 등
[더구루=김다정 기자] 제넥신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이 인도네시아 임상 허가를 획득했다. 연말까지 임상을 마쳐 공급에 돌입하고 연내 상용화를 목표로 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제넥신의 현지 협력사 ‘칼베 파르마’(Kalbe Farma)는 최근 인도네시아 식품의약국(BPOM)으로부터 'GX-19N' 백신의 2b/3상 임상 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승인을 받았다. 앞서 칼베 파르마는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X-19N'의 글로벌 임상 2·3상을 위해 BPOM에 임상시험계획서(IND)를 냈다. 코로나19 GX-19N의 2b/3단계 임상은 여러 국가가 참여하는 다국적 기반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칼베 파르마는 GX-19N 백신이 보건당국의 긴급 승인을 통해 해당 백신이 연내 상용화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칼베 파르마 관계자는 "임상시험이 순조롭게 진행된다면 백신의 연말에 사용될 수 있도록 BPOM으로부터 긴급승인 허가를 받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GX-19은 국내 제약사인 제넥신이 바이넥스, 국제백신연구소(IVI), 제엔바이오, 한국과학기술원(KAIST), 포항공과대학교(포스텍) 컨소시엄이 공동으로 개발한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이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제넥신은 인도네시아 최대 제약사인 칼베 파르마(PT Kalbe Farma)와 내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임상 2 ·3상을 추진한다. 연말까지 임상을 마쳐 공급에 돌입하고 인도네시아 진출에 박차를 가한다. 25일(현지시간) 인베스터 데일리(Investor Daily) 등 인도네시아 매체에 따르면 레트로 마르수디 외교장관은 정의용 외교부 장관과의 회담 직후 코로나19 협력 방안을 발표했다. 제넥신은 칼베 파르마와 내달 자카르타와 중부 자바에서 코로나19 백신 임상 2·3상을 실시할 계획이다. 마르수디 장관은 "연말까지 백신을 사용할 수 있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제넥신은 백신 개발 초기부터 인도네시아와 협업해왔다.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 'GX-19N'의 글로벌 임상 2·3상을 위해 인도네시아 식약처에 임상시험계획서(IND)를 냈다. 긴급사용승인을 받아 칼베 파르마에 백신을 제공할 예정이다. 제넥신은 지난 4월 1000만 도즈 공급을 합의한 바 있다. 5월에는 부디 구나디 사디킨 보건부장관이 제넥신의 본사를 찾아 개발 현장을 둘러보며 협력에 강한 의지를 표명했었다. GX-19N은 코로나 바이러스 표면에 돋은 스파이
[더구루=정예린 기자] 제넥신이 개발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이르면 오는 4분기께 접종을 시작한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칼베 파르마의 최고경영자(CEO) 비종티우스 비종티우스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열린 온라인 설명회에서 "(백신 개발의) 전체 과정이 순조롭고 보건 당국이 정한 요건을 충족한다면 올해 4분기쯤 대중들에게 백신 주입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칼베 파르마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은 한국 제약사인 제넥신과의 협력 결과"라고 밝혔다. 칼베 파르마는 인도네시아의 대형 제약사다. 지난 3월 인도네시아 식약처에 제넥신과 함께 백신 후보물질 'GX-19N'의 임상 2·3상을 신청했다. 한달 뒤인 4월에는 백신 1000만회 분을 선구매했다. 최종 승인를 받으면 칼베 파르마가 현지 공급도 맡는다. 향후 추가 백신 구매 계약도 논의중인 것으로 알려진다. 양사는 인도네시아 합작법인 'KG바이오'를 설립하고 2016년 2월 현지 공장을 개소하는 등 오랜 기간 우호적인 관계를 맺어왔다. 백신 개발 초기 단계부터 구매를 논의하는 등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었던 이유다. 제넥신은 국내 코로나19 백신 개발사 5곳 중 가장 먼저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전자제품 제조사 레노버의 자회사인 모토로라 모빌리티(이하 모토로라)가 인도 위치추적 태그 시장에 진출했다. 모토로라는 위치추적 태그를 비롯해 노트북, 태블릿 등을 출시하며 인도 공략 속도를 높였다. [유료기사코드] 모토로라는 23일(현지시간) 인도에서 '모토로라 태그(Motorola Tag)'를 출시했다. 모토로라 태그는 공식 홈페이지와 인도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인 플립카트(Flipkart)를 통해 판매되며, 가격은 2299루피(약 3만8000원)다. 모토로라 태그는 애플 에어태그와 삼성 스마트태그, 지오 에어태그, 노이즈 태그 등과 경쟁한다. 지난해 6월 출시된 모토로라 태그는 가방이나 지갑, 다양한 전자기기에 장착할 수 있는 열쇠고리 형태의 장치다. 모토로라 태그는 지름 31.9mm, 두께 8mm, 무게 7.5g의 컴팩트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위치추적 기능을 제공한다. 연결 범위는 최대 100m이며 구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기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과 연동해 사용한다. 모토로라는 태그가 블루투스 추적 기능 외에도 연동된 스마트폰 벨소리 울리기, 원격 카메라 셔터 등의 기능도 제공한다고 설명했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양자컴퓨팅 기업 아이온큐(IonQ)가 토요타와 손잡고 일본 양자컴퓨팅 시장에 진출한다. 아이온큐는 향후 토요타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일본 상업용 양자컴퓨팅 시장을 빠르게 선점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아이온큐는 23일(현지시간) 토요타 그룹 산하 토요타통상(Toyota Tsusho Corporation)과 일본 양자컴퓨팅 유통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아이온큐는 토요타통상이 보유한 일본 내 고객 네트워크를 활용해 기업용 양자컴퓨팅 시장을 본격 공략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이온큐와 손잡은 토요타통상은 2017년부터 양자컴퓨팅 사업을 전개해왔다. 토요타통상은 자동차 부품 기업 덴소를 비롯해 일본 양자컴퓨팅 소프트웨어 기업 쿠나시스(QunaSys), 이스라엘 양자컴퓨팅 스타트업 '퀀텀 머신(Quantum Machines, QM)' 등과 양자 파트너십을 맺었다. 특히 지난 2월에는 영국 광자 양자컴퓨터 기술 스타트업 오르카 컴퓨팅(ORCA Computing)과도 유통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아이온큐는 토요타통상의 네트워크를 토대로 일본 내 기업에 양자컴퓨팅 기술을 소개하고, 추가 고객 확보에도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