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發 5월 車부품 관세 '2차 쓰나미’…현대차·기아, 美 부품 현지화 비중 ‘취약’

미국 내 부품 현지화율 10%대, 경쟁사보다 현저히 낮아
현지 생산 모델 수입 부품 의존도 높아 관세 타격 우려
차량 가격 상승으로 판매 모델 경쟁력 약화 가능성도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관세 조치에 따른 2차 쓰나미에 휘말릴 위기다. 오는 5월 3일부터 자동차 부품 마저 25% 관세가 부과됨에 따라 현대차·기아 현지 부품 현지화 비중은 10%대에 불과, 경쟁 완성차 브랜드와 비교할 때 취약한 구조라는 지적이다. 

 

3일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따르면 현대차(제네시스 포함) 부품 현지화율은 12.16%이다. 이는 현대차가 미국에서 판매하는 31개 트림(현대차 22개·제네시스 9개) 현지 부품 공급율을 합한 평균값이다.

 

기아 부품 현지화율은 19.8%로 집계됐다. 기아는 미국에서 총 20개 트림을 판매하고 있다.

 

이 같은 현대차·기아 저조한 부품 현지화율은 다른 완성차 업체들과 비교할 때 더 두드러진다. 로컬 브랜드 제너럴모터스(GM)와 포드 부품 현지화율은 각각 24.94%와 33.10%이며, 일본 브랜드 토요타는 22.84%로 나타났다. 특히 혼다의 경우 57.18%에 달해 현대차와 비교할 때 45.02%포인트나 더 높다.

 

문제는 현지에서 생산하는 주력 모델 마저 부품 현지화 비중이 매우 낮은 상태라는 것. 대부분 60%를 밑돌고 있다. 40%가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는 셈이다. 

 

모델별 부품 현지화율은 제네시스 △GV70(25%) △GV70 EV(17%), 현대차 △아이오닉5(29~63%) △싼타크루즈(60%) △싼타페(47%) △싼타페 HEV(39%) △투싼(55%), 기아 △EV6(80%) △EV9(30~60%) △쏘렌토(55%) △스포티지(60%) △텔루라이드(60%)이다.

 

존 머피 뱅크오브아메리카 애널리스트는 "현대차·기아 미국 인기 모델은 대부분 내연기관으로 해외 공급망을 통해 공급된다"며 "부품에 대한 25% 관세로 인한 추가 가격 상승 요인 발생이 불가피하다"며 "여기에 경쟁 브랜드의 현지화 비중을 고려할 때 가격 경쟁력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트럼프 행정부는 이날부터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와 오는 5월 3일부터 자동차 부품에 각각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관세가 영원히 부과될 것이라고 강조했으나 지속 기간과 예외 인정 등에 대한 변동성은 여전한 상황이다.










테크열전

더보기




더구루인사이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