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LG그룹이 베트남 하이퐁시 최대 산업단지에 연이어 투자하며 전략적 협력을 강화, 지역 경제 성장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차세대 산업 중심지로 떠오른 하이퐁시 '넘버원 파트너'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는 모습이다. 하이퐁시는 지난 11일(현지시간) 짱주에(Tràng Duệ) 3 산업단지 프로젝트를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하이퐁시 당국과 산업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했으며, LG그룹이 대표적인 성공 사례로 언급됐다. 하이퐁시는 "짱주에 1·2 산업단지에 100개 이상 프로젝트, 총 110억 달러에 달하는 투자가 이뤄졌으며, 그 중심에는 LG디스플레이, LG전자, LG이노텍 등 LG의 3개 주요 계열사가 있다"며 "LG를 포함한 글로벌 첨단기업과의 협력 사례를 발판 삼아, 이번 3단지도 고부가가치 산업 유치에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652.73헥타르(약 198만 평) 규모의 짱주에 3 산업단지는 전기차, 전자, 친환경 부품 등 첨단산업 기업 유치에 초점을 맞췄다. 새로운 산업단지를 통해 고임금 일자리를 대거 창출하고 하이퐁시 경제 성장을 견인한다는 목표다. 총 8000억 동 이상이 투입되며, 정부 승인일로부터
[더구루=정예린 기자] LG그룹이 4월 중국에서 대거 특허를 확보하며 미래 기술 선점에 속도를 내고 있다. 배터리·로봇·스마트 안경 등 전방위 기술 포트폴리오를 앞세워 기술 방어전을 넘어 주도권 확보까지 노리는 모양새다. 6일 중국 국가지식산권국(CNIPA)에 따르면 CNIPA는 LG그룹 계열사가 2019년부터 작년 10월까지 출원한 특허 총 370건을 승인했다. 특허 승인은 9일에 걸쳐 이뤄졌으며 하루 평균 약 41건을 승인받았다. 지난달 확보한 특허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LG전자가 가장 많은 134개의 특허를 승인받았다. △LG에너지솔루션(120개) △LG디스플레이(46개) △LG화학(45개) △LG이노텍(26개) △LG생활건강(2개) △LG경영개발원(1개) 등이 뒤를 이었다. LG전자는 '전자기기(특허번호 CN119895309A)'라는 제목의 스마트 안경 관련 특허를 승인 받아 눈길을 끈다. 이 특허는 스마트 안경 특허는 시야각 조정 기술, 고해상도 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그리고 최적화된 사용자 경험을 위한 착용감 개선 기술을 포함하고 있다. LG전자가 웨어러블 디스플레이 기술을 강화하며 스마트 기기 시장 진출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점에
[더구루=김은비 기자] LG전자가 에콰도르에서 디지털 유통 채널을 새롭게 구축했다. 디지털 유통 채널을 강화하고 프리미엄 가전의 접근성을 대폭 높이며 중남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에콰도르 유통기업 크레사리테일(Cresa Retail)과 협력해 전자상거래 플랫폼 ‘LG샵(LG Shop)’을 공식 론칭했다. LG전자 정품 제품을 공식 온라인 사이트에서 직접 판매, 소비자가 신뢰를 통해 구매할 수 있도록 했다. LG전자는 LG샵에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 ‘LG OLED 에보 C4’ △워시타워(WashTower) △인스타뷰(InstaView) 냉장고 △엑스붐 스피커(XBoom AI XL7S) △아트쿨 에어컨(ARTCOOL) 등 프리미엄 제품군을 판매한다. OLED 에보 C4는 독자적 프로세서와 웹OS(webOS) 기반의 운영체제를 탑재, 차세대 시청 환경을 제공하는 LG전자 플래그십 TV다. 또한 세탁과 건조 기능을 하나로 통합한 워시시타워는 인공지능 기반으로 세탁량과 옷감 종류에 따라 자동으로 세탁 주기를 최적화해주는 스마트 기능을 탑재했다. LG전자는 이번 협업을 통해 온·오프라인 연계(옴니채널) 전략을 강
[더구루=김은비 기자] LG전자가 북미 시장에서 스마트 B2B 혁신과 에너지 효율 중심의 주택 솔루션 역량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LG전자는 향후에도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 실천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3일 그린 빌더 매거진에 따르면 LG전자 미국법인은 미국 친환경 건축 전문 매체 ‘그린 빌더 매거진(Green Builder Magazine)’이 발표한 ‘2025 지속가능 브랜드 지수(Sustainable Brand Index, SSI)’에서 냉난방공조(HVAC) 및 가전 부문 ‘지속가능 브랜드 리더(Sustainable Brand Leader)’로 선정됐다. 지난 해에 이어 2년 연속 선정됐다. 그린 빌더 매거진은 LG전자가 에너지 효율적이고 혁신적인 주택 솔루션을 제공하는 브랜드로서 주택 건설업자와 소비자 양측으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 이같이 선정했다고 밝혔다. LG전자는 동시에 '지속 가능한 제품상(Sustainable Product of the Year)'을 두 제품에서 수상했다. 이 제품은 △인덕션 더블 오븐 슬라이드인 레인지와 △SKS 쿡존프리 인덕션 프로레인지다. 해당 제품 모두 미국 에너지부 주관 에너지 효율
[더구루=김은비 기자] 삼성전자와 LG그룹이 ‘2025 글로벌 평판 기업 100’에 나란히 이름을 올렸다.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선정되며 글로벌 브랜드 신뢰도에서 존재감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그룹은 최근 글로벌 기업 평가 전문기관 렙트랙(RepTrak) 컴퍼니가 선정한 ‘2025 글로벌 렙트랙 100(Global RepTrak 100)’에서 각각 12위, 23위를 차지했다. 양사는 한국 기업 중 유일하게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렙트랙은 14개 주요 경제 섹터에서 활동하는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매년 세계 100대 기업을 선정한다. 소비자를 대상으로 총 21만1000건의 설문조사를 진행, 브랜드 신뢰·제품·서비스·ESG 활동·혁신 등 평판 요소를 종합 평가한다. 삼성전자는 78점대에 근접한 점수로 전체 12위에 올랐다. 혁신 기술력과 지속가능경영 전략, 글로벌 브랜드 캠페인 등이 고르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LG 역시 23위를 기록하며 두 자릿수 순위에 안착했다. 생활가전·TV 등 프리미엄 제품군의 글로벌 성과와 함께, 고객 경험 중심의 브랜드 전략이 소비자 평판에 긍정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글로벌 평판 순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전기차 충전기 제조를 담당하던 자회사를 청산하고 충전기 사업에서 철수했다. 국내 대기업들이 충전기 시장에서 수익성과 지속 가능성 문제로 사업 구조를 재편하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26일 LG전자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ES사업본부 산하 전기차 충전기 사업을 종료하고, 자회사 하이비차저는 청산 절차에 돌입한다고 발표했다. LG전자 관계자는 "선택과 집중 전략의 일환으로 HVAC(냉난방 공조) 등 핵심 사업에 역량을 모으기 위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LG전자는 충전기 제조 사업을 종료한 첫 국내 대기업 사례로 기록됐다. 충전기 제조는 단순 하드웨어 생산을 넘어, 설치·운영까지 전 과정을 요구하는 복합 사업이다. 그러나 이미 포화 상태에 가까워진 시장에서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공공 입찰 의존도가 높은 구조 속에 하이비차저는 뚜렷한 수익 기반을 확보하지 못했다. LG전자의 철수는 단순한 사업 정리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전기차 충전 시장이 '양적 확대'에서 '질적 경쟁' 국면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신호로 읽힌다. SK시그넷, GS차지비, LS이링크 등은 충전기 기술 고도화와 도심 네트워크 확장, 태양광·에너지저장장치(ESS) 연계
[더구루=김은비 기자] LG전자가 미국 호텔산업 지속가능성 평가 프로그램에서 '10년 연속' 최고 등급을 획득했다. LG전자는 친환경 기술 경쟁력을 다시 한 번 입증하며 향후에도 글로벌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24일 LG전자에 따르면 미국 호텔산업 공급업체 대상 지속가능성 평가 프로그램인 ‘2025 마인드클릭 지속가능성 평가 프로그램(MSAP)’에서 최고 등급인 '리더(Leader)를' 획득했다. 호텔 전용 TV, 디지털 사이니지, 모니터 제품군 모두 리더 등급으로 선정됐다. 지난 2016년부터 10년 연속이다. LG전자는 △탄소 영향 저감 △지속가능 소재 확대 △포장 폐기물 절감 △책임 있는 공급망 운영 등 전반적인 항목에서 우수한 점수를 받았다. 평가 기관인 마인드클릭은 호텔 에너지·수자원·폐기물 절감 기여도와 실내 공기질 및 유해물질 최소화, 재활용 가능성을 비롯해 아동 노동·환경 법률 준수 등 공급망 윤리성 등 세부 지표를 기반으로 업체를 선정한다. 마인드클릭은 “LG가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의미 있는 진전을 이루고 있다”고 평가했다. MSAP는 글로벌 주요 호텔 산업 업계가 가전제품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제품 생애주기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러시아 시장에서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와 오디오 기기 분야를 겨냥한 새로운 상표를 다수 등록한 사실이 확인됐다. 러시아 내 사업 재개 가능성을 시사하며, 글로벌 주요 시장에 대한 지식재산권(IP) 선점 전략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21일 러시아 연방 특허청(Роспатент)에 따르면 특허청은 LG전자가 작년 9월 신청한 △엑스붐 그랩(xboomGrab) △엑스붐 락(xboomRock) △퓨론(FURON) 등의 상표 등록을 지난달 대거 승인했다. 이들 상표는 모두 올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IT·전자 전시회 'CES 2025'에서 첫선을 보인 제품명들이다. 러시아 역시 글로벌 출시 대상국에 포함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점을 반증하는 것으로 보인다. '퓨론’은 국제상품분류 기준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형태의 AI 및 머신러닝 애플리케이션 개발, 배포, 모니터링 등과 관련된 서비스 제공을 뜻하는 제42류와 오디오 스피커, 음향 시스템, 무선 오디오 기기, 실내외용 스피커 등 다양한 음향 장비에 해당하는 제9류로 등록됐다. 엑스붐 그랩과 엑스붐 락은 제9류에 해당한다. 퓨론은 LG전자가 공개한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의 주요 협력사들이 인도 신공장을 지원사격하기 위해 동반 진출한다. 현지에 '가전제품 종합 클러스터'를 구축해 생산 효율성 향상과 물류 비용 절감 효과가 기대된다. 21일 안드라프라데시주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LG전자가 스리시티에 설립하는 가전 공장 인근에 4개 파트너사가 신규 생산거점을 마련한다. 각 협력사는 LG전자의 생산 공정을 지원하는 핵심 부품들을 현지에서 제조, 공급망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생산 유연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함께 진출하는 4개 기업은 △가전제품용 플라스틱 사출 성형을 전문으로 하는 국내 부품 기업 '에코리아(ECOREA)'와 일본 '쿠로다 일렉트릭’ 간 인도 합작사 '에코리아 쿠로다 일렉트릭 인디아(EKI)' △인쇄회로기판(PCB)과 와이어 하네스를 생산하는 '행성' △가전용 정밀 금형 등을 만드는 '경성정밀' △에어컨과 냉장고에 들어가는 금속 프레스 부품을 제조하는 '태성전자' 등이다. 파트너사 신공장 설립 투자 규모와 착공 시점, 가동 일정 등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향후 LG전자의 스리시티 공장 건설·운영 일정에 맞춰 순차적으로 설립될 것으로 보인다. LG전자는 협력사들과 함께 스리시티를
[더구루=김은비 기자] LG전자가 싱가포르 대형 물류센터에 고성능 냉난방공조(HVAC) 시스템 ‘멀티 브이아이(Multi V i)’를 공급한다. LG전자는 싱가포르를 기점으로 향후 성장이 기대되는 동남아 물류센터용 HVAC 시장 공략을 위해 인공지능(AI) 엔진 기반 스마트 제어 기능을 탑재한 공조시스템 기술 등을 내세워 수요에 적극 대응한다는 방침이다. 15일 LG전자에 따르면 최근 싱가포르 투아스(Tuas) 지역에 새롭게 들어선 대형 물류센터에 자사 고효율 대용량 시스템 에어컨(VRF) 멀티 브이아이를 납품했다. 이 물류센터는 연면적 약 5만9800㎡ 규모로 지어졌다. 싱가포르 건설청(BCA)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그린마크(Green Mark)’ 중 최고 등급인 ‘플래티넘(초저에너지)’ 인증을 목표로 만들어졌다. LG전자는 고객 맞춤형 패키지를 제안하며 기술력과 유연성을 동시에 입증, HVAC업체로 선정됐다. 탁월한 에너지 효율성과 고성능 솔루션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멀티 브이아이는 인공지능(AI) 엔진 기반 스마트 제어 기능을 탑재한 공조시스템이다. 실시간 외부 환경을 분석,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운전 모드를 자동 최적화한다. 특히 L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미국의 베트남 대상 고율 관세 조치가 계속될 경우 현지 투자를 전면 중단할 수 있다며 으름장을 놨다. 관세 인상으로 수출 경쟁력에 타격이 불가피해지며 LG전자를 비롯한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 전략을 재조정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14일 하이퐁시에 따르면 하이퐁경제구역관리위원회는 레 쭝 끼엔(Le Trung Kien) 위원장 주재 하에 지난 11일(현지시간) 미국의 관세 조치에 대응하기 위한 긴급 기업 간담회를 열고 입주 기업들과 대책을 논의했다. LG전자와 대만 페가트론 등 주요 외국인직접투자(FDI) 기업들과 세관·세무당국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김완기 LG전자 하이퐁법인 경영관리 담당은 "올해와 내년 짱주에(Tràng Duệ) 산업단지 내 공장 확대를 계획 중이었다"며 "하지만 관세 문제가 장기화된다면 미국 관세 문제로 투자 결정을 다시 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어 "다행히 베트남 정부가 미국과의 초기 협상에 착수해 관세 적용이 90일 유예된 만큼 이 시간을 활용해 협상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기대한다"며 "또 이번 간담회를 통해 정부의 신속한 대응과 지역 당국의 지원 의지를 확인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에 위치한 세탁기 공장을 확장하기 위한 공식 행정 절차에 돌입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현지 제조 필요성이 다시 부상하는 가운데, 멕시코산 가전 관세 부과에 대응해 세탁기 외 다른 가전제품 생산까지 염두에 둔 증설 준비를 본격화하고 있다. 11일 LG전자가 클락스빌 지역 계획 위원회(Clarksville Regional Planning Commission)에 제출한 문서에 따르면 미국법인은 기존 공장 인근에 신규 제조시설과 창고를 건설한다. 관련 내용은 오는 22일(현지시간) 열릴 위원회 회의에서 관련 내용이 심의될 예정이다. 'LG전자 테네시 2단계'라고 명명된 이번 증설 프로젝트는 약 310만 에이커(약 125만7000㎡) 부지에 건축 면적 약 60만 제곱피트(약 5만5600㎡) 규모의 건물을 신축하는 사업이다. 승인 절차가 원활히 진행되면, LG전자는 해당 부지에 신규 창고를 우선 착공한 뒤 세탁기 외 냉장고·오븐 등 다양한 가젠제품 생산용 라인을 구축할 계획이다. 앞서 조주완 LG전자 사장은 지난달 주주총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미국이 멕시코에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할 경우 마지막 방안으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최대 배터리 제조사인 엑사이드 인더스트리(Exide Industries, 이하 엑사이드)가 현대자동차와 진행하는 전기차(EV)용 배터리 공동 개발 프로젝트가 순항하고 있다. 현대차는 엑사이드 뿐만 아니라 인도 배터리 제조사 다수로부터 '메이드 인 인디아' 배터리를 공급받아 현지 공급망 체계를 지속 강화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엑사이드는 최근 진행된 투자자콜에서 "자회사인 엑사이드 에너지와 현대차의 계약에 따라 배터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지난해 4월 엑사이드 에너지와 인도 전용 EV 배터리셀 현지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12월에는 MOU의 연장선으로 구속력 있는 배터리 셀 공급 계약도 체결했다. 공시된 자료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법인은 엑사이드 에너지로부터 계약서에 명시된 가격으로 배터리를 공급받는다. 엑사이드 에너지의 배터리 공급은 내년 초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엑사이드 에너지는 현재 벵갈루루에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엑사이드 에너지는 내년 1분기 중으로 해당 공장의 1단계 상업생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공장의 1단계
[더구루=진유진 기자] 캐나다 광산기업 퍼스트 퀀텀 미네랄(First Quantum Minerals)이 파나마의 구리 광산 재가동에 대해 "조심스럽게 낙관적"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이 광산은 한국광해광업공단(KOMIR)이 공동 투자한 사업으로, 지난 2023년 11월부터 1년 5개월째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퍼스트 퀀텀은 코브레 파나마 광산 법인을 통해 파나마 정부를 상대로 제기했던 국제 중재 소송을 지난 달 자진 철회한 이후, 파나마 정부와의 협상 여건이 개선될 수 있다는 기대를 드러냈다. 최근 파나마 당국은 광산에 비축된 구리 정광 수출과 퍼스트 퀀텀이 운영 중이던 화력 발전소 재가동을 허용하는 방안을 두고 법적 논의를 시작했다.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광산을 국가 자산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민관 파트너십 모델을 검토 중이다. 그는 "광산 영구 폐쇄에는 최대 15년이 걸릴 수 있다"며 "우리가 이미 보유한 광산으로부터 파나마 국민이 최대한의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현명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초 환경 감사에서 시작된 광산 재검토는 재무적 측면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BMO 캐피털 마켓의 매트 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