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형수 기자] 올해 브랜드 론칭 25주년을 맞은 아모레퍼시픽 이니스프리가 일본 캐릭터 전문업체 산리오와 협력해 열도 뷰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젊은 일본 여성층을 중심으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는 산리오 캐릭터 콜라보 제품을 강화하고 현지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이니스프리는 아모레퍼시픽이 2000년 론칭했다. 깨끗한 제주가 주는 자연의 혜택을 담아 고객에게 건강한 아름다움을 선사하는 한국 대표 자연주의 뷰티 브랜드를 표방하고 있다. 2일 산리오에 따르면 이니스프리와 협력해 산리오 캐릭터 마이멜로디를 패키지 디자인에 활용한 화장품 콜렉션을 론칭했다. 일본 대형 온라인쇼핑몰 큐텐·이니스프리 일본 공식 온라인 스토어, 버라이어티숍(화장품 등 편집매장) 로프트 등의 채널을 통해 순차적으로 판매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콜렉션은 △레티놀 그린티 PRDN 스킨부스터 앰플 △레티놀 시카 흔적 앰플 △그린티 씨드 히알루론산 세럼 △그린티 씨드 히알루론산 크림 등으로 구성됐다. 제품 패키지에 마이멜로디를 연상시키는 분홍색을 디자인을 적용해 소비 욕구를 자극한다는 전략이다. 이니스프리와 산리오 콜라보가 처음은 아니다. 지난 1월 산리오와
[더구루=김형수 기자] 신라면세점이 프랑스 명품 뷰티 브랜드 디올(Dior)과 손잡고 싱가포르 창이공항에 팝업스토어를 오픈했다.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이다. 유명 해외 화장품 기업들과 협력해 창이공항을 중심으로 글로벌 뷰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1일 창이공항그룹(CAG)에 따르면 신라면세점은 디올과 협업해 창이국제공항 제3터미널에서 오는 11일까지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 신라면세점은 이번 팝업스토어를 통해 고체 형태로 제작된 디올 향수 '미스 디올 미니 미스 솔리드 퍼퓸'(Miss Dior MIss Solid Perfume)을 알린다. 프루티 플로럴 향기를 강조한 '미스 디올 퍼퓸'(Miss Dior Parfum), 립케어와 스킨케어 효과를 지닌 '디올 어딕트 립 글로우'(Dior Addict Lip Glow) 등 다양한 뷰티 아이템도 선보인다. 스킨케어 컨설팅, 메이크업 세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 여행객들에게 체험기회를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디올 향수병을 표현해 팝업스토어 외관을 꾸몄다. 국내 면세시장이 침체에 빠지자 글로벌 뷰티 기업들과의 협력을 토대로 해외 시장에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한 신라면세점의 행보로 풀이된다. 한국면세점협회 조사 결
[더구루=김형수 기자] 쿠쿠홈시스가 말레이시아 소외계층 아동 대상 봉사활동에 팔을 걷었다. 국내 를 넘어 해외에서도 미래 세대의 건강하고 행복한 성장을 뒷받침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현에 앞장서고 있다. 쿠쿠홈시스 해외 합작법인 쿠쿠 인터내셔널은 1일 말레이시아 소외계층 아동들에게 직업 체험 기회를 제공했다. 사회봉사 프로젝트 '쿠쿠 러브스, 케어스 프로젝트'(Cuckoo Loves, Cares Project) 활동의 일환으로 기획했다. 쿠쿠 인터내셔널 임직원들은 4~18세 아동 107명과 이들의 보호자들과 함께 말레이시아 수도 쿠알라룸푸르에 자리한 어린이 직업체험 테마파크 '키자니아 쿠알라룸푸르'(KidZania Kuala Lumpur)를 방문했다. 아이들은 키자니아 쿠알라룸푸르 내 쿠쿠 익스피리언스 센터에 있는 '물 정수 연구소'(Water Filtration Lab), '건강한 가정 공간'(Healthy Home Space), '조리 체험 스튜디오'(Cooking Demo Studio) 등에서 다양한 체험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했다. 정수기를 거쳐 더러웠던 물이 깨끗해지는 원리를 학습하고, 직접 매트리스를 청소하며 청결한 생활 환경을 만드는 방법을 배웠
[더구루=김형수 기자] CJ제일제당이 봄을 앞두고 미초, 비비고 등 신제품을 대거 일본에 선보인다.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신규 수요를 창출해 현지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CJ제일제당은 1일부터 일본에 미초 3종과 비비고 4종 등 신제품 7종을 출시한다. 일본 전역에 자리한 양판점, 드럭스토어 등의 채널을 통해 순차적으로 판매를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미니 사이즈 미초 신제품 2종은 900ml 용량의 오리지널 미초 제품의 1/3 수준인 350ml 용량으로 개발한 제품이다. 구매 부담을 낮춰 신규 고객 유입을 확대하는 한편, 휴대성을 높여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저용량 제품을 기획했다. 비비고 만두 신제품도 론칭한다.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간편하게 데워먹을 수 있는 육즙만두 불고기, 짠맛과 달콤함이 어우러진 '단짠단짠' 풍미를 강조한 왕만두 불고기 등이다. 한국 전통 불고기 맛을 즐길 수 있다는 것이 CJ제일제당의 설명이다. K스트리트 푸드 전략 품목으로 선정한 붕어빵과 김밥 신제품도 준비했다. 초콜릿으로 속을 채운 비비고 초코붕어빵, 흰밥 대신 고추장에 비빈 비빔밥 사이에 나물, 달걀 지단 등을 넣고 말아낸 비비고 비빔밥김밥 등이다. C
[더구루=김형수 기자] 삼양식품이 아이돌그룹 엔하이픈 멤버 제이크를 전면에 내세워 인도네시아 라면 시장 공략에 고삐를 죈다. 제이크와 손잡고 K팝 등 한류에 열광하는 젊은 현지 소비자들에게 불닭볶음면을 알리며 판매 확대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삼양식품은 12일(현지시간) 제이크와 협력해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 소재 트리삭티 대학(Universitas Trisakti)에서 '삼양 불닭 스파이시스 더 캠퍼스'(SAMYANG BULDAK SPICES THE CAMPUS·이하 불닭 캠퍼스)를 개최했다. 제이크가 지난달 K푸드 유튜브 채널에 출연해 공개한 '까르보불닭리조또' 레시피가 인도네시아에서도 높은 관심을 끌자 기획한 행사다. K콘텐츠와 연계해 까르보불닭볶음면과 불닭볶음면 알리기에 나선 것. 제이크는 해당 유튜브 방송에 출연해 까르보불닭볶음면을 잘게 부순 뒤 즉석밥과 물·우유 등을 더해 크리미한 풍미가 일품인 리조토를 만들어 냈다. 이날 제이크는 트리삭티대학교 내 광장에 조성된 '불닭 행사장'에서 참가자들과 함께 까르보불닭리조또를 만드는 시간을 가졌다. 또 시식 행사에서 직접 현지 소비자 100명에게 까르보불닭볶음면을 나눠줬다. 삼양식품은 이밖에도 딱지치기·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이 일본 국민 앱 '라인'에 헤라를 입점, 열도 영토 화장에 나섰다. 오프라인에 넘어 온라인으로 현지 소비자 접점을 확보하고 열도 뷰티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한다는 전략이다. 28일 라인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은 모바일 선물 커머스 플랫폼 '라인 기프트'(LINEギフト)를 통한 헤라 화장품 판매를 시작했다. 라인 기프트 내에 헤라 특설 판매 페이지를 개설했다. 라인 기프트는 라인이 2015년 론칭했다. 지난해 7월 기준 누적 사용자 숫자 3500만명을 돌파하는 등 일본을 대표하는 모바일 선물 커머스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23년 4월부터 지난해 3월까지 라인 기프트를 이용해 선물한 사람은 약 1000만명, 선물을 받은 사람은 약 1500만명에 달한다. 특히 라인 자체 조사 결과 라인 기프트 이용자 가운데 60% 이상을 헤라 타깃 고객층인 2030세대 일본 여성이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모레퍼시픽이 브랜드 인지도 제고 및 판매 확대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헤라 라인 기프트 입점을 결정한 것으로 풀이된다. 아모레퍼시픽은 라인 기프트를 통해 △블랙 쿠션 파운데이션 △센슈얼
[더구루=김형수 기자] KT&G가 글로벌 담배기업 매출 순위 '톱10'에 진입했다. 지난해 궐련과 궐련형 전자담배 글로벌 판매가 호조를 보이며 해외 시장 내 입지를 강화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KT&G는 해외 생산기지를 늘려 글로벌 영토를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28일 미국 기업순위 평가기관 컴퍼니마켓캡(Companies Market Cap)에 따르면 KT&G는 지난해 글로벌 담배기업 매출 순위 9위를 꿰찼다. 43억5000만달러(약 5조9100억원) 매출을 올렸다. 컴퍼니마켓캡은 기업들이 발표한 실적 데이터 등을 토대로 해당 순위를 매겼다. 지난해 KT&G 해외 궐련 매출이 전년 대비 28% 증가한 1조4501억원을 기록하면서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 같은 기간 해외 궐련 연간 판매량은 10% 늘어난 586억4000만 개비로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궐련형 전자담배 전용 스탁 해외 판매량은 전년에 비해 2% 증가한 83억4000만개비로 집계됐다. 대(對) 중동 궐련 수출이 증가한 데 이어 인도네시아와 러시아 시장 내 궐련 판매도 호조를 보이면서 해외 실적이 개선된 것으로 풀이된다. 궐련형 전자담배 사업의 경우 미국 담배기업 필립모
[더구루=김형수 기자] 경동나비엔이 490조원 규모의 글로벌 냉난방공조(HVAC) 시장 공략에 본격 속도를 낸다. 경동나비엔의 보일러, 온수기 수출은 이미 전 세계 30여개 국가에서 국민 브랜드로 자리매김했지만 HVAC를 시작으로 냉난방 환기청청 설루션 시스템으로 글로벌 입지를 선점하겠다는 계획이다. 보일러·온수기 등 냉·난방 시설과 실내 환기 솔루션을 포함한 HVAC 라인업을 내세워 북미에 이어 중남미로 해외 시장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경동나비엔은 25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가스 소재 라스베가스컨벤션센터(LVCC)에서 개최된 미국 최대 규모 건축전시회 'NAHB IBS 2025'에 참가했다. 글로벌 시장을 선도할 친환경·고효율 기술을 알렸다. 전미주택건설업협회(NAHB)가 1944년부터 매년 개최하고 있는 NAHB IBS는 주택 건축·건설 관련 최신 트렌드를 공유하고, 업체간 네트워크를 확대하는 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경동나비엔은 NAHB IBS 2025 현장에 홍보 부스를 설치하고 히트펌프 신제품 NWP-S를 비롯해 △NHW-A 탱크리스 온수기 △콘덴싱 온수기 NPE-2 등을 알리는 데 매진했다. NWP-S는 전력 사용 최적화 기술
[더구루=김형수 기자] 아모레퍼시픽이 중국 대형 화장품 및 개인·가정용품 원료 전문 전시회 'PCHi 2025’에 참가해 90년 넘게 축적한 동백 원료 개발 기술력을 알렸다. 독보적 화장품 원료 개발 경쟁력을 내세워 중국 실적 반등을 꾀한다는 전략이다. 27일 PCHi 2025를 주최한 중국 업체 리드 시노팜 익스히비션(Reed Sinopharm Exhibitions)에 따르면 아모레퍼시픽은 지난 19일부터 사흘 동안 중국 광저우에서 개최된 해당 전시회에 참가했다. PCHi 2025는 화장품 및 개인·가정용품 관련 업체들이 한자리에 모여 최신 업계 트렌드를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장으로 기능하고 있다. 올해 행사의 경우 800개 이상의 원료 공급사, 3만명이 넘는 관련 업계 전문가들이 현장을 찾았다. 김용진 아모레퍼시픽 중국연구소 팀장은 PCHi 2025 현장에서 동백성분 연구 성과에 대한 프레젠테이션을 진행했다. 아모레퍼시픽 화장품 사업의 뿌리라고 할 수 있는 동백 기반 화장품 원료 개발 역량을 알린 것. 아모레퍼시픽그룹 창업자 고(故) 서성환 선대 회장은 1932년 개성에서 여성들에게 머릿결에 윤기를 더해주는 동백기름을 만들어 팔던 모친 윤독정 여사
[더구루=김형수 기자] 영원무역이 방글라데시 내 섬유특화도시사업에 본격 뛰어든다. 영원무역의 현지 한국수출가공공단(KEPZ) 토지 소유권 이전 절차가 마무리되는 분위기다. KEPZ는 영원무역이 1999년부터 20년 이상 투자해 조성한 공단이다. 영원무역은 방글라데시 섬유 사업을 확대하는 한편, 양질의 일자리를 대규모로 공급해 현지 경제 발전에 이바지한다는 계획이다. 방글라데시 정부는 27일 치타공에 자리한 영원무역 KEPZ 토지 소유권 문제의 조속한 해결을 골자로 하는 행정 결정을 내렸다. 방글라데시경제구역청(BEZA) 주도로 영원무역에 패스트트랙 행정 서비스를 제공, 토지 소유권 이전 허가 절차를 마무리하겠다는 것. 영원무역은 KEPZ 내 공장에서 아디다스, 노스페이스, 룰루레몬, 파타고니아 등 글로벌 스포츠·의류 브랜드 제품을 위탁 생산하고 있다. 연간 수출액 규모는 11억7000만달러(약 1조6150억원)에 달한다. 방글라데시 정부가 토지 소유권 이전 허가를 부여하지 않아 섬유특화도시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었던 영원무역의 현지 사업이 본격 물꼬가 트일 전망이다. 성기학 영원무역 회장은 지난달 무함마드 유누스(Muhammad Yunus) 방글라데시 과도정
[더구루=김형수 기자] 파리바게뜨가 인도네시아 수도 자카르타 주요 비즈니스 상권에 신규점을 출점했다. 올해 현지 첫번째 점포다. 파리바게뜨는 자카르타를 중심으로 영토 확장에 나가며 '메가 브랜드'로 발돋움한다는 계획이다. 파리바게뜨는 4일(현지 시간) 자카르타 중심상업지구(CBD)에 위치한 대형 쇼핑몰 아고라몰(Agora Mall)에 새 매장을 열었다. 인도네시아에서 운영하는 점포는 17개로 확대됐다. 2021년 10월 인도네시아 기업 에라자야그룹과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현지 사업을 본격화했다. 자카르타, 메단, 수라바야 등에 진출했다. 아고라몰점이 자카르타 중심업무지구 CBD에 자리하고 있어 유동인구가 풍부해 집객에 유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CBD에는 서울 강남역 일대 또는 여의도처럼 고층 오피스 빌딩이 밀집한 곳이다. 하늘을 찌를 듯한 마천루가 줄지어 들어선 이곳을 현지에서는 '자카르타 황금 삼각지대'(Golden Triangle of Jakarta)라고 부른다. 글로벌 기업 및 현지 업체, 외교기관 등이 CBD에 둥지를 틀고 있다. 크루아상, 패스트리, 샌드위치, 케이크 등 다양한 베이커리 메뉴와 커피, 차 등 다양한 음료 메뉴도 선보이고 있다. 매
[더구루=김형수 기자] 롯데가 그룹 비즈니스 내 AI(인공지능) 적극 도입, 해외 영토 확장을 통한 미래 경쟁력 제고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차별화된 사업 전략을 수립해 경쟁력을 제고하고 장기적 성장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AI 활용 비즈니스 강조·아이멤버 대외 서비스 추진 롯데그룹은 지난달 열린 2025년 상반기 VCM에 앞서 그룹 내 AI 혁신사례를 소개하는 'AI 과제 쇼케이스'를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롯데이노베이트, 대홍기획 등 9개 계열사가 참여해 AI 우수 활용 사례들을 소개했다. 특히 롯데케미칼의 'AI 기반 컬러 예측 시스템'이 눈길을 끌었다. AI 기반 컬러 예측 시스템은 AI를 활용해 고객이 원하는 플라스틱 컬러 조합을 빠른 시간내에 찾아내는 솔루션이다. 롯데케미칼은 AI 시스템 도입 이후 개발 생산 속도 증대와 엔지니어 기술역량 향상 등의 성과를 내고 있다. 롯데이노베이트는 지난해 12월 롯데그룹 자체 AI 플랫폼 '아이멤버'(Aimember)를 대외 서비스가 가능한 SaaS(클라우드 기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oftware as a Service) 형태로 선보였다. 롯데그룹 뿐만 아니라 타 기업에서도 아이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제약회사 시오노기(Shionogi)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조코바(Xocova·성분명 엔시트렐비르) 현지 적응증 확대에 나섰다. 기존 치료제에서 코로나19 예방 의약품으로 조코바 사용 범위를 넓히고 '코로나19 의약품 대표 기업'으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조코바는 일동제약이 시오노기와 공동개발한 치료제다. [유료기사코드] 시오노기는 31일 일본 후생노동성에 조코바를 코로나19 바이러스 노출 후 예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적응증 추가 승인을 신청했다. 지난해 3월 승인을 받은 데 이어 적응증 확대를 추진하는 것. 노출 후 예방은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해 감염 가능성이 발생한 경우 치료제를 투여해 발병을 막는 치료 행위를 의미한다. 내년 1분기 내 일본 후생노동성의 추가 승인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일본 후생노동성 심사 기간은 통상 약 12개월이 소요된다. 시오노기는 조코바 글로벌 제3상 노출 후 발병예방시험(SCORPIO-PEP·이하 글로벌 3상) 결과를 토대로 이번 추가 신청을 추진했다고 전했다. 시오노기는 미국과 남미, 아프리카, 일본 등에서 12세 이상 인구 2387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3상을 시행했다. 코로나19 바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12인치(300㎜) 웨이퍼 공장 수가 오는 2027년까지 70곳을 넘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국 대중 제재에도 불구, 중국 반도체 굴기가 이어지고 있는 양상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중국 광다(光大)증권에 따르면 중국 내 12인치 웨이퍼 공장 수는 2024년 29개에서 오는 2027년 71개로 늘어날 전망이다. 2027년 글로벌 전체 12인치 웨이퍼 공장는 239개가 될 것으로 전망, 중국 비중은 세계 공장의 약 30%를 차지한다. 중국 내 웨이퍼 공장 확대는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응하는 한편 인공지능(AI) 칩 수요 급증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대중 재제가 오히려 중국 본토 첨단 반도체 공장 설립을 촉진, 현지 반도체 산업 발전에 가속화됐다는 것. 미국은 지난 2022년 10월부터 18나노 공정 이하 D램, 14나노 이하 시스템 반도체 생산 장비와 기술에 대한 수출을 통제하고 있다. 이에 중국은 구형 반도체 기술로 눈을 돌리며 8인치(200㎜) 웨이퍼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나 12인치 웨이퍼 생산도 이어나가고 있다. 12인치 웨이퍼는 첨단 반도체 제조에 필수적이다. 8인치 웨이퍼보다 면적이 2.5배 넓어 웨이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