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신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인도 노이다 공장 운영을 잠정 중단했다. 국내 구미에 이어 인도 공장까지 셧다운 되며 삼성전자의 글로벌 스마트폰 생산에 차질을 빚을 전망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인도 노이다 공장 가동을 한시적으로 멈췄다. 운영과 연구개발(R&a…
현대자동차의 인도 첸나이공장 마저 셧다운됐다. 현대차 해외 생산기지가 사실상 멈춰섰다. 현대차 인도법인은 22일(현지시간) 늦은 밤 "23일 부터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추후 공지가 있을 때까지 차량 생산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본보 2020년 3월 20일 참고 [단독] 기아차 美 조지아…
신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세계 경제가 얼어붙고 있다. 중국산 부품을 공급받지 못한 자동차 업체들은 일부 모델 생산을 중단했고 아시아에 공급망이 집중된 전자 업계는 타격이 불가피하다. 항공사들 또한 대량 해고를 단행하며 사태가 장기화될 시 저비용 항공사(LCC)들이 줄도산할…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항공업계가 생존위기에 처했다. 운항 중단 및 여객 감소로 경영악화에 따른 줄도산 위기감이 팽배하다. 22일 업계에 따르면 글로벌 항공사들이 코로나19로 패닉에 빠진 가운데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전염병 극복 및 생존을 위해 1500억~2000억 달러(…
삼성그룹이 미국 비영리단체가 선정한 신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기부금을 가장 많이 낸 기업 '15위'에 올랐다. 현대차와 LG, SK 등도 기부 행렬에 동참했다. 20일 캔디드(Candid)에 따르면 삼성은 코로나19 관련 기부금 액수 기준 전 세계 기업 중 15위에 올랐다. 국내 기업 중에서…
세계 최대 파운드리 업체 대만 TSMC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나왔다. 접촉 직원들은 2주간 자가 격리에 들어갔다. TSMC가 코로나19 사태의 직격탄을 맞으며 고객사인 애플과 화웨이 등 스마트폰 업계가 반도체 칩 수급에 비상이 걸렸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TSMC는 지난…
기아자동차 미국 조지아공장에서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의심자 5명 발생, 자가 격리 조치됐다. 기아차 조지아공장은 18일(현지시간) 이같은 사실을 현지 보건당국에 알리고 전체적으로 강화된 방역을 실시하고 있다. 기아차 조지아공장은 이들 5명이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한 사실을 확…
베트남 정부가 삼성과 LG 등 국내 기업들의 파견 인력을 격리 없이 입국하도록 허용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신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굳게 잠긴 빗장이 열리면서 국내 기업들이 시름을 덜 것으로 보인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총리실과 국가 운영위…
효성의 금융자동화 기기 계열사 효성TNS가 미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에 적극 나섰다. 미국 내 관련 협회와 ATM 제조사와 함께 코로나19 대응에 협력한다는 것. 19일 업계에 따르면 NAC(The National ATM Council)는 효성TNS와 젠메가(Genmega) 등 AT…
현대자동차 체코공장 노동조합이 코로나19 확산을 이유로 생산중단을 요구한데 이어 기아자동차 슬로바키아공장 노조도 생산중단을 요구하고 나섰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기아차 슬로바키아 공장 노조는 18일(현지시간) 코로나19 확산을 우려하며 생산중단을 사측에 정식 요구했다. 기아차 슬로바키아 공…
하나은행 인도네시아 법인의 한 직원이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의심 증세를 보여 영업점을 폐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영업점이 위치한 곳은 한국인들이 밀집한 지역으로 현지 한인 사회에도 코로나19 공포가 커지고 있다. 19일 하나은행과 외신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카라와치…
미국 시장에서 질주하던 현대자동차가 현지 코로나19 확산에 앨라배마 공장을 폐쇄했다. 앨라배마 공장 직원이 코로나19 양성 반응을 보였기 때문이다. 현대차 앨라배마공장(HMMA)는 18일(현지시간) 자동차 생산을 중단하고 방역작업에 돌입했다. HMMA는 "이날 오전 10시 30분부터 모든 생산을 중단했…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Lucid Group)가 약 1조5000억원 규모로 전환사채를 발행한다. 최대 주주인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공공투자기금(PIF)이 이를 지원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루시드는 3일 최대 10억 달러(약 1조4600억원) 규모로 2030년 만기 전환선순위채권Convertible Senior Notes)을 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선순위전환채권은 약정 시점이나 투자자 전환권 행사 시점에 주식으로 전환, 원금을 상환받을 수 있는 채권이다. 다만 일반 전환사채(CB)와 달리 전환 가격이 정해져 있지 않다. 루시드의 선순위전환채권 발행과 관련해 PIF 자회사인 '아야르서드 컴퍼니'가 특정 투자자와 선불 선도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이는 미래 보유 주식 매각을 담보로 미리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이다. PIF는 루시드의 지분 60%를 보유한 최대 주주이다. 2022년 12월 15억 달러, 2023년 5월 18억 달러를 지원한 데 이어 작년에도 3월 10억 달러, 8월 15억 달러의 유동성을 공급했다. <본보 2024년 8월 6일자 참고 : 사우디 국부펀드, 루시드에 '2조' 자금 투입> 루시드는 또 작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인공지능(AI) 수요 급증에 따라 엔비디아 AI칩 추가 조달에 나섰다. 구글의 AI칩 추가 조달이 'AI반도체 수요 고점론'을 약화시킬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3일 경제전문매체 디 인포메이션에 따르면 구글은 AI 데이터센터 임대기업 코어위브(CoreWeave)와 엔비디아 블랙웰(Blackwell) AI칩 임대를 위한 사전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상세한 조달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다. 구글이 코어위브와 협상에 나선 배경에는 AI 수요 급증이 있다는 분석이다. AI관련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데 맞춰 데이터센터 인프라를 설치하기 위해 서버 임대를 선택했다는 것. 코어위브는 미국 전역에 32개 데이터센터를 구축했으며 탑재된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는 25만 장이 넘는다. 특히 이번 계약으로 AI칩 수요 고점론이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 AI칩 수요 고점론은 지난달 28일(현지시간) 코어위브 기업공개(IPO) 결과가 기대에 못미치면서 고개를 들었다. 당초 코어위브는 주당 공모가를 47~55달러로 목표했지만 시장의 미온적 반응에 공모가격을 40달러 낮췄다. 지난해 매출의 62%를 담당한 마이크로소프트(MS)가 미국 내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