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해광업공단, 광물공사 교훈 잊었나?…사업 관리 도마위

리스크관리위원회, 외부위원 구성 미달 상당수
'남북 협력 사례' 정촌 흑연광산 사업 보고 지연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광해광업공단이 투자 사업을 심의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의견을 반영하지 않고 리스크 관리에 미흡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남북 협력 프로젝트의 사후 보고 지연도 논란이 됐다. 광물자원공사의 부실을 반면교사 삼아 탄생했으나 애초 설립 목적과 달리 체계적인 사업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광해광업공단은 최근 내부감사에서 투자 사업의 리스크관리위원회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위원회는 신규 사업 진출, 자회사 출자 등 주요 투자 사업의 리스크를 점검하고 경영 안정에 기여하고자 만들어졌다. 광해광업공단은 심의의 객관성·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위원을 포함시켜야 한다. 작년 7월 29일 관련 규정이 개정되며 외부위원 인원은 2인에서 4인으로 늘었다.

 

하지만 2019년부터 작년 11월까지 개최한 투자 사업 리스크관리위원회 중 상당수는 외부위원 구성을 충족시키지 못한 채 진행됐다. 2019년 총 12회 중 7회는 외부인원이 미달됐다. 2020년과 2021년(1~11월) 규정을 어긴 위원회 비율은 각각 87.5%, 66.6%에 달했다.

 

외부위원 구성을 충족하지 못해 여러 의견을 반영해 리스크를 최소화하겠다는 위원회의 목적은 상실됐다. 더욱이 광해광업공단이 광물자원공사의 파산을 막고자 설립됐다는 점을 감안할 때 이번 내부감사에서 나온 비판은 뼈아프다.

 

광물자원공사는 잇단 해외자원 개발 사업 실패로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이르렀다. 2020년 말 기준 자산 규모는 3조207억원, 부채는 6조7535억원을 기록했다. 정부는 경영 정상화를 위해 칼을 빼들었다. 작년 9월 광물자원공사와 한국광해관리공단을 통합해 '한국광해광업공단'을 출범시켰다.

 

광물자원공사 시절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고 수익을 회복하려면 리스크 관리가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광해광업공단은 이를 소홀히 해 다른 부실을 키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남북 협력사업에 대한 보고에 미흡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광해광업공단은 광물자원공사 시절인 2003년부터 황해남도 정촌 흑연광산 사업을 추진해왔다. 정촌 흑연광산의 매장량이 약 625만t으로 추정된다. 광물자원공사는 북한 명지총회사와 각각 절반씩 지분을 보유한 합작사를 세웠다. 실사를 수행하며 진전을 보였으나 2010년 5·24조치로 사실상 중단됐다.

 

광해광업공단은 중단 이후에도 보고를 통해 사업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작년 3분기 사업 보고는 4분기 종료 후 20일 이내인 10월 20일까지 이뤄져야 했지만 누락됐다. 2개월 지연된 12월에야 보고가 진행됐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