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일 기자] T-모바일(T-Mobile)이 공격적인 확장 전략을 펼치면서 버라이즌(Verizon), AT&T 양강구도에 균열이 가고 있다. 버라이즌이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는 가운데 미국 통신 시장 2위 자리를 두고 T-모바일과 AT&T의 상반된 접근 방법이 관심을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4일 업계에 따르면 T-모바일은 올해 3분기 미국 무선통신 가입자 수 2위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T-모바일의 무선 통신 가입자 수는 1억 2750만명, AT&T는 1억1600만명이었다. T-모바일이 AT&T의 자리를 위협하기 시작한 것은 4위 통신사 스프린트와 합병 때문이다. 합병 전 미국 통신 시장은 버라이즌, AT&T '2강' 구도였다. T-모바일과 스프린트는 2중으로 분류됐다. 이 구도에 변화를 가져온 것이 2018년 T-모바일과 스프린트의 합병 결정이다. 두 회사의 합병은 2020년 완료됐다. T-모바일은 스프린트를 인수하며 가입자, 서비스 범위(커버리지) 면에서 명실상부 미국 통신 시장 '빅3'로 떠올랐다. T-모바일은 이후 공격적인 전략을 펼치며 버라이즌과 AT&T에 대한 추격을 시작했다. T-모바일은
◇KT KT가 다가오는 크리스마스 연휴와 연말을 맞아 지니 TV 고객들을 위한 풍성한 이벤트와 혜택을 마련했다. KT는 2024년 인기 콘텐츠를 엄선해 특집관을 마련하고 콘텐츠를 즐긴 고객들을 위한 다양한 경품 이벤트를 연다. 또 연휴를 맞아 '몰아보기'를 할 수 있도록 무료 또는 할인된 가격에 콘텐츠를 제공할 예정이다. 지니 TV는 현재 극장 상영 중인 영화를 구매한 고객에게 다양한 경품을 제공한다. 베테랑2, 아마존 활명수, 보통의 가족 등 '지니의 선물 꾸러미' 메뉴에 담긴 최신영화 11편 중 1편 이상을 구매한 고객이 이벤트 참여 대상이다. 이벤트에 응모한 고객은 추첨을 통해 로봇 청소기(3명), 투썸 플레이스 생크림 케이크(100명), 교촌 치킨(100명), TV 포인트 1만 점(100명)을 받을 수 있다. 이벤트는 해당 콘텐츠를 구매한 뒤 TV 화면에서 바로 응모할 수 있다. 또 KT는 영화, 드라마, 예능·교양, 키즈, 해외 드라마 시리즈, 뮤직 등 장르별로 올 한 해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상위 30편을 엄선해 '2024 연말 결산' 특집관을 편성했다. 지니 TV에 따르면 영화는 파묘, 범죄도시4, 서울의 봄, 드라마는 내 남편과 결혼해줘, 눈
[더구루=홍성일 기자] SK텔레콤(이하 SKT)이 미국 기업용 인공지능(AI) 솔루션 구축기업 펭귄 솔루션스(Penguin Solutions) 투자를 마무리했다. SKT는 이번 투자로 북미 기업용 AI 데이터센터 시장에서 영역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펭귄 솔루션스는 16일(현지시간) SKT의 2억 달러(약 2900억원) 규모 전략적 투자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SKT는 지난 7월 펭귄 솔루션스의 전신인 스마트 글로벌 홀딩스(SMART Global Holdings, SGH)와 투자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펭귄 솔루션스는 1988년 설립된 데이터센터 솔루션 기업이다. 펭귄 솔루션스는 기업들을 AI 가속기 솔루션은 물론 고성능 컴퓨팅(HPC),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펭귄 솔루션스는 지난 10월 15일 기존 SGH라는 사명에서 펭귄 솔루션스로 리브랜딩을 진행했다. 펭귄 솔루션스는 맞춤형 컴퓨팅 솔루션 제공에 집중하고 기존 SGH 발광다이오드(LED)칩 사업부인 크리 LED도 독자적으로 사업을 영위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번 투자는 SKT가 펭귄 솔루션스의 전환우선주 20만 주를, 주당 1000달러에 인수하는 형태로 진행됐다. SKT는
◇SK텔레콤 SK텔레콤(이하 SKT)이 인공지능(AI) 영상분석 스타트업 '트웰브랩스(Twelve Labs)'에 300만 달러(약 43억원)를 투자한다. 트웰브랩스는 영상을 이해하고 검색할 수 있는 멀티모달AI 모델을 개발하는 스타트업으로, 2021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설립됐다. 올해 6월 엔비디아의 자회사 엔벤처스(NVentures)와 뉴엔터프라이즈어소시에이트(NEA) 등으로부터 약 5000만 달러(약 716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하며 화제가 된 기업이다. 트웰브랩스는 우수한 AI 영상이해모델을 통해 영상 속에 다양한 사람과 사물을 식별하고 행동까지 파악한다. 이를 기반으로 영상검색 솔루션 '마렝고(Marengo)'와 영상에서 질의응답을 할 수 있는 솔루션 '페가수스(Pegasus)'를 제공하고 있다. 트웰브랩스는 글로벌 리서치기관 CB인사이트가 발표한 글로벌 100대 AI 스타트업 'AI100'에 2022년부터 2024년까지 3년 연속 선정될 정도로 글로벌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SKT와 트웰브랩스는 양사가 보유한 AI 역량을 결합해 ‘AI 에이전트’와 같은 서비스 고도화를 통해 고객들에게 더욱 혁신적인 AI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더구루=홍성일 기자] 글로벌 통신기업 T모바일(T-Mobile)이 미국에서 집단소송에 직면했다. T모바일이 고객들을 속이고 통신 요금에 수수료까지 부과해왔다고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캘리포니아 중부 지방 법원에 따르면 23명의 소비자로 이뤄진 원고측은 지난달 29일(현지시간) T모바일 US를 고소했다. 원고측은 T모바일 US가 주와 연방 소비자 보호법을 위반했다고 주장했다. 고소 내용에 따르면 T모바일이 청구하고 있는 규제 프로그램 및 통신사 복구 수수료(Regulatory Programs and Telco Recovery Fee, 이하 RPTR 수수료)의 투명성이 부족하고 오해의 소지가 다분하다고 지적했다. T모바일에 따르면 RPTR 수수료는 통신사업자들에게 부여된 연방통신위원회(FCC), 주정부의 규제 프로그램을 이행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기 위해 부과되고 있는 수수료다. T모바일은 음성 회선 1개당 월 3.49달러, 데이터 전용 회선 1개당 월 1.40달러의 PRTR 수수료를 받고 있다. 원고측은 RPTR 수수료에 대해서 T모바일이 수익을 늘리기 위해서 재량으로 부과하는 것인데, 정부에서 요구해 부과하는 것처럼 명칭을 붙여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가 인공지능 전환(AX) 사업화와 통신의 디지털화를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기 위한 25년 조직개편을 12월 1일부로 단행한다. 선택과 집중을 통해 인공지능(AI) 중심으로 조직을 개편, '그로쓰 리딩 AX 컴퍼니(Growth Leading AX Company)'로 빠르게 자리 잡겠다는 전략이다. 우선 LG유플러스는 AX 기업의 핵심인 AI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AI 기반의 상품 및 서비스를 주도하는 'AI Agent 추진그룹'을 신설한다. B2C(기업 고객간 거래) 사업을 담당하는 '컨슈머부문'에 배치되는 AI Agent 추진그룹 산하에는 '모바일Agent 트라이브'와 '홈Agent 트라이브'를 각각 신설, 고객들이 체감할 수 있는 AI 서비스와 상품을 개발하는 데 집중한다. 특히 각 조직은 스타트업의 일하는 방식을 차용한 애자일(Agile) 형태의 팀이 모인 '트라이브(Tribe)'로 구성해 AI 기반 신규 서비스 개발에 속도를 높일 계획이다. B2C 사업과 AI 컨택센터(AICC)·AI 데이터센터(AIDC) 등 B2B(기업간 거래) 사업에서 AX 중심으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기술적·인적 지원도 이뤄진
◇KT KT가 21일(현지시간) 영국 런던 플레이스터럴스 홀(Plaisterers' Hall)에서 열린 '글로벌 텔레콤 어워즈'의 '미션 크리티컬 엑설런스(Mission Critical Excellence)' 부문 최우수 기업으로 선정됐다. 글로벌 텔레콤 어워즈는 ICT 분야 리서치 기관 '인포마(INFORMA)'가 전 세계의 우수 통신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시상식이다. 이 시상식은 네트워크 기술과 브랜드, 마케팅 등 24개 부문에서 뛰어난 성과와 혁신을 이뤄낸 기업을 선정한다. KT가 수상한 미션 크리티컬 엑설런스 부문은 통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디지털사회의 재난과 같은 상황에서 혁신적인 기술 솔루션으로 통신의 안정성을 입증한 기업을 선정하는 부문이다. KT는 국내에서 가장 많은 유선 인프라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빅데이터를 활용, 도로 굴착 공사 등으로 인한 단선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지능형 통신 케이블 보호시스템의 기술력을 높게 평가받았다. KT 네트워크기술본부장 구재형 상무는 "KT가 글로벌 텔레콤 어워즈에서 3년 연속 수상한 것은 꾸준한 네트워크 기술 혁신의 노력을 인정받은 결과"라며 "고객품질을 최우선으로, 네트워크 혁신 기술 개발에
[더구루=홍성일 기자] SK텔레콤(SKT)이 NTT도코모, NTT, 노키아와 협력해 일본에서 인공지능(AI) 기반 6G 무선 통신 기술 성능 테스트를 진행했다. SKT는 이번 테스트 결과를 바탕으로 AI 기반 6G 기술에 대한 글로벌 협력을 이어간다는 목표다. 22일 NTT 도코모에 따르면 SKT, NTT, 노키아와 공동으로 AI기반 6G 무선 통신 기술 실내 테스트를 진행했다. 이번 테스트는 일본에서 처음으로 진행된 AI 활용 6G 무선 통신 테스트다. NTT도코모는 이번 테스트 결과를 오는 25일 개최되는 'NTT R&D 포럼 2024 - IOWN INTEGRAL'에서 일부 공개할 예정이다. 이번 테스트는 4.8GHz 대역을 사용해 실내에서 진행됐다. 연구진들은 이번 테스트에서 AI기술을 통해 다양한 전파 환경에 최적화된 송수신 처리를 구현, 통신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테스트를 진행했다. 테스트 결과 AI 활용 6G 무선 통신 기술이 기존 기술에 비해 통신 속도를 최대 18%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됐다. NTT도코모에 따르면 테스트에는 노키아가 개발한 AI 기반 베이스밴드 송수신 기술이 활용됐다. 노키아 AI 기반 베이스밴드 송수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는 고객 체감품질과 네트워크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함께 노력한 네트워크 분야 협력사를 초청해 '2024 네트워크 우수 협력사 시상식'을 개최했다. LG유플러스는 네트워크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해 노력한 협력사의 성과를 공유하고, 동반성장으로 나아가기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매년 시상식을 개최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14일 오후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권준혁 네트워크부문장(부사장)을 비롯한 LG유플러스 임직원들과 18개 우수협력사, 13개 특별 공로협력사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우수 협력사를 선정하기 위해 LG유플러스는 5개 분야(IP·전원/환경·중계기·전송·SW)에서 우수한 역량을 보유한 장비 협력사 6곳과 유·무선 분야별 시공능력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협력사 12곳을 각각 선정했다. 또한 LG유플러스는 △네트워크 보안망 구축 △적기 서비스 제공 및 장애대응 △교통 인프라 구간 개선에 기여한 협력사 13곳에게도 특별공로상을 수여했다. LG유플러스는 앞으로도 협력사들의 역량 개발을 지원하고 나아가 고객 체감품질을 강화하기 위해 이 같은 동반성장 프로그램을 강화해나갈 계획이다. 권준혁 LG유플러스 네트워크부문장(
[더구루=홍성일 기자] LG유플러스가 일본 통신장비 업체 미디어 링크스(メディアリンクス)와 손잡고 한국마사회 영상 전송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 네트워크 구축에 나섰다. 12일 미디어 링크스에 다르면 신형 IP 게이트웨이 장비 익스센드(Xscend)를 LG유플러스에 공급한다. 미디어 링크스는 이번 공급으로 익스센드를 처음으로 한국에 공급하게 됐다. 미디어 링크스는 익스센드 외에도 소형 IP 전송장치인 MDP3020도 함께 공급,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을 지원한다. LG유플러스는 익스센드를 한국마사회 4K(UHD) 영상 전송 IP네트워크 구축 사업에 투입한다. 해당 사업은 한국마사회가 관리하는 전국 3곳 경마장, 26개 장외발매소 등에 4K 영상을 전송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이번 사업으로 IP 네트워크가 구축되면 향후 등장할 최신 영상 압축 기술, 각종 IP 포맷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디어 링크스 측은 "향후 한국 협력업체와 대리점을 통해 경륜 등의 차세대 영상 네트워크 구축에도 장비 공급을 타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디어 링크스는 1964년 설립된 방송 콘텐츠 IP 전송 솔루
◇SK텔레콤 SK텔레콤(이하 SKT)이 'SK AI 서밋 2024'에서 글로벌향 인공지능(AI) 에이전트 '에스터(A*, Aster)'를 최초 공개하고 글로벌 AI 서비스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에스터는 단순 질의 응답, 검색을 넘어 사용자의 요청에 대해 스스로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완결적으로 수행하는 '에이전틱 AI(Agentic AI)'를 지향한다. 에스터는 올해 클로즈 베타 테스트(Closed Beta Test)를 거쳐 내년 북미 시장 출시를 시작으로 글로벌 진출을 모색할 계획이다. 에스터는 사용자와의 대화를 통해 의도를 명확화하고, 할 일(task) 목록을 생성, Sub-agent 연계까지의 과정을 유기적으로 거친다. 예를 들어 "이번 주말 파티를 위한 저녁 준비를 도와줘"와 같이 요청하면 '치킨을 활용한 샐러드 요리와 칠면조 야채 볶음 중 어떤 것을 원하는지' 등의 대화를 통해 의도를 명확화 한다. 이후 알맞은 레시피를 전달하고 준비물, 요리 순서 등 할 일 목록을 세분화해 스케줄링과 필요한 식품을 구매할 수 있는 서비스까지 연계해준다. 에스터가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핵심 가치는 △쉽고 간편한 계획 수립(Planning Made Easy)
[더구루=홍성일 기자] 방한한 페루 교통통신부 대표단이 SK텔레콤(SKT) 미래기술체험관 '티움(T.um)'을 찾았다. 대표단은 SKT의 인공지능(AI), 5G 기술력을 확인하고 통신 분야 협력을 검토하기로 했다. 8일 페루 정부에 따르면 카를라 소사(Carla Sosa) 교통통신부 차관이 이끄는 대표단이 SKT 본사에 위치한 ICT 체험관 티움과 분당 네이버 1784 등을 잇달아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지난달 30일 개최된 제4차 한-중남미 디지털 장관회의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티움은 SKT의 기술력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다양한 ICT 체험이 가능하다. 티움은 '싹을 틔우다'라는 뜻의 순우리말이다. 네이버 1784는 네이버의 제2사옥으로 세계 최초 로봇 친화형 건축물로 설계됐다. 1784는 주소(178-4번지)에서 시작된 프로젝트명으로 1784년 산업혁명이 시작된 해의 뜻을 살려 사옥명으로 확정된 바 있다. 대표단은 티움과 네이버 1784를 찾아 5G 통신을 비롯해 AI, 로봇공학, 가상현실, 자율주행, 스마트시티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미래 기술을 체험했다. 페루 정부는 5G 커버리지(적용 범위)를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펼치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챗GPT를 활용한 '지브리 스타일 사진 만들기'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오픈AI 인프라에 심각한 부담이 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오픈AI는 과부화가 지속될 시 신규 서비스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료기사코드]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챗GPT 이미지 변환에 컴퓨팅 자원을 집중하면서 신규 기능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며 "일부 기능은 중단되고 서비스가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달 28일에도 "사람들이 챗GPT로 즐거워하고 있지만 우리의 GPU는 녹아내리고 있다"며 인프라 과부화 문제를 알린 바 있다. 오픈AI 인프라가 과부화된 배경에는 지난달 25일 출시된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이 있다. 해당 모델 출시 직후 전세계 이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변환하기 시작한 것. 이용자들은 지브리 외에도 픽사와 디즈니, 심슨, 명탐정 코난, 짱구는 못말려 스타일로 사진을 변경하고 있다. 문제는 해당 기능이 전세계적인 입소문을 타면서 신규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이다. 알트만 CEO는 지난달 31일 "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IT기업 HCL테크놀로지스(HCLTech, 이하 HCL테크)가 삼성전자 차세대 반도체 파운드리 생태계 ‘SAFE™(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 프로그램에 합류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HCL테크는 삼성전자 SAFE™ 프로그램의 ‘설계 솔루션 파트너(Design Solution Partner, DSP)’로 선정됐다. SAFE™ 프로그램은 반도체 설계 회사가 삼성전자 첨단 반도체 공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파트너십 생태계다. △전자설계자동화(EDA) △설계 솔루션·서비스 △지적재산권(IP) △클라우드 솔루션 등 반도체 설계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HCL테크는 삼성전자 고객에게 맞춤형 반도체(ASIC) 설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규 반도체 기술의 조속한 개발·출시를 돕고, 반도체 설계·생산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삼성전자는 HCL테크 엔지니어에게 최신 반도체 기술과 관련된 전문 교육도 제공할 예정이다. 고객 맞춤형 반도체 설계 프로젝트(턴키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 또한 병행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HCL테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