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국내 부동산 시장에 대한 유동성 공급이 축소되면서 사모대출펀드에 자금이 몰리고 있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국내외 금융기관들이 부동산 사모대출펀드를 잇따라 조성하고 있다. 사모대출펀드는 부동산 자산을 담보로 대출하는 펀드를 말한다. 지분 투자보다는 기대 수익률이 낮지만 부동산 담보를 통해 손실 위험을 줄이는 구조다. 최근 은행과 증권사가 부동산 PF를 축소하면서 사모대출 수요가 늘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 최대 부동산 자산운용사 ESR(e-Shang Redwood Group)은 지난달 3억2500만 달러 규모로 한국 부동산 사모대출펀드를 조성했다. ESR이 한국에서 부동산 사모대출펀드를 선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ESR은 물류센터·데이터센터·인프라·에너지 전환 등 분야의 부동산 자산에 초점을 맞춰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홍콩계 투자펀드 운용사 SC로위도 앞서 지난 9월 한국 부동산 부문에 초점을 맞춘 사모대출펀드를 설립했다. 특히 세계 최대 국부펀드 가운데 하나인 아부다비투자청(ADIA)이 해당 펀드에 출자해 주목을 받았다. SC로위는 홍콩에 기반을 둔 스페셜 시츄에이션 투자 전문
[더구루=정등용 기자] 다올투자증권 태국법인이 이탈리아-태국개발공사(ITD)의 시멘트 자회사 지분 매각이 ITD 투자 금융사에 호재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다올투자증권 태국법인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ITD의 시멘트 자회사 지분 매각을 평가했다. 다올투자증권 태국법인은 ITD의 지분 매각이 채권 금융기관인 BBL, KBANK, SCB에 유리한 신호가 될 것이라고 진단했다. ITD의 자산 처분이 이들 채권 기관에 대한 채무 부담을 부분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보고서에 따르면 ITD는 BBL, KBANK, SCB에 각각 80억 바트(약 3246억원), 60억 바트(약 2434억원), 60억 바트의 부채를 보유하고 있다. 각 금융기관은 총 부채의 50%를 담보로 보유하고 있다. 다올투자증권 태국법인은 “BBL이 ITD를 3단계 채무자(NPL)로 분류한 상황에서 점진적 채무 상환이 금융기관에 가장 유리할 수 있으며, 향후 채무자 재분류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앞서 태국증권거래소는 지난 25일(현지시간) ITD 이사회의 ITD 시멘테이션 인디아 주식 처분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ITD는 ITD 시멘테이션 인디아 보유
[더구루=정등용 기자] 국내 시중은행들이 비대면 대출을 한시적으로 중단하면서 가계대출 관리에 고삐를 죄고 있다. 하반기에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이어지자 대출 총량 관리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10일 은행권에 따르면 IBK기업은행은 지난달 29일부터 비대면 대출 3개 상품(i-ONE 직장인스마트론·i-ONE 주택담보대출·i-ONE 전세대출)의 신규 판매를 중단했다. 가계대출의 한시적 총량 관리를 위한 차원에서다. 우리은행은 내달 8일까지 비대면 주택담보대출(우리WON주택대출)을 취급하지 않기로 했다. 전세자금대출 상품(우리WONM전세대출·우리스마트전세론·iTouch 전세론)의 판매도 중단했다. 이와 함께 우리은행은 신용대출 상품별 우대금리도 최고 0.5%p(포인트) 줄였다. 우대금리를 줄이면 대출금리가 오르는 효과가 있다. 지난달 30일부터는 비대면 채널을 통한 신용대출 상품 판매도 일부 중단했다. 신한은행도 쏠(SOL)뱅크 비대면 대출상품 판매를 한시적으로 중단하기로 했다. 대상은 비대면 가계대출 상품 전체로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전세대출이 모두 포함한다. 다만 △예금담보 △청약저축담보대출 △TOPS 펀드담보대출수신담보대출 같은 상생대환대출은 기존대로 신
[더구루=정등용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폐지에 찬성 입장을 보이면서 국내 증시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진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와 여당이 밀어붙이는 금투세 폐지에 동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금투세는 국내 주식 투자로 얻은 이익이 연 5000만원을 초과할 경우(채권·펀드·파생상품 등은 연 250만원 초과) 초과액의 20%(3억원 초과분은 25%)를 세금으로 매기는 제도다. 이 제도는 문재인 정부 시절인 지난 2020년 여야 합의로 통과돼 2023년 도입될 예정이었지만, 시스템 미비와 투자자 시장 이탈 가능성 등의 이유로 2년 유예돼 내년 1월부터 시행될 계획이었다. 정부와 여당은 그동안 고액 투자자 이탈에 따른 국내 주식시장 침체를 우려해 금투세 폐지를 주장해왔다. 하지만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아 시행 여부에 대한 논쟁이 지속돼왔다. 투자자들 사이에서 금투세는 증시를 발목잡는 요인 중 하나로 지적돼왔다. 실제 미국과 유럽, 일본 등의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가운데 코스피는 지난 2021년 6월 고점(3316.08)을 찍은 이후 21
[더구루=정등용 기자] HSBC와 스탠다드차타드가 포드가 투자하는 인도네시아 니켈 공장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한다. 이 공장에는 세계 최대 니켈 생산 업체 중 하나인 화유 코발트(Huayou Cobalt)와 브라질 광산업체 발레(Vale)가 협력하고 있다. 블룸버그는 7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화유 코발트가 인도네시아 니켈 공장 프로젝트 건설을 위해 HSBC와 스탠다드차타드로부터 27억 달러(약 3조7400억원)의 대출을 지원 받을 것이라고 보도했다. 소식통은 HSBC와 스탠다드차타드가 다른 은행들에게도 해당 인도네시아 니켈 공장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도록 요청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포드와 화유 코발트, 발레 인도네시아가 참여 중인 니켈 공장 프로젝트는 인도네시아 남동부 포말라 지역에 니켈습식제련(High-Pressure Acid Leach·HPAL) 공장을 건설하는 것으로 오는 2026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최대 4만t(톤)의 니켈 황화물이 생산될 것으로 예상되며 전기차에 사용할 수 있는 갈철석 채굴 가능성도 연구되고 있다. 포드는 지난해 3월 화유 코발트, 발레 등과 함께 해당 니켈습식제련 공장에 45억 달러(약 6조1618억원)를 투자하겠
[더구루=정등용 기자] 투자전문매체 벤징가가 리비안에 대한 분석 보고서를 공개했다. 투자자들의 낙관적 전망을 예상하는 가운데 평균 목표주가를 13.2달러로 제시했다. 벤징가는 7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대형 투자자들이 리비안에 대해 낙관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며 “지난 분기 동안 대형 트레이더들은 리비안의 가격 범위를 10~20달러 범위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벤징가는 큰손 트레이더들의 전반적인 심리가 강세 66%, 약세 33%로 나뉘어져 있다고 진단했다. 이와 함께 벤징가는 리비안에 대한 흔치 않은 옵션 거래 9건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총 금액 15만2300달러(약 2억1000만원) 규모의 풋 옵션 3건과 23만2551달러(약 3억2200만원) 규모의 콜 옵션 6건 등이다. 유동성 측면에서 리비안 옵션 거래의 평균 미청산계약은 14125.0이고 총 거래량은 5139.00이라고 덧붙였다. 벤징가는 지난 한 달 동안 총 5명의 전문 애널리스트가 리비안에 대해 평가한 의견을 공개하며 평균 목표주가를 13.2달러로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구겐하임은 리비안에 대해 매수 등급을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18달러로 유지했다. JP모건은 비중 축소 등급을 유지하며 목
[더구루=김은비 기자] 구글 자율주행 자회사 웨이모가 포드 시가총액을 넘어섰다. 자율주행 서비스업체인 웨이모가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서 전통 완성차 기업의 기업가치를 맹추격하는 모양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웨이모의 시가총액은 450억 달러(약 62조2485억원)를 돌파했다. 이는 글로벌 완성차 판매 순위 6위인 포드 시가총액(421억 달러)를 웃돈다. 웨이모는 상업용 승차 공유 서비스인 '웨이모 원(Waymo One)'과 인공지능(AI) 기반의 자율주행 기술군 '웨이모 드라이버(Waymo Driver)'를 중심으로 자율주행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현재 샌프란시스코, 피닉스, 로스앤젤레스 등 미국 주요 도시에서 '웨이모 원' 서비스가 주당 10만 회 이상 이용되는 성과를 거뒀다. 웨이모의 이같은 성장은 최근 시리즈 C 라운드 펀딩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면서 가능했다. 웨이모는 지난달 56억 달러(약 7조 7532억 원) 규모의 시리즈 C 라운드 투자를 유치하며 기업 가치를 대폭 끌어올렸다. 해당 펀딩에는 모회사인 알파벳을 비롯해 실리콘밸리의 주요 벤처캐피털이 참여했다. 타 기업과의 파트너십도 사업 확장에 한 몫했다. 웨이모는 이달 초 현대차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한은행이 베트남에서 공격적인 오프라인 네트워크 확장을 이어간다. 고객 접점을 넓혀 현지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한은행 베트남법인은 이달 중으로 바리어붕따우 지역에 푸미지멈 산하 붕따우 거래사무소를 오픈할 예정이다. 붕따우 거래사무소는 신한은행 베트남법인의 54번째 오프라인 영업점이다. 바리어붕따우성은 베트남 동남부 해안에 위치한 경제 항만도시다. 철강산업을 기반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포스코·효성 등이 진출해 있다. 신한은행은 1993년 베트남 사무소를 설립하며 처음 진출했다. 2009년 현지법인으로 전환한 이후 현지 은행은 인수하며 사업을 꾸준히 확대했다. 신한은행은 베트남 내 외국계 은행 중 가장 많은 오프라인 네트워크를 운영 중이며 2022년 기준 총자산·순이익 등 재무실적 부문 외국계 은행 1위를 달성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베트남투자개발은행(BIDV)이 베트남 은행 최초로 자산 1000억 달러(약 139조7000억원)를 돌파했다. 하나금융그룹의 BIDV 투자를 진두지휘 한 함영주 회장의 선구안이 재 주목 받고 있다. 7일 BIDV의 올해 3분기 영업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총 자산은 1000억 달러를 넘어섰다. 베트남 은행 중 최초 사례다. 3분기 누적 세전이익도 22조470억 동(약 1조2125억원)에 달해 비엣콤뱅크와 테크콤뱅크에 이어 현지 업계 3위를 차지했다. 특히 소매·해외사업 부문에서 10%의 성장세를 이뤘다. BIDV는 이미 지난해 상장 이후 역대 최고 실적을 달성한 바 있다. 지난해 세전이익은 27조6500억 동(약 1조5200억원)으로 전년 대비 19.4% 증가한 수치다. 이처럼 BIDV가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자 하나금융의 투자도 주목 받고 있다. 하나금융은 지난 2019년 함 회장의 주도 아래 BIDV에 1조444억원을 투자, 지분 15%를 취득한 바 있다. 하나금융은 소수지분 투자 방식을 통해 BIDV 지분을 인수했다. 이는 하나금융의 글로벌 진출 공식으로 현지 금융사를 통째로 사지 않고 일부 지분 인수를 통해 현지 진출 교두보를 마련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국투자파트너스와 KB인베스트먼트, 현대차가 이스라엘 음성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카르돔(Kardome)에 투자했다. 음성 AI 시장이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투자 가치가 충분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카르돔은 7일 1000만 달러(약 140억원) 규모 시리즈A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한국투자파트너스가 주도했다. KB인베스트먼트와 현대차가 투자했다. 이외에 넥스트기어벤처스·허니스톤벤처스·제이-벤처스·탈라르·테크스타스 등이 참여했다. 카트돔은 위치 기반 음성 인식 AI 기술을 전문으로 하는 스타트업이다. 위치 기반 및 노이즈 감소 공간 음향 음성 AI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카르돔은 이번에 확보한 자금으로 웨어러블 및 기타 컴퓨팅 장치의 공간 음향 소프트웨어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투자를 계기로 한국지사를 설립했다. 카르돔은 현대차와 협업을 통해 차량 내 음성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발전시킬 계획이다. 음성 AI는 문장·이미지·음성을 포함한 다양한 AI를 연동해 사용하는 멀티모달 시대가 본격화하면 반드시 필요한 AI로 꼽힌다. 시장조사업체 모도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음성인식 시장 규모는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리함에 따라 리플(XRP)·솔라나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가상자산 분야 규제를 완화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어서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으로 주요 암호화폐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가운데 XRP와 솔라나가 높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코인마켓캡에서 이날 오전 7시 현재 솔라나 가격은 189.19달러로 24시간 전 대비 14% 이상 뛰었다. XRP 가격은 0.5444달러로 6% 넘게 상승했다. 이는 트럼프 전 대통령이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를 완화할 것이란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대선 유세 기간 가상화폐 친화적인 입장을 거듭 표명해 왔다. 실제로 지난 7월 테네시주 내슈빌에서 열린 '비트코인 2024 콘퍼런스'에서 "미국이 지구의 가상화폐 수도이자 세계의 비트코인 슈퍼파워가 되도록 하겠다"면서 "가상화폐 산업을 적극 육성하는 친비트코인 대통령이 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이에 XRP·솔라나 ETF 승인 기대감도 부풀어오르는 상황이다. 현재 카나리캐피탈, 비트와이트, 21셰어즈 등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이 KT 지분을 확대했다. 밸류업 훈풍으로 추가 상승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진다. 6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KT 13F 보고서에 따르면 로베코 인스티튜셔널 자산운용은 올해 3분기 KT 주식 110만1669주를 추가 매입하며 지분을 44% 늘렸다. 이로써 로베코 인스티튜셔널 자산운용은 5549만3000달러(약 767억원) 상당의 KT 주식 360만8115주를 보유하게 됐으며 지분율은 0.70%다. 프라이스 T 로우 어소시에이츠는 올해 1분기 KT 지분을 9% 늘렸다. 지난 분기에는 KT 주식 82만9682주를 추가 매입하며 현재 1억4106만1000달러(약 1950억원) 상당의 KT 주식 1006만1368주를 보유하고 있다. 아카디안 자산운용은 올해 2분기 KT 지분을 245.7% 늘렸다. 지난 분기에 80만4986주를 추가 매입한 후 현재 1547만6000달러(약 214억원) 상당의 KT 주식 113만2607주를 갖고 있다. 나티시스 어드바이저는 2분기 KT 지분을 383.2% 늘렸다. 지난 분기 동안 13만6021주를 추가 매입해 현재 234만5000달러(약 32억원) 상당의 KT 주식 17만1515
[더구루=김형수 기자] 지씨셀 미국 관계사 아티바 바이오테라퓨틱스(Artiva Biotherapeutics·이하 아티바)가 온라인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참가, 투자 유치 기회를 모색한다. 루푸스 신염 치료제 후보물질 '알로NK'(AlloNK) 기술력을 알리고 개별 상담 활동을 통해 투자자들과 소통한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4일 아티바는 오는 7일부터 나흘 동안 열리는 '제24회 연례 니드햄 버추얼 헬스케어 컨퍼런스'(24th Annual Needham Virtual Healthcare Conference·이하 니드햄 컨퍼런스)에 참가한다고 밝혔다. 니드햄 컨퍼런스는 온라인 컨퍼런스로 북미 제약사들이 신약 개발 성과를 소개하는 자리다. 아티바는 니드햄 컨퍼런스를 통해 알로NK 개발 현황을 알리고 기업 투자유치 활동을 펼친다. 지난해 2월 알로NK와 리툭시맙 병용요법에 대한 미국 식품의약국(FDA) 패스트트랙 지정을 획득한 뒤 임상1상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상반기 내 임상1상 시험 초기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다. 알로NK는 제대혈 유래 NK세포 치료제다.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B-NHL) 환자의 B세포를 타깃으로 하는 항체 활성화를 통해 B세포 고갈을
[더구루=홍성일 기자] AMD가 3월 개인용 데스크톱 중앙처리장치(CPU) 판매량에서 인텔을 압도했다. 수익성 측면에서는 격차가 더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텔이 올해 추가로 CPU를 출시하지 않을 가능성이 큰 만큼 AMD의 우위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유료기사코드] 4일 미국 아마존 CPU 리테일 보고서에 따르면 AMD CPU는 올해 3월 총 3만1600개가 판매됐다. 반면 인텔 CPU는 4분의 1 수준인 7500개가 판매되는데 그쳤다. 베스트셀링 톱10 리스트에는 인텔 제품이 2종만 포함됐다. 3월 미국 아마존에서 가장 많이 판매된 CPU는 AMD 라이젠 7 9800X3D로 6000장 가량 판매됐다. 그뒤를 △라이젠 5 5500 △라이젠 7 7800X3D △인텔 코어 i5-12400F △라이젠 5 5600X가 이었다. 인텔 i7-12700K는 10위에 이름을 올렸다. 매출 규모는 AMD가 780만 달러(약 112억원), 인텔이 150만 달러(약 21억5000만원)로 5배 이상 차이가 벌어졌다. 판매대수 차이보다 격차가 벌어진 것. 매출 규모가 벌어진 이유는 인텔 CPU가 구형 모델인 12세대와 13세대를 중심으로 판매됐기 때문이다. 실제 인텔 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