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소매업계 "중국산 관세 부과에 韓공장 이전 요구" 돌파구 마련

-미 무역대표부, 3000억 달러 규모 중국산에 추가 관세 부과 검토
-소매업계 "관세부과 인상 비용 소비자에 전가…철회해야"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가 우려되자 미국 소매업체가 공급선 전환정책의 일환으로 한국기업의 제조공장 이전을 요구하고 있다. 비싸지는 중국 제품을 대신해 한국 제품을 선택하겠다는 것인데 기업의 생산기지를 옮겨 비용 절감 효과를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실제로 뉴욕주 롱아일랜드 소재 소형 보트 및 카약 판매 업체인 ‘시이글’은 거래 중인 한국 공급선에 제품 생산지를 기존의 중국 대신 베트남 공장으로 이전해 줄 것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11일 코트라에 따르면 미 무역대표부(USTR)는 지난달 13일 3000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 3805개에 25%의 추가 관세 부과 검토 계획하고 있다. 

 

이보다 앞서 지난 10일 2000억 달러 중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추가 관세를 10%에서 25%로 인상한 바 있어 미중 무역 갈등에 따른 미국 경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이 같은 조치에 중국 못지 않게 긴장하고 있는 건 미국 소매업계이다. 트럼부 행정부의 관세부과로 인해 인상되는 비용이 소비자에게 전가되고, 더불어 소매업계도 폐점할 것이라는 우려에서다. 

 

데이비드 프렌치 대정부관계 전미소매연합 담당자는 "공급체인들이 관세 인상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겠지만, 그 이후에는 소비자에게 비용 부담이 전가될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지난 10일 10%에서 25%로 관세가 오른 품목은 가구, 핸드백, 일부 가전 등이 포함됐으나 대부분이 농업 분야 노동자에게 영향을 미치는 품목이지만, 3000억 달러 리스트에는 의류와 신발, 스포츠 용품 등이 올라있어 소매업계의 부담은 더욱 커질 수 있다는 게 업계 주장이다. 3000억 달러 규모의 추가 관세는 곧 미 소매업계 폐점 확산을 부추길 우려가 있다는 것.

 

전미소매연합에 따르면 최근 수입업체들이 관세 인상에 대비해 제고확보에 주력하면서 전국 주요 항구의 물동량이 크게 증가했다. 

 

실제 뉴욕연방은행과 프린스턴·콜럼비아대 연구진의 연구 결과 이미 지난해 시작된 중국산 제품 추가 관세 부과로 미국 소비자들은 2018년 한 해 동안 69억 달러의 비용을 지불했다. 

 

특히 미 행정부가 검토 중인 3000억 달러 규모 관세 부과 품목은 미국 소비자에게 직접 적인 영향을 미치는 품목들이 다수 포함돼 있어 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망이다. 

 

매튜 셰이 전미소매연합 CEO는 "미국의 제조업을 뒷받침하고, 소비자들에게 합리적인 가격에 상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미국의 일자리를 위협하고, 소비자 지불 비용을 인상하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에 소매업계 안팎으로 미국 수입업체들이 공급선 전환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김동그라미 미국 무역관은 "한국과 거래를 하고 있는 일부 미국 바이어는 중국에 있는 한국 기업의 제조공장을 동남아 국가로 이전을 요구하고 있다"며 "중국산 제품에 부과되는 추가 관세가 당분간 철회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 미국 수입업체들이 공급선 전환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밝혔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