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한아름 기자] 디아지오(Diageo)가 중국 윈난성에 위스키 증류소를 완공했다. 고품질의 중국산 위스키를 생산하고 지속적인 매출 성장 기반을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유료기사코드] 디아지오의 중국 원난성 '윈퉈(云拓) 싱글몰트 위스키 증류소'(이하 원터 증류소)가 18일 베일을 벗었다. 원퉈 증류소는 디아지오의 중국 첫 번째 위스키 생산 시설이다. 디아지오는 원퉈 증류소 설립 비용을 포함해 향후 9년간 1억2000만달러(약 1680억원)를 투자하고 고급 중국산 위스키를 생산한다는 방침이다. 윈퉈 증류소는 해발 2100m에 위치한 얼하이 고원에 위치해 있어 위스키 생산에 유리한 환경을 갖췄다고 디아지오 측은 설명했다. 얼하이 고원 호수의 깨끗한 물과 낮은 기온으로 위스키가 풍부한 풍미를 갖추는 데 도움을 준다는 것. 이와 함께 윈난 오크 등 현지 원료를 사용해 중국산 위스키 헤리티지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윈퉈 증류소에 마스터 블렌더·마스터 디스틸러 등 전문 인력을 파견해 위스키 품질을 제고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이와 함께 윈퉈 증류소에 방문객 센터를 마련해 디아지오의 브랜드 유산을 알리고 현지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디아지오가 중국 위
[더구루=한아름 기자] 마녀공장이 뮤지컬 위키드(Wicked)와 협업을 토대로 일본 시장 확대에 나선다. 신규 수요를 창출해 매출 증진 및 브랜드 인지도를 제고한다는 전략이다. 18일 일본 대형 온라인 쇼핑몰 큐텐(Qoo10)에 따르면 마녀공장이 위키드 에디션 6종을 론칭했다. 해당 제품은 마녀공장 일본 공식 웹사이트와 라쿠텐(Rakuten) 등 온라인 쇼핑몰에서 판매된다. 마녀공장의 위키드 에디션은 '웰컴 투 더 매지컬 월드'(Welcome to the Magical World)를 콘셉트로 '마녀공장이 위키드의 마법 같은 세계로 고객을 초대한다'는 메시지를 담았다. 위키드 에디션으로 출시한 제품은 △갈락 나이아신 2.0 에센스 △퓨어 클렌징 오일 △비피다 바이옴 콤플렉스 앰플 △판테토인 크림 △퓨어 클렌징 워터 센서티브 △퓨어&딥 클렌징 폼 등 마녀공장 베스트셀러 6종이다. 위키드 에디션 구매 시 러기지 택 3종과 러기지 스티커 5종 등 위키드 캐릭터를 담은 굿즈를 랜덤으로 증정한다. 다가오는 홀리데이 시즌을 맞아 마녀공장 제품 7종이 들어있는 '마녀공장X위키드 미니 어드벤트 캘린더'도 준비했다. 마녀공장은 콜라보 마케팅과 신제품 발매 등이 일본 판
[더구루=한아름 기자] CJ제일제당이 일본 오사카에서 개최되는 K팝 페스티벌 '2024 마마 어워즈'(2024 MAMA Awards)에 참여해 열도 내 'K푸드' 영토 확장에 나선다. CJ제일제당은 지난 2017년부터 해마다 마마 어워즈에 참여, 비비고 브랜드 홍보에 집중해 왔다. 올해 행사에서도 현지 젊은 소비자와의 접점을 늘리고 한국 식문화 확산에 박차를 가한다는 전략이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CJ제일제당은 오는 22일부터 이틀 동안 일본 오사카 쿄세라돔에서 열리는 2024 마마 어워즈 현장에서 푸드트럭을 운영한다. 마마 어워즈는 CJ ENM이 주최하는 K팝 음악시상식이다. 지난 1999년 Mnet '영상음악대상'으로 출발해 25년 역사를 지니고 있다. 지난 2009년 마마 어워즈로 이름을 변경했다. 전세계 음악 팬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대표 K팝 이벤트로 자리매김했다는 평가다. 올해는 △에스파 △엔하이픈 △아일릿 △INI △아이브△캣츠아이 △라이즈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등 아이돌 그룹이 일본 무대에 오를 예정이다. 올해 CJ제일제당은 푸드트럭에서 비비고 △왕만두 △불고기김밥 △김치치즈김밥 △양념치킨 등을 선보인다. 이는 CJ제일제당이 해외시장 공략을 위해
[더구루=한아름 기자] 대상 청정원 글로벌 브랜드 오푸드(O'food)가 미국 월마트 창고형 할인점 샘스클럽(Sam's Club)의 유통망을 뚫었다. 샘스클럽에 오푸드 제품이 입점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대상은 북미 3대 회원제 창고형 할인점 중 하나인 샘스클럽을 기반으로 오푸드 브랜드 인지도 강화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17일 샘스클럽에 따르면 대상이 미국 캘리포니아·애리조나에 위치한 15개 점포에서 오푸드 해초 샐러드 오리지널맛 판매를 시작했다. 향후 입점 매장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 샘스클럽은 글로벌 유통업체 월마트(Walmart)의 자회사로, 지난 1983년에 설립됐다. 캘리포니아와 애리조나 등 미국 내 45개주에서 약 600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이번에 샘스클럽에 입점된 해초 샐러드는 대상이 새롭게 기획한 미주 공략 전략형 제품이다. 기존 200g에서 800g로 증량한 데다 맛과 품질에도 힘을 줬다. 해초 샐러드는 완도, 고흥 등에서 채취한 미역, 다시마 등을 원료로 사용했다. 미역의 경우 특유의 뻣뻣한 부분은 제거하고 미역줄기의 부드러운 부분만 선별해 식감까지 살렸고 깔끔하게 먹을 수 있도록 두 번에 걸친 세절 작업으로 굵기와
[더구루=한아름 기자] 셀트리온이 글로벌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위크(Global Biosimilar Week)에 참가한다. 셀트리온의 포트폴리오를 비롯한 기술력과 생산 역량을 선보이고 잠재력 있는 파트너링 강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안정적인 공급망 및 다제품 전략을 갖춘 셀트리온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다양한 글로벌 기업과 파트너십을 모색하겠다는 행보로 풀이된다. 16일 국제 복제약·바이오시밀러 의약품협회(International Generic and Biosimilar Medicines Association·IGBA)에 따르면 셀트리온이 지난 11일부터 진행된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위크에 참가해 바이오시밀러 혁신 기술력을 소개했다.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위크는 IGBA가 지난 2020년부터 매해 11월에 진행하는 온라인 이벤트이다.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바로잡고 안전성과 효능, 품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기획됐다. 전 세계 환자와 의료 전문가, 바이오시밀러 기업 임직원, 보건당국 관계자 등이 참가해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경험을 공유하는 장이다. 셀트리온은 매해 글로벌 바이오시밀러 위크에 참가해 왔다. 올해에는 셀
[더구루=한아름 기자] 국내 에스테틱 뷰티 브랜드 닥터상떼가 일본에 첫 팝업스토어를 열고 현지 진출 기반을 닦는다. 닥터상떼는 상떼화장품이 피부미용 사업 강화를 위해 지난 2003년 론칭한 에스테틱 전문 브랜드다. 국내 7000여곳의 에스테틱 거래처를 확보하고 있다. 15일 한큐한신백화점에 따르면 닥터상떼가 오는 20일부터 14일간 효고현 니시노미야점에 팝업스토어를 연다. 한큐한신백화점 니시노미야점은 니시노미야키타구치역과 바로 연결돼 있는 데다 서일본 최대 규모 쇼핑센터인 니시노미야가든(ニシノミヤガーデンズ)에 위치해 있어 현지인뿐 아니라 관광객도 즐겨 찾는 쇼핑 성지다. 백화점 내부에 레스토랑, 카페, 영화관 등 다양한 편의 시설이 있어 일일 방문객 수가 약 10만명에 달한다. 닥터상떼는 이번 팝업스토어에서 핵심 라인업인 '아줄렌 수더 시리즈'를 선보일 예정이다. 아줄렌 수더 시리즈는 △토너 △필링 세럼 △앰플 △크림 △마스크 등으로 구성돼 있다. 아줄렌 수더 시리즈는 피부 장벽 강화 및 진정 효과가 뛰어난 아줄렌 성분을 기반으로 개발된 점이 특징이다. 아줄렌 성분은 성형외과·피부과 시술 후 홈 케어로 주로 쓰이고 있어 안전성과 신뢰도가 높다는 평가다. 닥터
[더구루=한아름 기자] 베리맘이 일본 유아 스킨케어 시장 공략에 나선다. 현지 온라인 쇼핑몰에 이어 오프라인으로 유통망을 확대한다. 베리맘은 국내를 넘어 해외에서도 경쟁력을 인정 받으며 전변을 넓히고 있다. 15일 베리맘 일본 파트너사 신비재팬(Shinbee Japan)에 따르면 베리맘이 이달 현지 드럭스토어와 버라이어티숍 등 오프라인 매장에 제품을 입점한다. 신비재팬은 지난 1995년에 설립된 화장품·건강식품 유통사로, 현지 드럭스토어 △마츠모토 키요시(Matsumoto Kiyoshi) △츠루하 드럭(Tsuruha Drug) △코코카라 파인(Cocokara Fine)과 버라이어티숍 △로프트(Loft) △프라자(Plaza) △도큐핸즈(Tokyu Hands) 등 오프라인 채널과 파트너십을 맺었다. 베리맘은 지난 9월 일본 온라인 쇼핑몰 라쿠텐(Rakuten)에서 제품 판매를 시작한 후 뜨거운 소비자 호응에 힘입어 오프라인으로 판매 채널을 확대한다고 설명했다. 오프라인 채널에 입점할 품목은 베리맘의 핵심 라인업인 씨드 세라마이드 워시·로션·크림 등이다. 베리맘은 일본 오프라인 시장 진출이 매출 증진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베리맘은 "베리맘 제품은 엄선
[더구루=한아름 기자] 글로벌 담배 기업 브리티시 아메리칸 토바코(BAT)가 글로벌 면세 유통 기업과 손잡고 중동 시장 확대에 나선다. 러시아 사업 철수로 인해 발생한 매출 공백을 메꾸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15일 글로벌 유통 기업 ODC(Overseas Distribution Company)에 따르면 BAT와 중동 지역 유통 관련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중동에 BAT 주요 라인업인 궐련형 담배 △던힐(Dunhill) △켄트(Kent) 등과 비연소 제품 △궐련형 전자담배 '글로'(Glo) △액상형 전자담배 '뷰즈 고'(Vuse Go) △니코틴 파우치 '벨로'(Velo) 등을 유통·판매할 계획이다. ODC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에 상업 사무소와 컨테이너 터미널, 물류 창고 등을 구축했다. 컨테이너 터미널 규모는 연간 2200만 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대 크기) 처리 능력을 갖췄다. ODC는 △두바이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등을 중심으로 BAT 유통 허브 역할을 한다는 방침이다. BAT는 ODC가 글로벌 소매 유통 시장에서 탄탄한 노하우와 유통망을 갖췄다는 점을 높이 사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ODC는 1946
[더구루=한아름 기자] CJ올리브영이 자체 브랜드(PB) 바이오힐보를 전면에 내세워 일본 뷰티 시장 영토 확장에 나선다. 일본 대형 온라인쇼핑몰 큐텐(Qoo10)과 협력해 현지 고객 접점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CJ올리브영 바이오힐보가 오는 27일까지 큐텐의 대형 할인 이벤트 '메가와리'(メガ割)에 참가한다. 메가와리는 큐텐이 분기에 1회 진행하는 프로모션이다. 바이오힐보는 올해 메가와리 행사 4차례 모두 참가했다. 바이오힐보는 핵심 라인업 '프로바이오덤 3D 리프팅 크림', '프로바이오덤 콜라겐 리모델링 세럼'을 내세워 고객몰이에 나선다. CJ올리브영은 바이오힐보의 메가와리 참가와 유통망 확대 등을 토대로 일본 판매 증진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지난 5월 일본 브랜드 앰배서더로 발탁한 카와에이 리나(川栄李奈)와 광고 캠페인을 전개하는 등 브랜드 인지도 강화에도 힘을 주고 있다. 다양한 마케팅을 통해 제품 구매에 대한 진입 장벽을 낮추고 고객층을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CJ올리브영은 지난달 프로바이오덤 콜라겐 리모델링 세럼을 일본 2위 버라이어티숍 프라자(Plaza)에 입점하며 고객 접점을 늘렸다. 지난 8월 도쿄 신주쿠에 위치한 복
[더구루=한아름 기자] 일본 에자이(Eisai)와 미국 바이오젠(Biogen)의 알츠하이머 신약 '레켐비'(성분명 레카네맙)가 유럽의약품청(EMA) 품목 허가 9부 능선을 넘었다. EMA 약물사용자문위원회(CHMP)가 지난 7월 레켐비를 안전성 문제로 품목 허가를 불허한 지 4개월 만에 입장을 바꿨다. 레켐비는 내년 상반기에 유럽에 최종 품목 허가를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레켐비는 지난 5월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허가를 받아 다음달 출시를 앞두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5일 EMA에 따르면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가 내년 1월 레켐비 최종 승인 여부를 판단한다. 레켐비의 품목 허가에 부정적 입장을 냈던 CHMP가 꼬리를 내렸다. EC는 보통 CHMP 권고일로부터 67일 이내 최종 승인을 발표한다. 앞서 CHMP는 레켐비 임상 3상 클라리티-AD(Clarity AD)에서 자기공명영상(MRI) 촬영 시 뇌에 일시적으로 부기가 확인되는 아밀로이드 관련 영상 이상(ARIA)이 나타난 부작용을 우려하며, 지난 7월 품목 허가 거부를 권고했다. ARIA에 따라 일부 환자는 뇌출혈로 입원했으며, 임상과정에서 뇌출혈과 뇌부종으로 3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더구루=한아름 기자] 국내 뷰티 브랜드 바이유어(BYUR)가 일본에 신제품을 론칭하고 열도 뷰티 시장 공략에 나선다.제품 라인업을 다각화해 신규 수요를 창출하고 매출 증진을 꾀한다는 계획이다. 14일 일본 버라이어티숍 아토코스메(@Cosme)에 따르면 바이유어가 도쿄 하라주쿠 매장에서 신제품을 선판매한다. 21일 로프트(Loft)를 비롯한 버라이어티숍 등과 아마존 재팬(Amazon Japan), 큐텐(Qoo10) 등 온라인몰 정식 론칭을 앞두고 현지 소비자들의 관심과 반응을 조기 예측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바이유어가 일본에 선보이는 신제품은 △그린 원더 킵 피스 토너 △비타 기빙 킵 래디언스 토너 △허니 고저스 킵 모이스처라이징 토너 총 세 가지다. 세 가지 제품 모두 지난 9월 국내 발매된 제품으로, 소비자 피부 고민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한 점이 특징이다. 그린 원더 킵 피스 토너는 제주 약쑥과 병풀, 티트리, 서양송악 추출물이 들어 있어 붉고 예민해진 피부를 진정하는 데 도움을 준다. 비타 기빙 킵 래디언스 토너는 비타민나무열매와 비타민C가 들어 있어 맑고 환한 피부를 만들어 주는 데 효과적이다. 허니 고저스 킵 모이스처라이징은 마누카꿀
[더구루=한아름 기자] 국내 재활전문 워크런병원이 베트남 병원 설립을 추진한다. 성장 잠재력이 높은 베트남 의료 시장을 선점해 선진 K의료 기술을 전수한다는 목표다. 14일 베트남 빈즈엉성(Bình Dương) 인민위원회에 따르면 워크런병원 관계자가 빈즈엉성을 방문해 보반민(Võ Văn Minh) 위원장과 현지 병원 설립 및 투자 계획 등에 대해 논의했다. 빈즈엉성 인민위원회가 현지의 열악한 의료 인프라를 개선하기 위해 워크런병원에 러브콜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보반민 위원장은 워크런병원의 차별화된 의료 서비스를 높이 평가하며 빈즈엉성에 대한 투자와 관심을 요청했다. 인센티브 등 다양한 지원 제도를 운영해 우호적인 투자 환경을 조성했다는 점도 강조했다. 워크런병원도 베트남 의료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이다. 베트남 진출을 통해 한류 문화 열풍을 의료 분야로 확산시키고, 차세대 의료 기술을 앞세워 동남아 환자 수요를 흡수한다는 전략이다. 게다가 베트남 시장은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헬스 등 사업을 전개할 수 있는 테스트 베드로 활용할 수 있어 긍정적 파생 효과도 기대된다. 워크런 병원이 베트남 의료 시장에 진출하는 이유는 고(高)성장이 기대되기 때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공군이 기존 '군용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페이스X의 군사용 군집위성 시스템인 '스타실드(Starshield)'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스타실드는 스페이스X 스타링크 위성을 기반으로 보안을 강화하고 정찰, 미사일 경보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 소속 케빈 크라이머(Kevin Cramer) 상원의원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진행된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공군이 국방부 산하 우주개발청(SDA)의 T2TL(Tranche 2 Transport Layer)·T3TL(Tranche 3 Transport Layer) 위성 조달을 취소하고 스페이스X 위성(스타실드)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다"고 밝혔다. 케빈 크라이머 의원의 이같은 발언에 미국 공군은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T2TL와 T3TL에 대해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없다"며 "2026년도 예산 심의 과정에서 모든 획득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미국 공군이 기존 T2TL와 T3TL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타실드 도입을 검토하기로 알려진 것은 예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 공군은
[더구루=김형수 기자] 일본 제약회사 시오노기(Shionogi)가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조코바(Xocova·성분명 엔시트렐비르) 현지 적응증 확대에 나섰다. 기존 치료제에서 코로나19 예방 의약품으로 조코바 사용 범위를 넓히고 '코로나19 의약품 대표 기업'으로 자리매김한다는 계획이다. 조코바는 일동제약이 시오노기와 공동개발한 치료제다. [유료기사코드] 시오노기는 31일 일본 후생노동성에 조코바를 코로나19 바이러스 노출 후 예방제로 사용할 수 있는 적응증 추가 승인을 신청했다. 지난해 3월 승인을 받은 데 이어 적응증 확대를 추진하는 것. 노출 후 예방은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해 감염 가능성이 발생한 경우 치료제를 투여해 발병을 막는 치료 행위를 의미한다. 내년 1분기 내 일본 후생노동성의 추가 승인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일본 후생노동성 심사 기간은 통상 약 12개월이 소요된다. 시오노기는 조코바 글로벌 제3상 노출 후 발병예방시험(SCORPIO-PEP·이하 글로벌 3상) 결과를 토대로 이번 추가 신청을 추진했다고 전했다. 시오노기는 미국과 남미, 아프리카, 일본 등에서 12세 이상 인구 2387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3상을 시행했다. 코로나19 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