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싱가포르투자청(GIC)이 영국 쇼핑몰 지분을 헐값에 매각했다. 글로벌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로 영국 상업용 부동산의 추락이 장기화하는 모습이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GIC는 영국 런던 인근 켄트주(州) 소재 블루워터 쇼핑센터 지분 17.5%를 1억2000만 파운드(약 2100억원)에 매각했다. GIC는 앞서 지난 2005년 이 쇼핑몰 지분을 3억1800만 파운드(약 5600억원)에 인수했다. 인수가 대비 62% 손해를 보고 판 것이다. 블루워터 쇼핑센터는 영국 런던 및 인근 지역에서 다섯 번째로 큰 쇼핑몰이다. 전체면적 16만7200㎡ 규모로, 300여개 소매점 및 식음료 매장이 입점해 있다. 전 세계적으로 금리 인하가 지연되면서 글로벌 상업용 부동산 시장이 크게 위축된 상황이다. 특히 영국 부동산 시장이 직격탄을 맞으며 부동산 가치가 급락했다. 중국 부동산 업체 청케이그룹은 올해 초 런던 카나리워프의 대형 빌딩 파이브처칠플레이스를 1억1000만 파운드에 매각했다. 지난 2017년 이 건물을 2억7000만 파운드에 매입했던 것과 비교해 60% 가깝게 손해를 봤다. 국내 자산운용사 베스타스자산운용은 작년 12월 영국 런던 샤프
[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공공투자기금(PIF)이 중국계 투자지주사 홍콩차오샹그룹(Hong Kong ChaoShang Group)에 최대 7000억원을 투자한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중국 간 밀월 관계가 더욱 끈끈해지는 모습이다. 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PIF와 차오샹그룹은 최대 5억 달러(약 6910억원) 규모 잠재적 투자를 위한 비구속적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투자 방식은 전환사채 1억 달러와 대출 4억 달러로 구성됐다. PIF가 전액 자금을 조달할 예정으로 향후 3개월 이내에 완료할 계획이다. 차오샹그룹은 홍콩에 기반을 둔 투자지주사다. 중국 본토와 홍콩에서 트레이딩, 대출, 팩토링, 금융리스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중국은 최근 밀월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지난 2022년 12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가 정상회담을 진행한 것을 계기로 경제 협력을 확대하는 중이다. 양국은 지난해 11월 500억 위안 규모로 양국 간 첫 통화 스와프 협정에 서명했다. 통화 스와프는 서로 다른 통화를 미리 약정된 환율에 따라 맞교환하는 외환 거래를 말한다. 또 같은 달 홍콩 증시에 아시아 처음으로
[더구루=정등용 기자] 국내 대체육 스타트업 이노하스(Innohas)가 베트남에서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동남아시아 시장 확대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나캐피탈 벤처스(VinaCapital Ventures)는 2일(현지시간) 이노하스의 시리즈A-3 투자 유치를 주도해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을 촉진하게 됐다고 발표했다. 비나캐피탈 벤처스는 소비자 건강과 환경 지속 가능성, 동물 복지와 관련된 문제를 중요하게 보고 이번 투자를 결정했다. 이노하스의 혁신적인 솔루션이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2021년 설립된 이노하스는 대두콩·완두콩·쌀가루·밀 등 자연 유래 재료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사용해 대체육 제품을 제조·판매하는 업체다. 지난해에는 매출액 100억원을 돌파했는데 이는 전년 대비 90% 증가한 수치다. 매출 대부분은 대기업과의 협업을 통한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제조사개발생산(ODM) 판매와 자체 브랜드 '썬릿푸즈(Sunlit Foods)'에서 나오고 있다. 썬릿푸즈는 △미국 △캐나다 △프랑스 △독일 △영국 △남아프리카공화국 △호주 △네덜란드에 유통되고 있다. 이노하스 제품은 베트남과 미국 등 주요 글로벌
[더구루=홍성환 기자] 네이버의 벤처 투자를 이끈 박용정 네이버 투자디렉터가 네이버 D2SF에 새로 합류했다.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유망 투자처를 찾는다. 4일 관련 업계 및 따르면 박용정 투자디렉터는 이달 초 미국 캘리포니아주(州)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네이버 D2SF 현지 지사 책임자로 선임됐다. 박용정 투자디렉터는 미국 노스웨스턴대에서 학사 학위를, 케임브리지대에서 경영학석사(MBA) 학위를 받았다. 그동안 벤처캐피털(VC) 업계에서 다양한 경험을 쌓았고 지난 2018년 6월 네이버에 합류했다. 네이버에 입사한 이후 DST글로벌·세쿼이아캐피탈·라이트스피트벤처스·버텍스벤처스·GFT벤처스 등 글로벌 VC가 조성한 벤처펀드의 출자자(LP)로 참여하는 것을 이끌었다. 아울러 포스퀘어·브랜디·포켓FM·오늘의집 등 유망 스타트업의 직접 투자도 주도했다. 네이버 D2SF는 유망 스타트업 육성을 위해 지난 2015년 설립한 투자조직이다. 뛰어난 기술을 가진 스타트업에 투자해 성장을 돕고, 네이버와의 시너지를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드투자 비중만 약 80%에 달한다. 딥테크 기업 발굴이 강점으로 꼽힌다. 특히 네이버 사업부와 시너지가 날 수 있는 딥테크 기업을 주력
[더구루=홍성환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만든 샘 알트만이 주도하는 암호화폐 프로젝트 월드코인에 애플·구글·메타·테슬라 등 빅테크 기업 출신 전문가들이 대거 합류했다. [유료기사코드]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월드코인 프로젝트의 핵심 사업자 툴스포휴머니티(Tools for Humanity)는 최근 애플·구글·메타·테슬라 출신 임원 4명을 새로 선임했다. 애플·메타·테슬라 등에서 임원을 역임한 리치 힐리가 최고장치책임자(CDO)를 맡는다. 그는 월드코인 프로젝트의 핵심인 홍채 인식 기구 '오브(Orb)'의 디자인과 성능, 전급성 등을 담당한다. 또 X(옛 트위터) 출신의 데미언 키어런이 최고개인정보책임자(CPO)로 선임됐다. 구글 안드로이드 보안 책임자를 역임했던 에이드리언 루드윅은 최고보안정보책임자(CISO)로 영입됐다. 구글 페이먼츠 팀을 이끌었던 아제이 파텔은 월드ID 책임자를 맡는다. 월드코인은 샘 알트만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개발한 안구 스캔 암호화폐 프로젝트다. 지난해 7월 공식 출범했다. 월드코인 프로젝트의 핵심은 실제 인간만이 가질 수 있는 계정인 월드 아이디(ID)다. 우선 오브라는 홍채 인식 기구를 통해 개인의 홍채를
[더구루=홍성환 기자]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약 209조원 규모 펀드에 새로운 탄소정책을 적용할 방침이다. 3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블랙록은 엄격한 기후 목표에 부합하도록 설계한 추가 스크린을 위해 1500억 달러(약 209조원) 규모의 자산을 보유한 펀드를 선정했다. 이번 결정은 우선 유럽에서 운용 중인 83개 펀드에 적용한다. 이어 미국 및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블랙록은 "점점 더 많은 고객이 저탄소 경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재정적 위험을 최소화하고 투자 기회를 극대화하고자 한다"면서 "지속가능하고 전환적인 투자에 관심이 있으며 일부는 의무적으로 탈탄소화를 투자 목표에 포함한다"고 설명했다. 블랙록은 앞서 지난 2022년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세운 기업에 대한 투자 비율을 2030년까지 75%로 확대하는 내용의 '‘블랙록의 2030년 탄소중립 선언'을 발표한 바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넥스트가 영지식증명(zero-knowledge) 플랫폼 파이스퀘어드(Pi Squared)에 투자했다. 파이스퀘어드는 3일 1250만 달러(약 170억원) 규모 시드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폴리체인캐피탈이 대표로 주선했다. 삼성넥스트와 ABCDE, 블록셀러레이트, 제네레이티브벤처스, 로봇벤처스 등이 투자했다. 아울러 이더리움재단 소속 연구원 저스틴 드레이크, 아이겐레이어 설립자 스리람 칸난 등이 엔젤 투자자로 참여했다. 파이스퀘어드는 미국 일리노이주(州) 시카고에 있는 일리노이대 컴퓨터과학과 그리고레 로슈 교수가 설립한 스타트업이다. 영지식증명 기술을 활용해 이른바 '신뢰 없는 원격 컴퓨팅(trustless remote computing)'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 영지식증명은 거래 상대방에게 어떠한 정보도 제공하지 않은 채 자신이 해당 정보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을 말한다. 파이스퀘어드는 우선 블록체인 거래를 위한 솔루션인 '유니버셜 결제 레이어(Universal Settlement Layer)' 선보일 예정이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동계 국부펀드가 올해 글로벌 투자 시장에서 위세를 떨쳤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많은 국부펀드가 지출을 줄인 가운데 오일머니의 영향력이 더욱 커진 모습이다. 2일 국부펀드 연구기관 글로벌SWF에 따르면 사우다아리바아 공공투자기금(PIF), 아랍에미리트(UAE) 아부다비투자청(ADIA), 카타르투자청(QIA) 등 중동계 국부펀드는 올해 상반기 520억 달러(약 72조2280억원)를 집행했다. 이는 전 세계 국부펀드의 총지출액 960억 달러(약 133조3440억원) 가운데 54%를 차지하는 수치로, 2009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중동계 국부펀드 비중은 작년 하반기 39%였다. 다만 투자액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SWF는 "시장 불확실성 확대로 많은 국부펀드가 신중한 입장을 취하고 있는 가운데 중동계 국부펀드는 석유 부문에서 상당한 수입을 거두면서 그 어느 때보다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기관별로 살펴보면 사우디아라비아 PIF는 상반기 102억 달러(약 14조1620억원)를 투자하며 전 세계 국부펀드 가운데 1위를 차지했다. 캐나다연금투자위원회(CPP)가 99억 달러(약 13조7430억원)로
[더구루=홍성환 기자]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글로벌 대체자산 데이터 분석기관인 프레킨(Preqin)을 인수한다. 대체자산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와 관련된 데이터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유료기사코드]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블랙록과 프레킨은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블랙록은 32억 달러(약 4조4300억원)을 투입해 프레킨 지분 100%를 인수할 예정이다. 올해 말까지 인수 작업을 완료한다는 목표다. 2003년에 설립한 프레킨은 대체자산 관련 데이터·통계·전망을 전문으로 다루는 기업이다. 펀드 19만개, 펀드 매니저 6만명, 사모시장 투자자 3만명 등에게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3년간 20% 이상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올해 2억4000만 달러(약 3300억원)의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블랙록은 프레킨 인수를 통해 자체 개발한 플랫폼 '알라딘(Aladdin)'의 기능을 개선할 것으로 기대했다. 이는 기관투자자 고객의 투자를 지원하는 플랫폼이다. 1000여곳 기관투자자에 포트폴리오를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 도구 모음을 제공하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삼성그룹의 벤처캐피털(CVC) 삼성벤처투자가 이스라엘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일루멕스(Illumex)에 투자했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벤처투자는 일루멕스의 1300만 달러(약 180억원) 규모 시드 투자 라운드를 공동으로 주도했다. 이번 펀딩은 삼성벤처투자와 함께 카르두멘 캐피탈, 암독스 벤처스가 주도했으며 ICI 펀드, 지베 벤처스, 아이언 네이션 펀드, 진노사르 벤처스, 아이콘 펀드, 투데이 벤처스 및 다수의 엔젤 투자자들이 참여했다. 삼성벤처투자의 투자를 유치한 일루멕스는 기업의 데이터를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에 최적화하도록 구조화할 수 있는 제너레이티브 시맨틱 패브릭 솔루션Generative Semantic Fabric, GSF)을 개발했다. 일루멕스의 GSF를 활용하면 기업들은 자신들이 보유한 데이터를 구조화해 거대언어모델(LLM)에 추가, 더욱 정확한 맞춤형 챗봇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루멕스는 현재 테바, 카슨 등의 기업이 자사의 솔루션을 활용해 AI를 준비하고 있으며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클라우드, AWS와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일루멕스 관계자는 "GSF는 사용자가 완전히 신뢰할 수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전자 산하 전략혁신센터(SSIC)가 운영하는 삼성카탈리스트펀드가 엣지 인공지능(AI)을 위한 솔루션 기업 악셀레라AI(Axelera AI)에 투자했다. 악셀레라AI는 1일 6800만 달러(약 940억원) 규모 시리즈B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누적 투자액은 1억2000만 달러(약 1660억원)에 이르게 됐다. 삼성카탈리스트펀드를 비롯해 △인베스트-NL 딥테크 펀드(Invest-NL Deep Tech Fund) △유럽 이노베이션 카운실 펀드(European Innovation Council Fund) △이노베이션 인더스트리스 스트레티직 파트너스 펀드(Industries Strategic Partners Fund) 등이 신규 투자자로 참여했다. 악셀레라의 이번 라운드는 그동안 유럽 팹리스 반도체 산업 내에서 이뤄진 시리즈B 라운드 가운데 가장 큰 규모로 초과 모집된 라운드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2021년 설립한 악셀레라AI는 네덜란드 에인트호번 하이테크 캠퍼스 AI 혁신 셑너에 기반을 둔 스타트업이다. 컴퓨터 시각, 생성형 AI 애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해 AI 추론(AI inference)을 위한 특수 목적 AI
[더구루=정등용 기자] GS그룹이 스마트건설 기술 확보에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 프롭테크(부동산 정보기술) 스타트업 클리어스토리(Clearstory)에 추가 투자하면서다. 클리어스토리는 27일(현지시간) 프루던스(Prudence)가 주도한 시리즈B 펀딩 라운드를 통해 1600만 달러(약 220억원)의 자금을 조달했다고 밝혔다. GS그룹의 북미지역 투자를 담당하는 CVC(기업형벤처캐피털)인 GS퓨처스는 클리어스토리의 기존 투자자로 이번 펀딩 라운드에 참여했다. 이 밖에 잭슨 스퀘어 벤처스, 빌딩 벤처스, 클라우드 앱스 캐피탈 파트너스 등이 기존 투자자로 포함됐으며 인더스트리 벤처스가 신규 투자자로 합류했다. 클리어스토리는 이번 투자 자금을 플랫폼 확장에 사용하는 동시에 성장과 혁신을 주도할 인재를 영입하는 데 투입한다는 계획이다. 클리어스토리는 변경 주문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통해 건설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클리어스토리 플랫폼은 종합 건설업체의 위험을 줄이는 동시에 전문 계약업체가 대금을 더 빨리 받고 팀이 한 곳에서 실시간 데이터에 액세스 해 재무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이 플랫폼은 자동화를 통해 관리 부담을 줄이고 있으며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의 창업자 빌 게이츠가 설립한 미국 소형모듈원자로(SMR) 스타트업 '테라파워'가 미국 엔지니어링·건설·프로젝트 관리 회사 'KBR'과 손잡았다. 테라파워는 KBR과 협력을 강화해 영국 원전 시장 진출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테라파워는 15일(현지시간) KBR과 영국에 소듐냉각고속로(SFR) 발전 시스템 '나트륨(Natrium®)'을 구축하는데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테라파워와 KBR은 올해 3월 나트륨 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제휴를 체결한 바 있다. 나트륨은 액체 나트륨(소듐)을 냉각재로 사용하는 SMR과 용융염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를 통합해 만들어졌다. 소듐은 끓는점이 880℃로 기존 냉각제인 물보다 8배 이상 높아 많은 열을 흡수하면서 발전 출력을 높일 수 있다. 안정적이고 핵폐기물도 적다는 장점을 지녔다. 용융염 기반 에너지 저장 시스템은 원자로에서 생성된 열을 용융염 형태로 저장한다. 용융염은 가열된 상태로 보관되며, 추가 에너지가 필요할시 증기를 가열하는데 사용된다. 이를 통해 나트륨 원자로 전력 출력인 345MWe보다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할 때 500MWe까지 발전 용량을 늘릴 수 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스타트업 '앰프리우스 테크놀로지(Amprius Technologies, 이하 앰프리우스)'가 약 6개월 만에 직전 수주 대비 3배 이상 커진 규모의 무인항공기(UAS)용 배터리 공급 계약을 따냈다. 기존 고객과의 신뢰를 기반으로 신규 수주를 확보하며 고에너지밀도 실리콘 음극 배터리 기술의 우수성을 입증, 글로벌 UAS 시장 점유율 확대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앰프리우스는 15일(현지시간) 익명의 UAS 제조업체와 3500만 달러 규모의 'SiCore' 배터리셀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수주는 지난 2월 체결한 1500만 달러 규모 수주의 후속 주문으로, 같은 고객사와의 지속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본보 2025년 2월 28일 참고 '현대공업 투자' 美 앰프리우스, 무인항공기용 실리콘 음극재 배터리 수주> 앰프리우스가 공급하는 SiCore는 고정된 날개를 이용해 비행하는 UAS에 장착된다. 군용 장거리 감시·정찰 드론뿐만 아니라 재난 대응, 탐색·구조, 대규모 농업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 SiCore가 높은 에너지밀도를 갖춰 UAS 무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