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LG전자의 차량용 헤드램프 자회사인 ZKW가 오스트리아에 이어 슬로바키아 공장에서 감원을 단행한다. 전체 직원의 약 10%에 해당하는 300명을 연말까지 감축한다. 불확실한 글로벌 경제 상황과 전기차 시장 침체에 따라 선제적으로 비용을 절감하고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행보다. 20일 ZKW 노동조합(Odbory KOVO ZKW)에 따르면 ZKW는 지난달 말 현지 노동당국에 연말까지 크루쇼브체 공장 직원의 약 10%를 감축한다고 공지했다. 현재 슬로바키아 공장에는 3300명이 근무하고 있다. ZKW는 경쟁력 확보를 위해 300명을 감원할 예정이다. 대부분 임시직원의 계약 미연장과 이직 등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인력 감축을 도모한다. ZKW는 이번 조치로 경영 쇄신을 꾀하며 불확실한 경영 환경에 대응한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으로 전장 사업은 지난해 저조한 실적을 냈다. LG전자의 VS사업본부는 작년 4분기 20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 적자 전환됐다. LG전자 연결 종속사에 포함된 'ZKW Group GmbH'은 작년 3분기 누적 기준 24억9100만원의 손실을 냈다. 올해도 대외 불확실성은 지속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만 인공지능(AI) 서버 제조업체가 미국의 관세 우려 속에 글로벌 영역 확장을 위해 위해 텍사스를 정조준한다. 관세 부담으로 인해 글로벌 AI 서버 공급망 혼란이 불가피하자 생산지를 전환해 공급망을 재편한다. [유료기사코드] 20일 대만매체 UDN(United Daily News)의 보도에 따르면 대만 AI 서버 제조업체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로 미국에 투자할 준비를 하고 있다. 아이폰 위탁 제조사인 폭스콘 모회사인 대만 혼하이는 3303만 달러(약 470억원)를 투자해 텍사스주 휴스턴에 AI 서버 생산을 위해 토지와 공장을 매입했다. 또 1억 2800만 달러(약 400억원)를 투자해 캘리포니아에 토지와 시설을 구입해 AI 서버 생산 능력을 확장할 방침이다. <본보 2024년 11월 28일 참고 트럼프 관세, 대만 AI 서버 공급망 타격 가능성…폭스콘 등 '비상'> 대만 인공지능(AI) 서버 제조사인 퀀타컴퓨터는 캘리포니아와 테네시에서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해당 시설을 확장할 수 있다고 밝혔다. 대만 전자기기 수탁제조 서비스(EMS) 기업 위스트론(Wistron)은 지난해 텍사스에 토지와 공장 건설
[더구루=정예린 기자] LS일렉트릭이 일본 군마현 에너지저장장치(ESS) 프로젝트에 전력솔루션을 제공한다. 재생에너지 사업이 확대되면서 핵심 부품을 공급하는 LS일렉트릭을 향한 '러브콜'이 이어질 전망이다. 19일 일본 재생에너지 기업 '올림피아'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군마현 이세사키시에 1.998MW 규모 ESS 프로젝트 운영을 개시했다. LS일렉트릭의 전력변환장치(PCS)가 탑재되고 파워엑스(PowerX)의 2.468MWh급 배터리 3개로 구동된다. 올림피아는 작년 7월 착공해 지난달 30일 완공했다. 이세사키시 ESS 시설에서 만들어진 전력은 우선 도매 시장에서 판매를 시작한다. 추후 예비 전력을 거래하는 시장과 소매 시장까지 진출해 지역 전력망 안정화에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인근 오타시에도 새로운 ESS 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오는 4월 운영을 개시할 예정이다. 오타시에 진행되는 ESS 프로젝트에도 LS일렉트릭의 PCS와 파워엑스의 배터리가 장착된다. LS일렉트릭이 공급하는 PCS는 배터리와 전력망 간의 전력 변환을 담당하는 장비다. 직류 전원을 교류로 변환하거나 반대로 전환하는 역할을 한다. 배터리에 저장된 전력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고, 전력망에서 배
[더구루=정예린 기자] 대만 TSMC의 미국 애리조나 3공장 착공 시기를 놓고 엇갈린 전망이 나오고 있다. 외국 기업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압박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TSMC의 현지 생산 시설 중요성이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20일 타이베이타임즈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TSMC는 오는 6월 애리조나 3공장 조기 착공설(說)과 관련해 "시장 소문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을 것이며, 추후 공개 행사가 있을 경우 공식적으로 알릴 것"이라며 "애리조나 공장 건설은 계획대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같은 소문의 시발점이 된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의 이사회에서도 신규 투자와 3공장 건설 일정 변경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진다. TSMC는 앞서 지난 11~12일 대만이 아닌 미국에서 처음으로 이사회를 개최했다. 애리조나 공장 가동을 기념하고 미국과의 탄탄한 동맹을 대외적으로 알리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최근 대만 언론 등을 통해 TSMC가 예정보다 일찍 애리조나 3공장 건설에 착수한다는 주장이 제기됐었다. 당초 2020년대 말 양산을 개시한다는 목표 일정을 약 1년~1년 6개월 앞당긴다는 것이다. 미 정부 주요 관계자들을
[더구루=김은비 기자] “내년 인공지능(AI)이 본격 개화하면서 반도체 시장에 업 턴(상승 국면)이 올 것으로 보고 있어요.” 1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개막한 국내 최대 반도체 산업 전시회 ‘세미콘 코리아 2025’에서 만난 한 반도체 장비 기업 관계자는 향후 반도체 시장 전망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반도체 경기는 사이클이 워낙 뚜렷한데, 최근 몇 년간 침체기를 지나면서 내년에는 본격적인 시장 흐름이 좋아질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이 한자리에 모여 첨단 기술을 대거 선보이는 국내 최대 반도체 산업 박람회 '세미콘 코리아 2025’는 오는 21일까지 사흘간 진행된다. 올해 행사에는 약 500개 업체가 2300여 개의 부스를 차렸다. ASML,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AMAT), 램리서치, 도쿄일렉트론(TEL), KLA 등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들이 첨단 반도체 기술을 소개한다. 7만여 명의 관람객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된다. 역대 최대 규모다. 오전 9시. 전시장 입구에는 입장을 기다리는 관람객들의 긴 줄이 이어졌다. 등록 데스크 앞은 발 디딜 틈 없이 붐볐다. 처음 행사장을 찾았다는 대학생 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PC용 메모리 디램(DRAM)의 국제 가격이 5개월 연속 하락세를 타고 있는 가운데 중국발 저가 물량 공세로 가격 하락에 속도가 붙는다. 경기둔화에 의한 중국 시장수요 감소와 자국산 생산 및 사용 비중이 확대되면서 공급 과잉과 가격 경쟁이 심화돼 수익성이 악화됐다. [유료기사코드] 1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DDR4 8기가비트(GB)와 4GB의 거래 가격은 각각 1.75달러, 1.34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월 대비 각각 6%씩 하락한 수치이다. 8GB 가격 하락은 1년 10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보였다. D램은 PC, 스마트폰, 데이터센터의 서버 등 설비에 탑재하여 데이터를 임시 보관하는 메모리 장치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미국의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2023년 시점으로 전체 시장의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D램의 국제가격 하락은 경기둔화에 의한 중국 시장수요 감소와 중국 D램 1위인 창신메모리(CXMT·중국명 长鑫存储技术) 등 자국 반도체 선도기업에 대한 중국 정부의 지원 강화로 자국산 생산과 사용 확대가 주요인으로 작용했다. 중국이 자국산 D램을 우대하는 보조금 정책을 유지하고 있어 중국 디바이스 제조자들은 중국산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텔이 차세대 외장 그래픽카드에 장착될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자체 생산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인텔이 TSMC 협력을 강화하면서도 독자 파운드리 역량 강화에도 나서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IT팁스터 라이츄(@OneRaichu)는 "팬서 레이크(Panther Lake)와 달리 셀레스티얼 dGPU는 Xe3 대신 Xe3P를 기반으로 할 것으로 보인다"며 "외부가 아닌 인텔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셀레스티얼은 인텔이 배틀메이지에 이어서 개발하고 있는 차세대 GPU의 코드명이다. 셀레스티얼은 3세대 Xe 마이크로아키텍처(Xe3)를 기반으로 하며 올해 말 공개될 예정인 노트북용 중앙처리장치(CPU) 팬서 레이크와 함께 공개될 것으로 알려졌다. 라이츄가 얘기한 dGPU는 CPU와 별도로 컴퓨터에 장착하는 외장 그래픽카드용 GPU를 말한다. GPU 앞에 붙은 d는 개별이라는 뜻의 discrete의 첫 스펠링을 딴 표현이다. 라이츄 주장대로라면 셀레스티얼 외장 그래픽카드에 적용되는 GPU는 Xe3에서 성능이 강화된 Xe3P 아키텍처가 사용된다. Xe3 뒤에 붙은 P는 퍼포먼스(perform
[더구루=정예린 기자] 삼성전자가 중국에서 '인재 확보'에 발 벗고 나섰다. 해외 유일 테스트·패키징 거점인 쑤저우 공장(SESS) 인적 네트워크를 확대,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반도체 패키징 역량을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18일 장쑤성 장자강 최대 인력 채용 사이트 '장자강 인재 네트워크'에 따르면 삼성전자 쑤저우 공장은 최근 신규 인력 채용 공고를 게재했다. 엔지니어 등 기술직부터 행정직까지 11개 직군에 대해 채용을 실시한다. 기술직의 경우 △제품 엔지니어 △반도체 혁신 엔지니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C#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설비 기술자 △오퍼레이터(생산직) △생산 자동화 엔지니어 △소방 설비 기술자 등을 고용한다. 행정직으로는 △인사 담당 △생산 기획(자원 운영) 담당 △HR 데이터 분석가 등을 뽑는다. 삼성전자는 각 직군에 적합한 경력과 배경 등을 요구하고 있다. 쑤저우 공장 소방 안전과 설비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소방 기술자를 제외하곤 일정 수준 이상의 영어 또는 한국어 구사 능력을 주요 조건으로 내걸었다. 특히 C#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등 일부 기술직은 한국어 능통자를 채용시 우대한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가 쑤저우 공장 신규 인력 확보에
[더구루=김은비 기자] 중국 연구진이 노후화된 리튬 배터리 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하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향후 전기차(EV)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면서 주목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7일 미국 국립의학도서관(national library of medicine)에 따르면 중국 푸단대학교 펭 휘성(Peng Huisheng), 가오 웨(Gao Yue)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리튬 이온을 보충 주입해 배터리 수명을 수십 년 늘릴 수 있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세계적 과학 학술지 네이처(Nature)에 게재됐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 기술은 기존 1000~1500회 의 충·방전 사이클을 가진 리튬 이온 배터리 수명을 1만2000~6만회까지 연장할 수 있다. 리튬이온배터리는 양극, 양극, 그리고 그 사이를 오가는 활성 리튬 이온으로 구성된다. 배터리를 사용할수록 활성 리튬 이온이 줄어들면서 결국 수명이 다하게 된다. 연구진은 노후화된 배터리에 독자 설계한 분자를 주입, 손실된 리튬 이온을 보충하는 방식으로 배터리 수명을 극적으로 늘릴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가오 웨 교수는 "사람에게 주사 치료를 하듯 배터리에 운반체 분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정부가 대만 TSMC에 인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부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는 설(說)이 제기된 가운데 정작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반대로 거래가 무산될 수 있다는 소식이 나왔다. 당국이 '적자늪'에 빠진 인텔 구하기에 성공하고 미국 반도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17일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최근 백악관 고위 소식통을 인용해 "트럼프 행정부가 인텔의 미국 반도체 제조 시설을 외국 기업에 의해 운영되는 것을 지지하지 않을 수도 있다"며 "외국 기업이 미국에 직접 투자하는 것은 장려되지만, 인텔 공장을 운영하는 외국 기업을 지원할 가능성은 없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원하는 것은 외국 기업이 미국 반도체 기업을 대신해 제조 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아니라 미국에 투자를 집행해 자국 내 반도체 공급망을 구축하는 것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인텔의 파운드리 공장이 TSMC에 넘어갈 경우 미국 정부의 통제에서 벗어나게 되기 때문이다. 이같은 주장은 블룸버그와 월드스트리트저널(WSJ)의 보도와 대조된다. 블룸버그는 최근 TSMC가 트럼프 행정부의 제안에 따라 인텔 파운드리 공장을 지분 인수해 운영하는 방
[더구루=김은비 기자] 삼성전자가 펼치면 10인치 태블릿 디스플레이가 되는 신규 트리폴드폰(3단 접이식 스마트폰)을 선보일 전망이다. 기존 제품들과 구분되는 새로운 폼팩터를 통해 삼성전자가 시장에서 또 한 번 '지각변동'을 일으킬지 관심이 주목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최근 자사 신규 트리폴드폰, 가칭 '갤럭시 G 폴드(Galaxy G Fold)’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접으면 일반 스마트폰처럼, 펼치면 약 10인치 크기 태블릿 디스플레이로 사용할 수 있다. 출시 시점은 갤럭시 Z 폴드7, Z 플립7과 유사한 오는 3분기(7~9월)로 예상된다. 특히 이번 제품은 글로벌 시장 최초의 3단 접이식 스마트폰이 될 것으로 보이면서 업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화웨이가 지난해 최초의 트리폴드폰 ‘메이트XT’를 선보였으나 판매가 중국 내수 시장에만 국한돼 있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G 폴드 초기 생산 목표를 30만 대 미만으로 설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삼성전자가 특정 제품에 치우치지 않고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려는 움직임으로 보인다. 갤럭시 G 폴드는 6.49인치 외부 디스플레이와 9.96인치 내부 디스플레이를 탑재할 예정이다. 내외부로 넓은 화면
[더구루=정등용 기자] 일본이 반도체 생산 안정과 정보처리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 16일 일본 정부에 따르면 경제산업성이 최근 ‘정보처리 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제출했다. 개정안은 정보 고속 처리용 기기에 사용되는 반도체 생산을 안정화하기 위해 반도체 제조업체에 대한 △자금 출자 △채무보증 지원 △공채 발행 등의 지원 계획이 담겼다. 지원 대상 기업으로는 반도체 제조사 '라피더스'가 유력하게 거론된다. 라피더스는 덴소·키오시아 미쓰비시 UFJ·소니·도요타 등의 지원을 받아 정부 주도로 설립된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이다. 일본 정부는 이번 법률을 통해 재원확보 등 기업 지원의 근거를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도 최대 배터리 제조사인 엑사이드 인더스트리(Exide Industries, 이하 엑사이드)가 현대자동차와 진행하는 전기차(EV)용 배터리 공동 개발 프로젝트가 순항하고 있다. 현대차는 엑사이드 뿐만 아니라 인도 배터리 제조사 다수로부터 '메이드 인 인디아' 배터리를 공급받아 현지 공급망 체계를 지속 강화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엑사이드는 최근 진행된 투자자콜에서 "자회사인 엑사이드 에너지와 현대차의 계약에 따라 배터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대차는 지난해 4월 엑사이드 에너지와 인도 전용 EV 배터리셀 현지화를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12월에는 MOU의 연장선으로 구속력 있는 배터리 셀 공급 계약도 체결했다. 공시된 자료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법인은 엑사이드 에너지로부터 계약서에 명시된 가격으로 배터리를 공급받는다. 엑사이드 에너지의 배터리 공급은 내년 초 본격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엑사이드 에너지는 현재 벵갈루루에 리튬이온 배터리 셀 제조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엑사이드 에너지는 내년 1분기 중으로 해당 공장의 1단계 상업생산을 시작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공장의 1단계
[더구루=진유진 기자] 캐나다 광산기업 퍼스트 퀀텀 미네랄(First Quantum Minerals)이 파나마의 구리 광산 재가동에 대해 "조심스럽게 낙관적"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이 광산은 한국광해광업공단(KOMIR)이 공동 투자한 사업으로, 지난 2023년 11월부터 1년 5개월째 가동이 중단된 상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퍼스트 퀀텀은 코브레 파나마 광산 법인을 통해 파나마 정부를 상대로 제기했던 국제 중재 소송을 지난 달 자진 철회한 이후, 파나마 정부와의 협상 여건이 개선될 수 있다는 기대를 드러냈다. 최근 파나마 당국은 광산에 비축된 구리 정광 수출과 퍼스트 퀀텀이 운영 중이던 화력 발전소 재가동을 허용하는 방안을 두고 법적 논의를 시작했다. 호세 라울 물리노 파나마 대통령은 광산을 국가 자산으로 전환하는 새로운 민관 파트너십 모델을 검토 중이다. 그는 "광산 영구 폐쇄에는 최대 15년이 걸릴 수 있다"며 "우리가 이미 보유한 광산으로부터 파나마 국민이 최대한의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현명하게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당초 환경 감사에서 시작된 광산 재검토는 재무적 측면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BMO 캐피털 마켓의 매트 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