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프리미엄 브랜드 GMC가 전기 픽업 '허머EV'를 리콜한다. 배터리 커넥터 결함으로 인한 배터리팩 손상 가능성이 발견됐다. GMC는 9일(현지시간) 허머EV에 대한 자발적 리콜한다고 밝혔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의 개입 없이 자체적으로 진행되는 만큼 이번 리콜을 '고객 만족 프로그램'(Customer Satisfaction Program)이라고 명명했다. GMC는 허머EV 일부 트림에 사용된 고전압 배터리 팩 커넥터 부식으로 배터리 팩에 습기가 발생할 가능성을 발견했다. 배터리 팩에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인 만큼 조기에 리콜을 결정했다. 이미 배터리 커넥트 부식 방지를 위한 대책도 마련한 상태다. 배터리 팩 손상으로 인한 사고 발생 여부는 따로 밝히지 않았다. 리콜 대상은 2022년형 허머EV 424대다. GMC는 리콜 해당 차량을 구매한 소비자에게 직접 연락을 취하고 가까운 지역 딜러와 연결을 돕고 있다. 고객과 연락이 닿지 않을 것을 대비해 핫라인도 운영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배터리 팩 커넥터는 문제 발생 시 차량 대시보드에 경고등이 들어올 정도로 중요한 부품"이라며 "조기에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제너럴모터스(GM)가 유럽 전기차 시장 진출을 위한 준비에 돌입했다. 고급차 브랜드 캐딜락 첫 전기차 모델 '리릭'(Lyriq)을 선봉으로 전기차 라인업을 전개할 계획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GM은 최근 유럽 전기차 시장 진출을 위한 계획과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의 강력한 환경 규제로 유럽 전기차 시장의 성장 속도가 미국을 앞지르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유럽 현지 스타트업을 활용해 이동성, 소프트웨어, 연결성, 배송 및 물류 분야에서 회사에 중요한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으로 유럽 시장을 공략할 방침이다. 현재 인재 확보와 팀 정비 등를 진행하고 있다. 유럽 공략 1호 모델은 리릭으로 낙점했다. 리릭은 GM의 얼티움 BEV3 플랫폼에 기반을 두고 있다. 싱글 모터를 탑재해 최고출력 340마력 최대토크 44.7kg.m의 성능을 낸다. 여기에 12모듈 100.4kWh 얼티움 배터리팩을 장착해 완전 충전 시 주행거리는 483km(300마일)에 달한다.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가 탑재됐다. 경쟁 모델로는 아우디 e트론을 지목했다. 리릭에 이은 두 번째 모델로는 GMC 전기 픽업 트럭 허머 EV를 검토하고 있다. 기본 트림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군수 산업 부분을 담당하는 GM디펜스가 미국 국방부 요청으로 GMC 전기 픽업 트럭 '허머EV'를 군용 차량으로 개발하고 있다. 하반기 내 프로토타입을 선보일 예정이다. 22일 GM디펜스와 업계에 따르면 GM디펜스는 지난해 허머EV를 기반으로 한 군용 정찰차량 개발을 시작했다. 군사 작전 수행 역량을 높이기 위해 외관과 기능 등 일부를 개조해 테스트를 이어가고 있다. 연내 프로토타입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해당 프로젝트는 미 국방부의 요청에 따라 이뤄졌다. 미 국방부는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전기차를 군용 차량으로 이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오는 2035년까지 모든 군용 차량을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목표다. 미 국방부는 허머EV가 군용 차량으로 이용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했다. 무게가 4t에 달하는 대형 전기 트럭임에도 압도적인 성능을 자랑한다는 이유에서다. 양산형 모델 기준 허머EV 기본 트림은 625마력, 1021kg.m 토크, 최대 482km의 주행가능거리를 제공한다. EV3X 트림은 830마력, 1582kg.m 토크에 제로백 3.5초의 가속성능과 482km 이상의 주행가능거리 갖췄다. 특
[더구루=윤진웅 기자] 제너럴 모터스(이하 GM) 프리미엄 픽업·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브랜드 'GMC'가 대형 픽업트럭 모델 '시에나 드날리'(Sierra Denali)를 내세워 국내에 진출했다. 국내 픽업트럭 시장 변화가 예상된다. GM은 22일 인천 파라다이스시티에서 'GM 브랜드 데이'(GM Brand Day in the Gradient City)를 개최하고 GMC의 국내 도입을 공식 선언했다. GMC는 120년 이상 헤리티지를 보유한 GM의 프리미엄 픽업·SUV 전문 브랜드로 지난 1902년 출범했다. 뛰어난 내구성과 완성도 높은 기술력으로 다양한 상용차를 생산해 왔으며 국내에서는 군용트럭으로 유명하다. 특히 지난 1996년 GMC 트럭 사업본부를 폰티악의 승용차 사업본부와 합병하면서 SUV 라인업이 강화됐다. 카를로스 미네르트(Carlos Meinert) 한국지엠 영업·서비스·마케팅 부문 부사장은 "GMC를 통해 국내 GM 산하 글로벌 브랜드와 제품 포트폴리오는 한층 확대될 것"이라며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어 "쉐보레, 캐딜락과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며 한국 시장에서 멀티브랜드 전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반도체 산업이 향후 대규모 숙련공 부족사태를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숙련공 부족 문제는 기업간의 인재 쟁탈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숙련공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스템 정비가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1일 반도체 전문매체 세미미디어에 따르면 오는 2030년까지 글로벌 반도체 산업에 숙련공이 100만명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세부적으로는 미국이 6만7000명의 엔지니어가 부족할 것으로 예상됐으며, 유럽은 10만명 이상이 부족할 것으로 예측됐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우에는 미국과 유럽을 합친 것보다 많은 20만명 이상의 엔지니어가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일반 엔지니어 뿐 아니라 중간 관리자급도 10만명, 고위 임원도 1만명 이상 부족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문제는 반도체 관련 학생 수가 줄어들고 있다는 점이다. 독일의 경우 2021년 기준 STEM(Science(과학), technology(기술), engineering(공학), mathematics(수학)) 분야 입학률이 6.5% 감소했다. 미국의 경우에는 2018년 전기공학 부문 졸업생이 1만3767명에 불과했다. 이는 향후 숙련공이 될 수 있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AI가 인류 경제 시스템에 미칠 영향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앤트로픽은 이번 기회를 통해 AI 도입으로 발생할 문제에 대한 대응책도 마련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엔트로픽에 따르면 '앤트로픽 경제 미래 프로그램(Anthropic Economic Futures Program)'을 개시한다. 앤트로픽은 해당 프로그램을 통해 AI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연구하고, 발생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 개발을 지원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AI가 도입되면서 노동 시장에서 발생할 일자리 문제와 글로벌 경제 시스템의 변화 등을 상세하게 연구할 예정이다. 또한 이를 토대로 발생할 부작용을 예측해 대응 방안도 제시한다. 앤트로픽 경제 미래 프로그램은 △연구비 지원 △포럼 개최 △장기 데이터 생성·공급 등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앤트로픽은 연구자들이 AI가 미칠 영향을 조사할 수 있도록 지원금과 파트너십 등을 제공하고, 실제 데이터에 기반해 AI의 영향을 연구할 수 있도록 포럼을 마련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앤트로픽 경제 지수(Anthropic Economic Index)를 기반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