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이 중국 신장위구르 지역에서 강제 노동으로 생산된 제품에 대한 무역 제재를 강화했다. 21일 코트라 미국 뉴욕무역관에 따르면 미국 국토부 산하 강제노동집행 태스크포스는 지난 9일 지난 2년간 시행한 위구르 강제노동 방지법(UFLPA)을 기반으로 한 전략보고서 업데이트 내용을 발표했다. '중국에서 강제노동으로 채굴, 생산 또는 제조된 상품의 수입을 방지하기 위한 전략' 보고서에는 강제노동 방지법 시행으로 인한 단속 영향과 최신 전략 내용이 담겼다. 전략보고서는 앞서 지난 2022년 6월 처음 발표됐고, 작년 8월 한 차례 개정된 바 있다. 로버트 실버스 국토안보부 차관은 이번 보고서와 관련해 "지난 일 년간 단속 과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민간 부분과의 협력으로 투명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미국은 강제노동을 통해 만든 제품의 수입을 금지해 왔으며 지난 2021년 6월 조 바이든 대통령이 UFLPA에 서명하면서 단속을 더욱 강화했다. 신장에서 생산된 완제품을 비롯해 현지 생산된 원자재나 부품을 운송해 제3국에서 가공한 상품도 UFLPA을 적용하기 때문에 기업은 공급망 내 2차·3차 납품업체까지 모니터링해야 할 의무가 생겼다. 미국 관세국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IT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사이버 보안 산업도 덩달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펼치며 사이버 보안 기술 확보에 나서고 있다. 코트라 첸나이무역관은 16일 'IT 분야의 발전으로 인한 위협도 커지는 상황에서 인도의 사이버 보안 산업은?' 보고서를 통해 인도 사이버 보안 시장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인도 사이버 보안 산업은 2024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13% 성장해 53억 달러(약 7조3000억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됐다. 인도 사이버 보안 산업을 주도하는 지역은 벵갈루루, 하이데라바드, 첸나이 등 인도 IT 산업이 집중된 지역이었다. 인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사이버 보안 기술 확보에 나선 것은 인도 대기업들이 상당한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고 있어 사이버 공격에 대상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네트워크 보안 플랫폼 기업 테너블에 따르며 인도 대기업들은 평균적으로 1만2000개의 디지털 자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잠재적인 사이버 공격에는 취약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인도 정부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사이버 보안 산업을 성장시키고 있다. 대표적으로 국가 사이버 보안 정책(NCSP, National
[더구루=김은비 기자] 미국 항공기에서 한 탑승객이 소지한 노트북 배터리에서 일어난 화재로 인해 승객들이 대피 소동을 겪었다. 출발이 지연되고 승객 3명까지 다쳤다. 소셜미디어 엑스(X, 옛 트위터)에는 당시 혼란스러운 상황을 엿볼 수 있는 영상이 게재됐다. 다만 승무원의 신속한 대응으로 인해 더 큰 사고는 발생하지 않았다. 국내외에서 항공기 배터리 사고가 빈번하게 이어지고 있어 기내 배터리 반입 규정을 강화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6일 CBS 등 외신에 따르면 지난 12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 공항(SFO)을 출발해 마이애미 공항으로 향하려던 아메리칸항공 소속 2045편(에어버스 A321) 비행기 내에서 노트북 배터리 화재가 발생했다. 온라인 비행 기록에 따르면 아메리칸항공 2045편은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오후 12시(현지시간) 출발 예정이었다. 하지만 출발 직전, 비행기 내부가 연기로 뒤덮이기 시작하며 승객들의 혼란을 불러일으켰다. 당시 비행기 내부에 있던 승객 얀 얀카이(Jan Jankai)는 ABC와의 인터뷰에서 "타버린 케이블과 같은 냄새가 났으며 그 냄새가 점점 더 강해졌다"고 전했다. 여러 사람이 동시에 비상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대표 억만장자인 켄 그리핀 시타델 대표와 폴 싱어 엘리엇매니지먼트 회장이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과 정치 기부금 제공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룸버그통신은 15일 소식통을 인용, 그동안 트럼프 전 대통령을 비판했던 그리핀과 싱어가 전직 대통령을 만나 대선 자금 지원에 대해 논의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실제로 대선 자금을 지원할 지 여부에 대해서는 결정하지 않았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그리핀은 2주 전 워싱턴DC 인근 버지니아주(州) 스털링에 있는 트럼프 내셔널 골프클럽에서 트럼프와 회동했다. 싱어도 최근 몇 주 동안 트럼프 측과 지속적으로 만남을 가졌다. 그리핀과 싱어는 대표적인 공화당 지지자로 꼽힌다. 다만 트럼프에 대해서는 그동안 비판적인 입장을 보여왔다. 싱어는 앞서 지난 2016년 트럼프의 무역 정책에 대해 글로벌 불황을 야기할 것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그리핀은 2022년 공화당이 중간선거에서 패배한 직후 트럼프에 대해 3번의 패배자라고 비난했다. 그리핀과 싱어는 올해 초 공화당 경선 당시 트럼프 전 대통령과 맞붙었던 니키 헤일리 전 유엔(UN) 대사의 슈퍼팩(정치후원단체)에 각각
[더구루=홍성일 기자] 아랍에미리트(UAE)가 인공지능(AI) 기술의 발달로 핵심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는 로봇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UAE는 서비스 로봇 보급을 시작으로 적용 범위를 점차 확대해 나간다. 코트라 두바이무역관은 9일 공개된 'UAE 미래 첨단 기술의 핵심, 로봇 산업' 보고서를 통해 UAE의 로봇 기술 도입 현황과 향후 전망에 대해서 소개했다. UAE는 로봇 기술과 AI의 발전으로 경제 다각화,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두바이 미래재단(Dubai Future Foundation)이 주도하는 두바이 로봇&자동화 프로그램(Dubai Robotics and Automation Program)은 2032년까지 두바이의 로보틱스 섹터가 GDP 기여가 9%에 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두바이 미래재단은 목표 달성을 위해 2032년까지 서비스, 물류, 산업 등 전반에 20만 대의 로봇을 공급할 예정이다. 두바이는 공공기관 차원에서도 로봇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올해 1월 두바이 내무부는 로봇 자동화 프로세스를 도입해 약 180만 건의 거래를 98% 이상의 정확도로 자동화
[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와 중국이 부동산 부문에서 협력을 강화한다. 14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따르면 마지드 알 호길) 사우디아라비아 도시·농촌 및 주택부 장관과 장화 사우디아라비아 주재 중국 대사는 지난 8일 리야드에서 양자회담을 열었다. 양측은 이번 회담에서 부동산 개발과 관련 법적 절차 개선에 대해 논의했다. 국내외 기업들의 투자를 활성화하여 사우디 내 주택 보유율을 2030년까지 70%로 끌어올리기로 합의했다. 이번 회담은 2022년 12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체결한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의 후속 조치다. 양측은 사우디아라비아의 부동산 시장을 발전시킨다는 목표다. 한편, 사우디아라비아 부동산 개발기업인 국민주택공사는 중국 시틱 건설그룹과 사우디아라비아 내 도시 개발 및 물류 산업을 활성화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인도네시아가 수입품에 대한 대대적인 관세 조사에 착수한다. 무분별한 수입 증가에 따른 자국 산업 피해를 막기 위한 차원에서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통상부는 △섬유 △의류 △신발 △화장품 △도자기 △전자제품 등 다양한 상품의 수입 급증을 규제하기 위해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줄키플리 하산(Zulkifli Hasan) 인도네시아 통상부 장관은 “지난 3년간 다양한 상품들의 수입 동향을 검토해 세이프가드(safeguard)나 반덤핑 관세 조치 필요한지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세이프가드는 공정한 무역 행위에 의한 수입일지라도 수입 증가로 인해 국내 산업이 심각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있을 시 수입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조치다. 하산 장관은 세이프가드나 반덤핑 조치 등 어떠한 조치도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하기보다 상품 자체를 기준으로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주로 저렴한 중국산 수입품을 대상으로 고관세를 부여한 기존의 입장에서 전환된 것이다. 업계에선 인도네시아 정부의 이번 발표가 수입 급증에 따른 현지 산업 내 영향을 최소화 하고 국제 규범을 준수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실제 인도네시아는 수입 급증으
[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정부가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의 역점 사업인 네옴 프로젝트의 예산을 큰 폭으로 축소할 전망이다. 이외에 다른 기가 프로젝트도 속도 조절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블룸버그통신은 11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 빈 살만 왕세자가 이끄는 정부 위원회가 네옴을 포함해 기가 프로젝트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를 거의 완료했다고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는 올해 네옴 예산을 20% 삭감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네옴 내 항공사 설립도 보류한 것으로 전해진다. 네옴은 사우디아라비아의 북서부 홍해 인근 사막에 건설되는 미래형 신도시 프로젝트로, '비전 2030'의 핵심 사업이다. 전체 면적은 서울의 44배인 2만6500㎢에 달한다. 네옴 사업비는 발표 당시 5000억 달러(약 690조원)에서 최근 최대 1조5000억 달러(약 2060조원) 규모로 늘었다. 최종적으로 2조 달러(약 2750조원) 이상이 들 것으로 추정한다. 네옴에서 가장 주목받는 사업은 총길이 170㎞ 규모의 초연결 커뮤니티 벨트 조성 사업인 '더라인'이다. 폭 200m·높이 500m·길이 170㎞의 거대한 직선형 구조물을 세운다. 수소·태양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 폐기물 처리시장이 떠오르고 있다. 관련 규제 강화와 폐기물 자국 내 처리 비중 증가 등으로 인해 기업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세계적인 부호인 빌 게이츠는 빈곤, 질병, 환경오염 등 인류가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하겠다는 사명 아래 ‘빌 앤 멜린다 게이츠 재단(Bill & Merlinda Gates Foundation)’을 설립했다. 재단의 투자 포트폴리오에서 빌 게이츠가 의장으로 있는 마이크로소프트(MS)를 제외하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기업은 미국 1위 폐기물 종합 처리 기업 ‘웨이스트 매니지먼트(WM·Waste Management)’다. 빌 게이츠의 또 다른 투자회사 ‘캐스케이드 인베스트먼트(Cascade Investment)’의 포트폴리오에서도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기업은 WM에 이어 미국 폐기물 처리업 2위를 점유하는 '리퍼블릭 서비스(Republic Services)'다. 폐기물 처리 기업에 투자가 몰리는 데에는 관련 규제 강화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경우 글로벌 넷제로 달성 목표에 대응해 폐기물 처리 기준을 강화하고 있다. 하지만 폐기물 발생량의 증가 추세가 지속
[더구루=홍성환 기자] 유럽연합(EU) 역내 기업은 앞으로 공급망 내에서 인권과 환경에 대한 실사를 의무적으로 이행해야 한다. 7일 코트라 벨기에 브뤼셀무역관의 'EU, 공급망 실사 지침(CSDDD) 발효 임박' 보고서에 따르면 EU의 공급망 실사 지침이 이르면 이달 중으로 관보에 게재될 전망이다. 게재 후 20일 뒤 발효된다. 이 지침은 일정 기준을 충족하는 EU 역내 기업뿐만 아니라 제3국의 역외 기업도 적용된다. 적용 기준은 일반 기업과 로열티 수익 기업으로 구분된다. 일반 기업을 살펴보면 역내 기업의 경우 △연간 전 세계 순매출 규모 4억5000만 유로 이상 △평균 직원 수 1000명 초과 등 두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초대형 기업에 적용된다. 역외 기업은 4억5000만 유로의 EU 역내 순매출만 고려한다. 로열티 수익기업은 일반적인 프랜차이즈 또는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해 일정 규모의 로열티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으로, 해당 로열티로 인한 수익이 2250만 유로가 넘고 순매출 규모가 8000만 유로를 초과하면 적용된다. 다만 최근 2년 연속으로 해당 기준을 충족한 경우에만 지침이 적용된다. 역내 기업은 전년도 회계연도를, 역외 기업은 전전년도 회계연도를
[더구루=오소영 기자] 베트남 인공지능(AI) 시장이 2030년 약 34억 달러(약 4조6900억원)로 급성장한다. 베트남 정부의 지원과 맞물려 빈그룹을 선두로 한 현지 기업들이 AI 연구를 가속화하고 있다. 엔비디아와 애플 등 AI 도입에 적극적인 글로벌 기업들의 시선이 베트남에 쏠렸다. [유료기사코드] 6일 코트라 하노이무역관에 따르면 베트남 AI 시장은 '립프로깅' 형태로 성장할 전망이다. 립프로깅은 중간 단계를 생략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는 급속한 기술 도약을 의미한다. 시장조사기관 스태티스타는 베트남 AI 시장이 2030년 약 34억 달러로 2023년 대비 6배 뛸 것으로 예상했다. 베트남의 놀라운 성장에는 AI를 육성하려는 민관의 공조에 있다. 베트남 정부는 지난 2021년 1월 AI 연구·개발(R&D)과 적용에 관한 국가 전략을 발표했다. 2025년까지 베트남 고유의 챗GPT와 거대언어모델(LLM) 개발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정부의 강력한 지원 속에 베트남 대기업들은 너도나도 AI에 뛰어들었다. 베트남 국민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잘로(Zalo)'를 개발한 VNG는 잘로에 자연어처리 기능을 넣어 AI 음성비서 서비스 '끼끼(Kiki)'를 상용화
[더구루=길소연 기자] 아이돌그룹 뉴진스(New-Jeans)의 멤버 하니와 다니엘, 스트레이키즈(Stray Kids) 방찬과 필릭스 등이 호주 케이팝(K-POP, K-팝) 시장에서 활동하며 호주와 한국을 잇는 교두보 역할을 하고 있다. 6일 업계에 따르면 호주 시민권자인 뉴진스와 스트레이키즈 멤버가 호주인들에게 한국을 전반적으로 더 익숙하고 긍정적으로 만드는 소프트 파워(soft power·문화 등으로 영향을 미치는 힘)를 보여주고 있다. 하니는 베트남계 호주인으로 이중국적을 지녔고, 다니엘은 한국과 호주 이중국적자이다. 스트레이키즈의 리더 방찬과 필릭스는 호주 시드니 출신이다. 현재 한류는 호주에서 적지 않게 노출되고 있으며 흥행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K-팝이 가장 인기고 영화와 드라마가 대중의 인기를 끌고 있다. K-팝 공연에 대한 현지인들의 인식도 긍정적이다. K-팝 인식 조사 설문에 참여한 사람 중 70%가 K-팝은 대중에게 인기가 많다고 답했다. 42.4%는 K-팝 관련 상품이 판매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답변했다. 호주 내 한국 앨범 수입 동향도 K-팝의 인기를 방증한다. 호주의 한국 앨범 수입은 한국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확대됐던 2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멕시코 핵심 데이터센터가 전력망 문제로 가스 발전기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멕시코에 대한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이를 뒷받침할 전력 인프라의 한계가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MS가 지난해 5월 멕시코 케레타로주 콜론에 오픈한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멕시코 센트럴(Mexico Central)'은 올해 2월부터 6개월 가량 가스 발전기 7대에 의존해 운영됐다. MS가 멕시코 환경당국에 제출한 서류에 따르면 해당 발전기는 올해 2월부터 7월까지 하루 12시간동안 가동됐으며 데이터센터가 요구하는 전력량의 70%를 공급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5만4000가구가 1년동안 배출한 양과 같은 이산화탄소가 배출됐다. MS는 2024년 5월 오픈 이후부터 올해 1월까지는 어떻게 에너지를 공급했는지, 7월 이후 가스 발전기를 운영할지 여부 등에 대해서는 함구하고 있다. 멕시코 센트럴이 자체 가스 발전기를 동원한 배경에는 전력망의 건설 지연이 있다. 멕시코 센트럴은 중남미 지역의 첫 지역 리전으로, MS는 해당 데이터센터 구축과 교육 프로그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리튬 스타트업 '에너지엑스(EnergyX)'가 내달 호주 판테라 리튬(Pantera Lithium)의 자회사 데이토나 리튬(Daytona Lithium) 인수를 마무리한다. 판테라 리튬 주주들의 높은 지지를 확인했으며 실사도 마쳤다. 빠르게 인수 작업을 끝내고 리튬 자산을 추가해 생산량을 늘린다. [유료기사코드] 18일 판테라 리튬에 따르면 최근 주총에서 데이토나 리튬을 에너지엑스에 매각하는 안건을 의결했다. 압도적인 찬성표로 안건을 통과시키며 주주들의 강한 신뢰를 확인했다. 재무와 법률, 기술 실사를 모두 마친 상태로 내달 초 거래를 완료할 것으로 전망했다. 데이토나 리튬은 미국 아칸소주 스맥오버 지층(Smackover Formation·텍사스부터 플로리다까지 넓게 퍼진 석회암 지대) 일대에서 리튬 개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약 3만5000에이커(약 1억4163만9975㎡) 규모의 부지에 광권을 보유했다. 에너지엑스는 '론스타 프로젝트(Project Lonestar)'와 시너지를 낼 수 있다고 보고 데이토나 리튬 인수를 추진했다. 지난 7월 판테라 리튬과 4000만 호주달러(약 370억원)에 지분을 인수하기 위한 구속력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