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플래그십 스마트폰 신제품 '갤럭시S25 시리즈'를 통해 진정한 의미의 모바일 인공지능(AI)을 실현한다. 성능은 획기적으로 업그레이드하되 가격은 동결해 소비자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총력전'을 펼친다. 삼성전자가 22일(현시지간) 미국 새너제이에 위치한 SAP센터에서 '갤럭시 언팩 2025'를 개최하고 갤럭시S25 시리즈를 공개했다. 퀄컴의 갤럭시 전용 프로세서를 탑재해 AI부터 디스플레이, 카메라까지 역대 가장 강력한 갤럭시 성능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노태문 삼성전자 MX사업부장(사장)은 "삼성전자는 지난해 세계 최초로 AI 스마트폰을 출시한 후 지속적인 혁신을 통해 모바일 AI 시장을 선도해 왔다"며 "새롭게 출시되는 갤럭시S25 시리즈는 한층 더 발전한 갤럭시 AI를 통해 역대 가장 쉽고 직관적인 AI 경험을 선보일 것"이라고 밝혔다. 갤럭시S25 시리즈에는 최초로 모바일 AI에 최적화된 통합형 플랫폼 '원(One) UI 7'이 탑재된다. 텍스트, 음성, 이미지 등 다양한 사용자 접점에서 사용자의 상황을 이해하고 취향을 분석해 개인화된 AI 경험을 구현한다. 예를 들어, 갤러리에 있는 사진을 검색할 때 사용자가 날짜
[더구루=정예린 기자] LG화학이 작년 미국 듀폰을 넘어서지 못했다. LG화학의 소재가 쓰이는 OLED 패널 수요가 예상보다 적은데다 중국이 현지 기업들과의 공급망을 구축하고 나서면서다. 23일 시장조사기관 DSCC에 따르면 LG화학은 지난해 AMOLED 증착소재 시장에서 미국 △유니버설디스플레이코퍼레이션(UDC) △듀폰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당초 LG화학이 2위에 오를 것이라는 전망과 달리 듀폰을 제치는 데 실패했다. DSCC는 작년 7월 발간한 'AMOLED 재료 보고서'에서 LG화학이 전 세계 OLED 증착재료 시장 2위를 기록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UDC가 1위를 수성하고 듀폰은 3위로 한 계단 내려앉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4위 삼성SDI △5위 이데미츠코산 등으로 예상했다. LG화학이 3위에 머무른 주요 원인으로는 LG디스플레이의 WOLED 생산량 부진을 꼽았다. 또 애플이 작년 처음 출시한 OLED 패널 기반 아이패드 프로 신모델 판매량이 저조한 점도 지적했다. LG디스플레이는 아이패드 프로 11인치와 13인치 모델에 IT용 OLED 패널 ‘탠덤 OLED’를 공급했다. 탠덤 OLED에는 LG화학의 p도판트가 쓰인다. p도판트는 OLED 발광층
[더구루=정예린 기자] 극세선 동축 케이블 가공 전문기업 '태양3C(3CTY)'가 나노물질을 더한 차세대 내시경 케이블 모듈을 앞세워 의료기기 부품 사업을 확대하고 수익성을 높인다. 핵심 시장인 북미 공략을 위해 멕시코에 신규 거점을 마련, 자동차 부품 사업 경쟁력도 강화한다. 23일 싱가포르 경제매체 '더월드폴리오(The Worldfolio)'에 따르면 황창순 태양3C 대표이사는 최근 이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향후 3~5년 동안 연평균 성장률은 10~15%를 예상한다"면서도 "호크아이(Hawkeye)가 큰 성공을 거두면 성장률을 40~50%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호크아이는 태양3C의 의료용 내시경 삽입관 모듈 특화 브랜드다. 태양3C는 2018년 내시경 케이블 모듈 시장에 처음 진출했다. 극세정밀 하네스 기술을 기반으로 직경 1mm 수준의 의료용 초소형 카메라 하네스 모듈을 개발해 이듬해부터 국내외 내시경 제조사에 공급을 시작했다. 2020~2022년에는 카메라와 LED 칩 등을 통합한 제품을 개발하고 상용화했다. 2023년 자체 브랜드 '호크아이'를 본격 출범해 제품 라인업을 다변화했다. 첨단 반도체 기술과 나노물질 등을 접목해 차세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 자회사 하만 인터내셔널(이하 하만)이 디지털 혁신을 위한 노력을 인정받았다. 인공지능(AI) 기반 솔루션을 통해 고객들에 향상된 서비스를 제공, 업무 효율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다. 23일 하만에 따르면 DTS(Digital Transformation Solutions) 사업부는 최근 기술연구·자문기업 '인포메이션서비스그룹(ISG)'가 발간하는 보고서 '프로바이더 렌즈(Provider Lens)'의 어드밴스드 분석·AI 서비스와 생성형 AI 서비스 분야에서 리더로 선정됐다. 하만은 글로벌 중견기업들 중 가장 앞서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어드밴스드 분석·AI 서비스 분야에서는 △데이터과학·AI △데이터 현대화 △어드밴스드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보고 현대화 서비스 부문에서 리더로 선정됐다. ISG가 미국과 유럽연합(EU) 내 79개의 서비스 공급업체를 분석·평가했다. 하만은 맞춤형 솔루션을 산업 전문 지식과 통합, 고객의 AI 배포를 가속화하고 디지털 전환을 추진할 수 있도록 도왔다. 생성형AI 기반 인사이트 솔루션과 우수성센터(CoE),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등을 결합해 기업들이 데이터에 입각해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LG전자 파트너사'인 미국 반도체 설계자산(IP) 업체 '블루치타 아날로그 디자인(Blue Cheetah Analog Design, 이하 블루치타)'을 새로운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고객사로 확보했다. 4나노미터(nm) 공정 기술 검증을 완료하며 대규모 수주 발판을 마련했다. 23일 블루치타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자사 칩렛 기술 '블루링크스(BlueLynx) 다이-투-다이(D2D) 상호 연결' IP를 삼성전자 파운드리 4나노 공정(SF4X)에서 테이프아웃(설계를 완료해 생산으로 넘어가는 단계)에 성공했다. 블루치타의 IP를 사용하는 고객들은 삼성전자의 4나노 공정을 통해 칩을 생산할 수 있게 됐다. 블루치타는 작년 고객에 블루링크스 D2D IP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올 2분기 초까지 제조된 칩이 설계가 의도한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고 성능, 전력 소비, 신뢰성 등 다양한 물리적 특성을 평가하는 테스트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실제 환경에서 검증을 거쳐 상용화 준비를 완료하는 것이다. 이 테스트에서 합격점을 받으면 고객들이 삼성전자 파운드리에 블루 치타 IP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반도체를 주문할 수 있게 된다. 블루링크스 D2D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만 팹리스(반도체 설계) 업체 '알칩(Alchip·世芯)'의 차량용 칩 사업이 미국의 대중 규제로 당국 승인을 받지 못하며 난관에 봉착했다. 중국 자동차 제조사들이 알칩을 통해 첨단 공정 기반 반도체를 우회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기 때문이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두산밥캣이 네덜란드군으로부터 대규모 건설기계 장비 납품 계약을 따냈다. 군수 물자 운송과 작전 수행 등에 쓰이는 맞춤형 제품을 공급, ‘K-방산’ 경쟁력 알리기에 앞장선다. 22일 두산밥캣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네덜란드 육·해·공군에 △텔레핸들러 53대 △이동식 공기 압축기 63대 △진동 압축기 127대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일부 제품은 이미 납품됐고 나머지 장비는 연내 인도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두산밥캣의 현지 공식 딜러 '인터테크노(Inter-Techno)'와 인터테크노 자회사인 '젠컴(Gencom)'이 유통한다. 인터테크노는 향후 10년간 텔레핸들러 등 장비에 대한 유지관리·수리 서비스 계약도 확보했다. 두산밥캣이 공급하는 장비 중 텔레핸들러는 크레인과 지게차를 융합한 형태로 건설, 농업, 조경, 물류 등 다양한 현장에서 사용하는 다목적 장비다. △TL25.60 △TL35.105L 등 2개 모델이 공급된다. 네덜란드군에 납품한 제품의 경우 군사용으로 만들기 위해 무기 거치대, 카메라, 위장 조명 등을 추가 장착했다. 육군 산하 공중기동여단에 공급할 텔레핸들러에는 헬리콥터로 장비를 운송할 수 있도록 리프팅 루프가 포함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카타르 건설·인프라 자재 유통 전문회사와 난방·환기·공조(HVAC) 분야 협력에 손을 잡았다. 파트너사를 통해 현지 공조 솔루션 사업을 확장하고 기업 간 거래(B2B)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22일 LG전자에 따르면 걸프법인은 최근 '타드무르 트레이딩(Tadmur Trading, 이하 타드무르)'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맞춤형 HVAC 솔루션을 현지 시장에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LG전자는 다드무르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상업용 건물, 병원 등에 HVAC 제품군을 공급하는 대규모 프로젝트 수주를 노릴 것으로 예상된다. 타드무르는 LG전자의 현지 파트너사로서 유통·설치·기술 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양사 간 파트너십을 통해 LG전자는 현지 고객 기반을 다질 수 있을 전망이다. 카타르 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유지보수와 사후관리(A/S) 서비스 역량까지 확보, 고객과 신뢰를 쌓고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1985년 설립된 타드무르는 기술력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카타르의 건설·인프라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HVAC 장비 사업부를 별도로 두고 1995년부터 관련 사업을 추진해왔으며,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에너지솔루션이 중국 창신신소재(恩捷股份, 은첩고분)로부터 대규모 리튬이온배터리용 분리막을 조달한다. 세계 1위 분리막 공급업체와의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글로벌 소재 공급망을 구축하고 있다. 22일 중국 선전증권거래소에 따르면 창신신소재는 자회사 '상해은첩(上海恩捷)'이 LG에너지솔루션과 약 35억5000만 제곱미터(㎡) 규모 분리막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고 전날 공시했다. 계약 기간은 올해부터 오는 2027년까지다. LG에너지솔루션이 실제 구매하는 분리막 규모는 추후 시장 상황에 따라 양사 협의를 거쳐 증가 혹은 감소할 수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상해은첩으로부터 확보한 분리막을 중국 난징(남경) 공장을 비롯한 글로벌 생산 거점에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창신신소재는 "이번 계약 체결은 글로벌 리튬 배터리 분리막 산업에서 창신신소재의 시장 확장, 포괄적인 강점 및 국제화 수준을 강화하고 국제 시장에서 창신신소재의 경쟁 우위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일찍부터 창신신소재와 인연을 맺고 분리막 공급망을 운영해왔다. LG에너지솔루션 뿐만 아니라 미국 제너럴모터스(GM)와의 배터리 합작사
[더구루=정예린 기자] SK하이닉스가 인도의 새로운 '반도체 허브'로 떠오르고 있는 아삼주의 주지사와 만났다. 인도 정부가 반도체 산업 육성에 적극 나서며 국내 주요 기업들이 현지 투자를 확대하는 상황에서 SK하이닉스도 합류해 '주요 조력자'로서 역할을 할지 이목이 쏠린다. 22일 아삼주에 따르면 히만타 비스와 사르마 주지사는 전날 서울 모처에서 최준 SK하이닉스 글로벌성장추진 담당(부사장)을 포함한 SK하이닉스 관계자들과 만나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사르마 주지사는 아삼주의 강점을 소개했고 최 부사장은 인도의 성장 가능성과 새로운 사업 기회를 살폈다. 사르마 주지사는 회동 후 자신의 엑스(X·옛 트위터)에 "저는 (최 부사장과 만나) 아삼을 글로벌 반도체 허브로 만드는 비전을 공유했다”며 "이에 상응하는 반도체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 우리 정부의 주요 우선순위 중 하나라고 강조했다"며 소회를 밝혔다. 사르마 주지사는 인도 대기업인 타타그룹의 아삼주 투자 사례를 적극 홍보한 것으로 전해진다. 타타그룹은 아삼주에서 2개의 반도체 생산기지 건설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약 33억 달러를 투자해 모리가온에 반도체 패키징 및 테스트(OSAT) 시설을 짓는다. 자기로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지난해 미국에서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기업으로, 나란히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글로벌 기업들과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활발한 특허 활동을 통해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고, 특허 분쟁 등 법적 리스크를 예방하는 기반을 마련했다. 22일 특허 전문 분석업체 '해리티 페이턴트 애널리틱스(Harrity Patent Analytics)'의 '2025 페이턴트 300(PATENT 300)' 리스트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작년 한 해 각각 9304건과 5156건의 특허를 출원해 1,2위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삼성전자는 3%, LG전자는 25% 더 많은 특허를 확보했다. 대만 TSMC는 전년과 비교해 8% 증가한 4010건의 특허를 취득해 3위에 올랐다. 미국 퀄컴은 3489건으로 4위를 기록했다. 출원한 특허 수는 1년 전과 비교해 10% 감소했지만 5위권에 안착하며 명성을 유지했다. 중국 화웨이는 3285건의 특허를 확보해 5위를 기록했다. 직전 연도 대비 출원한 특허 수는 44%나 증가했다. 10위권 내 유일한 중국 기업이자 가장 높은 특허 출원 증가세를 보였다. 이밖에 △6위 애플(3115건) △7위 인터내셔널
[더구루=정예린 기자] 고려아연의 호주 자회사 '아크에너지(Ark Energy)'가 지분 투자한 맥킨타이어(MacIntyre) 풍력발전소의 2차 가동 시점이 예상보다 늦어질 전망이다. 지난달 발생한 풍력터빈 블레이드 파손 사고의 복구 작업으로 가동 목표에 차질이 생겼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호주 신재생에너지 사업이 예상치 못한 난관에 부딪힌 가운데, 임시 주주총회를 앞두고 있는 모회사 고려아연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1일 맥킨타이어 발전소 개발·시공을 맡고 있는 스페인 신재생에너지 회사 '악시오나에너지(Acciona Energía)'에 따르면 회사는 터빈 공급업체 '노르덱스(Nordex)'와 협력해 사고 원인을 조사하고 복구 작업을 진행 중이다. 사고 직후 터빈 가동과 건설을 전면 중단했으나, 이달 초부터 블레이드 파손 터빈을 제외한 나머지 터빈은 다시 전력을 생산하고 있다. 맥킨타이어 풍력발전소는 지난달 16일(현지시간) 강풍과 번개를 동반한 심한 폭풍우로 인해 일부 터빈 블레이드가 부러지는 사고를 겪었다. 작년 10월 초 첫 가동에 돌입한지 두 달여 만이다. 악시오나에너지는 사고 발생 직후 즉각 비상 대응팀을 가동해 규제 당국에 통보하
[더구루=정등용 기자] 현대건설의 원전 파트너사인 홀텍 인터내셔널(Holtec International)이 인도 최대 엔지니어링 기업 L&T(Larsen & Toubro)와 원전·화력 발전 협력에 나섰다. 두 회사는 기존 협력을 바탕으로 원전·화력 발전 솔루션 강화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소형모듈원전(SMR) 기업 오클로(Oklo)가 최대 5조원 규모 자금 조달을 추진하기로 했다. SMR 상용화에 속도를 높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