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김은비 기자] 볼보가 애플의 디지털 자동차 키 기능인 '애플 카 키(Apple Car Keys)' 적용 범위를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으로도 확대한다. 볼보는 지속적인 소프트웨어(SW) 업데이트를 통해 차량 기능을 개선하고, 사용자 경험(UX)을 향상시킨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볼보는 전기 SUV 모델인 EX30·90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애플 카 키 기능을 지원한다. 볼보는 앞서 XC40·60·90, S60·90 V60·90 모델에 애플 카 키 기능을 적용한 바 있다. 애플 카 키는 아이폰 또는 애플워치를 통해 차량을 잠금 해제할 수 있는 기능이다. 애플 월렛(Wallet) 앱에 저장된 디지털 키를 근거리 무선 통신(NFC) 리더가 장착된 차량 도어에 가까이 대는 것만으로 차 문을 개폐할 수 있다. 특히 애플 '익스프레스 모드(Express Mode)'를 통해 안면 인식 보안 기능인 '페이스 ID' 없이도 즉시 문을 열 수 있다. 애플 카 키는 BMW를 비롯해 △현대차·기아 △아우디 △비야디(BYD) △메르세데스-벤츠 △리비안 등 주요 완성차 업체가 각 차량에 속속 적용하고 있다 EX30은 볼보의 최신 안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설치한 초대형 옥외 LED 스크린이 도시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자리잡았다. 차별화된 기술력을 앞세워 유럽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20일 스페인 디스플레이 솔루션 기업 'LED드림그룹(LEDDREAM GROUP)'에 따르면 회사는 작년 바르셀로나 항구 지역 포트 벨(Port Vell)에 LG전자가 공급한 200㎡ 이상 크기의 초대형 옥외 LED 스크린을 설치했다. 포트 벨에 이같은 규모의 초대형 디지털 사이니지가 들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바르셀로나의 창'이라는 별칭을 얻은 LG전자의 LED 스크린은 압도적인 크기와 선명한 화질로 시민과 방문객에게 차원이 다른 시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4K급 해상도를 지원하고 P6.66mm 픽셀 피치를 적용해 선명한 이미지를 구현한다. 또한, 최대 6000니트(nits)의 밝기로 낮에도 선명한 화면을 유지하며, 색상을 정밀하게 표현한다. 특히 IP65 방수·방진 인증을 획득하고 바닷바람과 습기로부터 보호되는 특수 코팅을 적용해 해안 환경에서도 뛰어난 내구성을 발휘한다. 스마트 콘텐츠 운영이 가능해 원격 제어·실시간 콘텐츠 업데이트를 지원하며, 효율적인
[더구루=오소영 기자] LG화학이 유럽에서 고흡수성수지(SAP) 반덤핑 관세 부과에 항의해 소송을 제기했으나 패소했다. 유럽의 산정 절차와 방식 모두 정당하다는 법원 판결을 받으며 관세를 부담하게 됐다. 유럽연합 일반법원(European General Court, 이하 EGC)은 19일(현지시간)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를 상대로 제기한 LG화학의 반덤핑 관세 무효화 소송을 기각한다고 판결했다. LG화학은 EC와 한국산 SAP의 반덤핑 관세 부과를 두고 다퉈왔다. EC는 지난 2022년 4월 5일 LG화학에 13.4%, 기타 화학사에 18.8% 관세를 매기겠다고 발표했다. LG화학은 즉각 항의했다. LG화학은 소송에서 한국산 SAP이 아닌 일본이나 튀르키예에서 수입한 저가 제품들로 인해 EU가 입은 피해를 간과했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한국산 SAP이 실제 얼마나 저렴히 팔렸으며 시장에서 가격 인하 효과를 불러왔는지 정확히 분석되지 않았고, EU 제조사에 편향적으로 피해 분석을 수행했다고 주장했다. 피해 마진의 산정 방정식도 부정확하다며 조사 과정에서 자료를 충분히 제공하지 않아 LG화학의 방어권을 침했다고 강조했다. LG화학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
[더구루=정예린 기자] LG전자 자회사 '사이벨럼(Cybellum)'이 일본 소프트웨어 솔루션 회사와 손잡고 현지 시장 공략을 본격화한다. 산업 전반에 걸쳐 보안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지역 내 경쟁력 확대에 속도를 낸다. 20일 이솔트리니티(eSOL TRINITY)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사이벨럼과 대리점 계약을 체결했다. 이솔트리니티는 사이벨럼의 일본 내 공식 유통사로서 제품 판매는 물론 보안 관련 컨설팅과 엔지니어링 서비스도 제공한다. 사이벨럼은 이솔트리니티를 통해 사이버 보안 리스크를 관리해주는 '사이벨럼 프로덕트 시큐리티 플랫폼(Cybellum Product Security Platform)'을 유통한다. 프로덕트 시큐리티 플랫폼은 △소프트웨어자재명세서(SBOM) 관리 △보안사고대응팀(SIRT)·제품보안사고대응팀(PSIRT) 지원 △보안 취약점 탐지 △취약점 영향도 분석·위험도 평가 등의 기능을 갖췄다. 프로덕트 시큐리티 플랫폼은 자동차, 의료·산업 기기 제조사와 부품사에 최적화된 솔루션이다. 특히 자동차 사이버 보안 규제(UN R155)와 글로벌 보안 표준(ISO/SAE 21434) 준수를 지원하며, 산업 및 의료 기기의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최초의 8인치 자동차용 실리콘 카바이드(SiC) 생산 라인이 공식 가동에 돌입했다. 당초 올 4분기 가동 예정이었으나 조기 가동되면서 6인치 공정에 머물로 있는 SiC 전력반도체 생태계가 8인치로 전환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에 따르면 스위스 ST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이하 ST)는 산안옵토일렉트로닉스(이하 산안광전)와 공동으로 중국 충칭에 설립한 8인치(200㎜) SiC 웨이퍼 공장이 본격 가동된다. ST와 산안광전은 SiC 반도체 공장 생산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자체 8인치 SiC 반도체 기판 공장을 구축해왔다. 양사는 지난 2023년 6월 8인치 SiC 웨이퍼 제조 공장 설립을 위한 계약을 체결하고 생산라인을 갖추기 시작했다. 8인치(200㎜) SiC 웨이퍼는 6인치(150mm) 대비 면적이 1.78배 넓어 한번에 많은 양의 전력반도체를 생산, 원가 절감 효과를 가져온다. 8인치 SiC 웨이퍼 공장 가동으로 ST의 중국 현지화 전략은 가속화된다. ST는 중국 현지 파트너와 함께 전용 웨이퍼 공장을 설립함으로써 중국 고객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T는 "충청 공장은 중국 최초 8인치 SiC 웨이퍼의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의 미국 내 차량 도난 사고가 크게 줄었다. 그러나 다른 완성차 브랜드와 비교할 때 도난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미국 비영리기관 전미보험범죄사무소(National Insurance Crime Bureau, NICB)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내 차량 도난 건수는 85만708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102만729대) 대비 17% 감소한 수치이다. 지난 2021년 이후 처음으로 100만 대 이하로 줄어들었을뿐 아니라 40년 만에 최대 감소치를 기록했다. 특히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도난 건수는 약 37.5% 감소했다. 현대차 엘란트라와 쏘나타가 지난해 가장 많이 도난 당한 모델로 꼽혔다. 이들 모델 도난 사고는 각각 3만1712대와 2만6720대로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이어 △쉐보레 실버라도(만21666대) △혼다 아코드(1만8539대), 기아 옵티마(1만7493대) 등 순으로 나타났다. NICB는 "현대차·기아는 최근 몇 년 동안 보안 기능 개선을 통해 전체 도난 건수를 37.% 줄였지만 여전히 주요 타깃이 되고 있다"거 말했다. 한편, 현대차와 기아는 2021년과 2023년에도 도난 차량 상위 모델
[더구루=정예린 기자] SK하이닉스의 미국 낸드플래시 자회사 솔리다임(Solidigm)'이 '세계 최초'로 액체 냉각 방식을 적용한 기업용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eSSD)를 선보이고 AI 서버 시장 공략을 가속화한다. SSD 사업 전략을 재편한 솔리다임은 차별화된 기술력을 앞세워 고성능 컴퓨팅·클라우드 인프라 분야 경쟁력을 강화한다. 20일 솔리다임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17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새너제이에서 개막한 엔비디아의 연례 개발자 행사 'GTC 2025'에서 기업용 SSD '솔리다임 D7-PS1010 E1.S'를 공개했다. 엔비디아와 협력해 개발한 신제품은 올 하반기 출시 예정으로, AI 서버의 냉각 효율을 높이고 성능을 극대화한다. D7-PS1010 E1.S는 콜드 플레이트 기반 액체 냉각 기술이 적용된 제품이다. 기존 SSD의 단점이었던 한쪽 면만 냉각하는 방식이 아니라 효율적으로 전체 SSD를 냉각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콜드 플레이트는 액체 냉각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로, 열을 흡수하고 이를 냉각수로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기존 AI 서버는 중앙처리장치(CPU)·그래픽처리장치(GPU)의 액체 냉각이 가능했지만, SSD는 주로 공랭
[더구루=정등용 기자] 현대엔지니어링과 중국 전기장비그룹(CEEG, China Electric Equipment Group)이 사우디아라비아 정유 프로젝트를 위한 변압기를 출고했다. 현대엔지니어링과 CEEG는 지난 18일(현지시간) 장쑤성 양중 린장 산업단지에서 변압기 출고 행사를 개최했다. 이번에 납품한 변압기는 110억 달러 규모의 사우디 사토프 정유공장 내 석유화학시설 확장 프로젝트에 핵심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이 변압기는 해당 프로젝트의 맞춤형으로 제작됐다. CEEG는 맞춤형 변압기를 만들기 위해 대형 주상변압기와 건식변압기 등 다양한 제품을 연구했다. 그 결과 지능형 온도제어 기술을 채택하고 고온 내성을 갖춘 제품을 개발해 사우디 환경 테스트를 통과했다. 한편, CEEG는 변압기 산업에서 30년 이상의 업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에서 40만 대의 변압기를 운영하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가 베트남에서 아연도금강판 제품 가격을 인상했다. 원자재 가격 상승과 생산 비용 증가를 이유로 제품 가격을 올렸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베트남 철강 자회사 포스코 야마토 비나(PY-VINA)는 높은 원자재 가격과 생산 비용, 환율 변동 등의 문제로 아연 도금 강판의 판매 가격을 kg당 200동(약11.42원) 인상했다. 아연도금강판은 부식에 강해 교량·지붕 같은 건축 자재나 자동차 내·외판 재료로 널리 쓰인다. 매끄럽고 전도성이 좋아 냉장고·세탁기 같은 가전제품이나 금속 가구 자재로도 활용된다. 포스코 야마토 비나는 포스코그룹이 지분 51%를 보유하고 있는 베트남 최초의 대형 구조용 강철 제조업체이다. 포스코그룹은 지난 2020년 4월 일본 야마토그룹에 지분 49%를 매각한 후, 포스코 야마토 비나를 공동으로 운영해왔다. 연간 100만t 규모의 철근과 연간 50만t 규모의 형강 등을 생산하고 있다. 2022년 공식 사무소를 개설,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본보 2022년 5월 17일 참고 포스코 베트남 합작사, 제2공장 건설 투자 검토> 최근 베트남 철강업계는 잇따라 철근제품 가격을 인상하고 있다. 베트남 철강
[더구루=길소연 기자] 호주 조선·방위산업체 오스탈(Austal)의 최고경영자(CEO)가 한화의 이사회 합류를 거부했다. 한화는 오스탈 이사회에 합류해 경영에 동참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오스탈 CEO가 직접 한화의 이사회 합류에 대한 거부 목소리를 내면서 이사회 진입 난항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업계와 호주 외신에 따르면 리차드 스펜서(Richard Spencer) 오스탈 CEO는 한화의 이사회 의석 요구를 거부했다. 스펜서 CEO는 "한화그룹이 오스탈을 다시 장악하려는 새로운 시도를 비난한다"며 "오스탈 이사회 의석에 대한 요구에 굴복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오스탈 최대 주주인 앤드류 포레스트에 대해 '호주의 애국자'라고 묘사하며 신뢰를 드러냈다. 호주 억만장자인 앤드류 포레스트는 오스탈 1대 주주다. 한화는 지난해 오스탈 인수가 무산되자 지분 공개매수로 인수합병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최근 호주증권거래소 장외거래를 통해 오스탈 지분 9.9%를 직접 매수했다. 이와 별도로 호주 증권사를 통해 오스탈 지분 9.9%에 대한 총수익스와프(TRS·Total Return Swap, 주식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 주식에 연동된 수익 손실
[더구루=정예린 기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인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 인수설(說)을 공식 부인했다. 유력 인수 후보들이 잇따라 손을 떼며 인텔 파운드리는 갈 곳 없는 '낙동강 오리알' 처지가 됐다. [유료기사코드] 황 CEO는 19일(현지시간) 미국 실리콘밸리 새너제이에서 열린 엔비디아의 연례 개발자 행사 'GTC 2025' 미디어 간담회에서 “아무도 우리를 (인텔)컨소시엄에 초대하지 않았다"며 "다른 사람들은 (컨소시엄에) 참여했을 수도 있지만 나는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황 CEO가 인텔 사업 인수 관련 입장을 내놓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TSMC가 엔비디아, AMD, 브로드컴을 비롯한 반도체 설계업체에 인텔의 반도체 제조 시설을 공동 운영하는 합작사를 설립해 지분 투자하는 방안을 제안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TSMC에 인텔 파운드리 공장을 인수할 것을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하지만 황 CEO가 이를 전면 부인하면서 사실이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본보 2025년 2월 17일 참고 "美 트럼프, TSMC '인텔 인수' 반대할 듯"> 경영난을 겪고 있는 인텔에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인도 자동차 가격 인상 대열에 가세했다. 최대 인상폭은 3%이며 현지 공급망 비용 증가에 따른 수익성을 고려한 조치이다. 현대차 인도판매법인(HMIL)은 내달 1일 부터 현지 판매 가격을 인상한다고 19일(현지시간) 밝혔다. 전체 판매 라인업에 걸쳐 최대 3% 올린다. 타룬 가르그(Tarun Garg) HMIL 최고운영책임자(COO)는 "가능한 상승 비용을 절감하고 고객에게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아도 가격 인상 대열에 가세했다. 기아는 내달 1일 부터 전 모델을 대상으로 최대 3% 인상을 결정했다. 현대차·기아에 앞서 현지 완성차 브랜드도 가격을 인상했다. 로컬 브랜드인 마루티 스즈키는 전체 모델을 대상으로 최대 4%를, 타타모터스는 상용차 라인업을 대상으로 최대 2% 가격을 올린다. 마루티 스즈키의 경우 올들어 세 번째 인상이다. 지난 1월과 2월에도 가격을 인상한 바 있다. 메르세데스-벤츠가 환율을 고려해 내달 판매 가격을 조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미 지난 1월 현지 가격 인상을 단행한 바 있지만, 수익성 등을 고려해 추가 가격 인상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더구루=오소영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게이츠가 설립한 미국 테라파워가 원전 설비 공급사를 추가했다. 두산에너빌리티와 HD현대에 이어 미국 '미리온 테크놀로지스(Mirion Technologies, 이하 미리온)'를 파트너로 선정했다. 원전 안전과 관련된 주요 설비들을 공급받아 소듐냉각고속로(SFR) '나트륨'에 활용한다. [유료기사코드] 2일 미리온에 따르면 이 회사는 최근 테라파워와 방사선 감시시스템(RMS)·원전 계측 시스템(XIS)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RMS는 방사선 준위를 지속적으로 감시해 종사자의 피폭을 관리하고 방사성 물질의 외부 누출을 방지하는 핵심 설비다. 발전소 내 주요 지역의 방사선 준위를 측정하는 지역감시기(Area Monitor), 계통내 방사성 물질을 모니터링하는 공정감시기(Process Monitor), 외부로 방출되는 방사성 물질을 감시하는 유출물감시기(Effluent Monitor)를 포괄한다. XIS는 원전의 출력 수준을 측정해 안정적인 발전소 운영을 지원하는 중요한 설비다. 두 설비는 테라파워가 미국 와이오밍주에서 건설 중인 나트륨에 설치된다. 테라파워는 작년 6월 와이오밍주 화력발전소 인근 부지에 345㎿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에 엔비디아(NVIDIA)의 '짝퉁' 그래픽 카드가 등장했다. 성능이 떨어진 그래픽 카드를 한 단계 윗 버전으로 리마킹해 편법으로 유통한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테크미디어 유니코의 하드웨어(Uniko's Hardware)에 따르면 중국에 가짜 'RTX 4090' 그래픽 카드가 발견됐다. 발견된 제품은 RTX 4090으로 알려졌지만 실 제품은 RTX 3090인 것으로 드러났다. 가짜 그래픽 카드는 중국 OTT 플랫폼 빌리빌리(bilibili)에 게재된 칩 분해 영상에서 발견됐다. '중국판 유튜브'로 불리는 빌리빌리에 이용자가 그래픽 카드를 분해, 수리하는 모습을 녹화해 올린 것. 영상에는 중국어 설명과 함께 문제의 그래픽 카드를 손으로 분해, 수리하는 모습이 담겼다. 외관을 점검하는 것부터 방열판과 그리스를 제거하고 내부를 점검하는 과정이 모두 나와있다. 그러다 칩 주변에 배치된 다층 세라믹 캐퍼시터의 레이아웃이 공개됐는데 이 레이아웃으로 RTX 4090이 아니라 RTX 3090인 것으로 확인됐다. 주변에 배치된 박스와 외관은 'RTX 4090'이고, 칩 자체의 표시도 4090을 준수하고 있어 리마킹을 통한 위조임을 알 수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