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양자컴퓨터 기업 아이온큐(IonQ)의 스위스 퀀텀 혁신센터가 오는 10월 공개된다. 퀀텀 혁신센터는 아이온큐의 유럽 시장 공략의 전진 기지가 될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스위스 양자컴퓨터 기업 퀀텀바젤(QuantumBasel)은 19일 아이온큐와 공동 추진 중인 퀀텀 혁신센터가 오는 10월 준비를 마칠 것이라고 밝혔다. 아이온큐와 퀀텀바젤은 지난해 6월 퀀텀 혁신센터 설립을 위한 파트너십을 맺었다. 퀀텀 혁신센터는 스위스 혁신 캠퍼스인 업타운바젤(UptownBasel)에 들어설 예정이며 #AQ35와 #AQ64 등 두 개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각 #AQ가 추가될 때마다 퀀텀 알고리즘을 실행하기 위한 유용한 계산 공간은 두 배가 된다. #AQ35는 340억 개 이상의 다양한 가능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으며 #AQ64는 1800경 이상의 다양한 가능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 퀀텀 혁신센터는 인공지능(AI)이나 머신러닝과 같은 복잡한 계산을 개발하는 데 사용될 전망이다. 의약품 생산 등 제약 분야에서도 잠재력을 갖고 있으며 특히 특정 테스트를 위한 동물 실험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평가 받는다. 5년 후엔 의약품 연구·개발 분야
[더구루=홍성일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구글이 생성형 인공지능(AI) 부문에서 자신들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밝혀 눈길을 끌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8일 업계에 따르면 MS는 유럽연합(EU) 반독점 규제당국에 구글이 생성성 AI분야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다고 인전했다. 이번 발언은 지난 1월 유럽위원회가 생성형AI 분야 기술 기업간 경쟁 수준에 대해 시작한 논의에 대한 답변이었다. MS가 구글이 생성형 AI분야에서 경쟁 우위에 있다고 밝힌 것은 구글이 반도체부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까지 모든 AI 기술을 수직적으로 통합하고 있는 유일한 기업일 뿐 아니라 검색, 유튜브 등으로 어떤 기업도 따라올 수 없는 이용자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기 때문이다. 구글은 텐서 프로세싱 유닛(TPU)라고 불리는 자체 AI반도체를 개발하는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데이터 등 모든 것을 자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MS는 EU 반독점 기구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이 부분을 강조하며 "오늘날 칩부터 모바일 앱, 앱스토어까지 모든 AI 계층에서 강점과 독립성을 가지고 수직적으로 통합된 기업은 단 하나, 구글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MS는 구글은 자체적으로 모든
[더구루=홍성일 기자]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기술(테크, Tech) 기업들의 대규모 해고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 2001년 닷컴 버블 붕괴 이어 IT업계에 큰 규모의 감원이 이어지며 이를 대처할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유료기사코드] 18일 기술기업 해고 추적 사이트 '레이오프스.fyi(Layoffs.fyi)'에 따르면 올해에만 총 209개 기술 스타트업이 5만312명을 해고했다. 지난해 1191개 기업이 26만9180명을 해고한데 이어 추가 해고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 대규모 해고는 스타트업들 뿐 아니라 빅테크에서도 진행되고 있다. 수개월간 알파벳,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등이 해고를 단행했다. 재취업 서비스 기업 챌린저, 그레이앤크리스마스(Challenger, Gray & Christmas)는 지난해부터 이어온 기술 기업들의 대규모 해고가 2021년 닷컴 버블 붕괴 당시에 이은 두 번째 규모라고 설명했다. 기술 기업들의 대규모 해고는 지난해와 올해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지난해 벌어진 대규모 해고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벌어진 IT 호황에 이뤄진 대규모 고용과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소비 축소가 결합해 수익성이 악화된 기업들이
[더구루=홍성일 기자] 바둑 인공지능(AI) 알파고(Alphago)를 만들어 전세계를 놀라게 했던 구글 딥마인드(DeepMind)가 인간처럼 게임하는 AI를 공개했다. 딥마인드는 궁극적으로 비선형적인 진행이 특징인 오픈월드 게임에서도 플레이하는 AI모델을 만든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구글 딥마인드는 13일(현지시간) 게임 AI '시마(SIMA)'를 공개했다. 시마는 확장 가능하고(Scalable), 교육 가능한(Instructable) 멀티월드 에이전트(Multiworld Agent)의 약자다. 시마는 기존의 AI를 이용한 비플레이어 캐릭터(NPC, Non Player Character)를 만드는 것이 목표가 아니다. 구글 딥마인드는 시마를 실제로 플레이하는 인간 이용자와 같은 형태로 개발하는 것으로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구글 딥마인드는 헬로우 게임즈, 엠브레이서, 턱시도 랩스, 커피 스테인 등 8개 게임사와 협력해 시마를 훈련시켰다. 구글 딥마인드 연구진은 시마를 노 맨즈 스카이, 티어다운, 발하임, 고트 시뮬레이터 3 등에 참여시켜 게임을 플레이하는 법을 학습시켰다. 이 과정에서 시마가 게임에 접근하는데 별도의 API(Application Pro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에너지부 산하 에임스 국립연구소(Ames National Laboratory)가 자연 상태에서 발생하는 미아사이트(Rh17S15) 샘플에서 비재래식 초전도성(unconventional superconductivity)에 대한 증거를 발견했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에임스 국립연구소 연구진은 미아사이트가 비재래식 초전도체라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비재래식 초전도체는 기존의 재래식 초전도체가 전자쌍이 쿠퍼 쌍이라는 형태를 만들어 전기 저항을 0으로 만들어 전류를 흐르게 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라면 비재래식 초전도체는 전자쌍 외에도 다른 메커니즘이 작용해 초전도성이 발생하는 초전도체를 말한다. 비재래식 초전도체는 기존 초전도체보다 훨씬 높은 온도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크며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연구가 주목받는 것은 기존 비재래식 초전도체의 경우 연구실 안에서만 가능하다고 생각해왔던 것을 반박할 수 있는 광물이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미아사이트에서 초전도성이 확인된다면 자연에서도 비재래식 초전도성이 구현될 수 있다는 의미가 되고, 초전도체에 대한 이해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에임스 국립연구소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이 지난해 사이버 취약점을 식별해낸 버그 바운티(사냥꾼)들에게 역대 두번째 규모의 보상을 지불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기사코드] 구글은 12일(현지시간) 지난해 취약점 보상 프로그램을 통해 68개국 632명에게 총 1000만 달러(약 130억원)를 보상했다고 밝혔다. 이는 역대 최대 보상금을 수여했던 2022년 1200만 달러에 이은 두 번째 기록이다. 1000만 달러 중 340만 달러는 구글의 모바일 운영체제(OS) 안드로이드의 취약점을 발견한 연구원들에게 돌아갔다. 구글은 지난해 버그 바운티 목록에 웨어러블 OS인 '웨어 OS(Wear OS)'도 추가해 웨어러블 생태계 보안 강화에도 나섰다. 생성형 인공지능(AI)도 목록에 포함됐다. 이에 대형언어모델(LLM) 제품에 대한 취약점 감지 이벤트 등이 진행됐고 35건 신고에 8만7000달러의 포상이 주어졌다. 구글은 "보안 커뮤니티와 협업, 혁신, 투명성 증진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구글의 사명은 새로운 위협에 한 발 앞서 대응하고 진화하는 기술에 적응하며 제품 및 서비스의 보안 태세를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공지능(AI) 기업 오픈AI의 최고기술책임자(CTO) 미라 무라티(Mira Murati)가 텍스트 투 비디오(Text To Video) 모델 소라(SORA)의 공식 출시 시기를 언급했다. 오픈AI는 소라의 새로운 기능도 추가로 개발중이다. [유료기사코드] 미라 무라티는 13일(현지시간) 보도된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과의 인터뷰를 통해 "소라의 일반대중 서비스는 2024년 말 출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소라는 오픈AI가 초대한 일부 인원들만이 사용하고 있다. 소라는 프롬프트에 입력된 텍스트를 영상으로 만들어주는 생성형 AI 모델로 최대 1분 길이의 영상을 제작할 수 있다고 한다. 현재 소라는 오픈AI의 방침으로 '제한된 수의 창작자'만 사용할 수 있다. 미라 무라티는 또한 현재 소라와 관련된 추가 개발 사항도 공유했다. 미라 무라티에 따르면 현재 영상만 출력되고 소리는 생성되지 않는 소라에 오디오를 추가하기 위한 개발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제 텍스트-소리(Text To Sound) 모델을 연구하는 AI스타트업 일레븐랩스(ElevenLabs)는 소라가 생성한 영상에 소리를 입힌 클립을 공개하기도 했다. 오디오 기능 외에도
[더구루=홍성일 기자] 구글 소속 보안 엔지니어들이 양자 보안 알고리즘 도입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나섰다. 이들은 기존 암호체계가 10년 안에 무력화 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유료기사코드] 버그헌터스 구글 닷컴은 11일(현지시간) 구글 소속 정보보안 엔지니어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들이 분석한 '포스트 양자 암호화를 위한 구글의 위협 모델(Google's Threat model for Post-Quantum Cryptography)'이라는 글을 게재했다. 해당 글에서 구글 보안 엔지니어들은 기존 암호 공개키 알고리즘 방식의 암호화 기술인 'RSA(Rivest Shamir Adleman)', 타원곡선 이론 기반 공개키 암호방식 'ECC(Elliptic curve cryptography)' 등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암호 알고리즘이 빠르면 10년 안에 무력화 될 것으로 전망했다. 10년 안에 해커들이 양자컴퓨터에 접근할 수 있다고 경고한 것이다. 구글 엔지니어들이 가장 위협적이라고 생각하는 공격자는 국가다. 양자컴퓨터라는 인프라에 접근하는 것이 개인보다는 훨씬 유리하기 때문이다. 어떤 국가가 양자컴퓨터를 확보했다면 적성국을 공격하는데 이용할 수 있고 이는 보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10년간의 연구 끝에 결국 폐기한 '애플카(프로젝트 타이탄)'의 유산이 남아, 향후 출시될 M시리즈 칩을 강화할 것으로 전망돼 눈길을 끌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마크 구루만(Mark Gurman) 블룸버그 테크 기자는 11일(현지시간) 진행된 애플카 관련 질의응답(Q&A)에서 "애플 실리콘팀이 애플카 프로젝트에 깊이 관여했다"고 전했다. 애플 실리콘팀이 애플카 프로젝트에 깊이 관여한 것은 핸들과 패달이 없는 완전자율주행전기차를 개발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두뇌가 되는 반도체였기 때문이다. 마크 구루만 기자에 따르면 애플 실리콘팀은 M2 울트라칩 4개를 합친 것과 동등한 성능을 목표로 개발됐으며 프로젝트 폐기 직전 거의 완성 단계에 도달했다. 이외에도 마크 구루만 기자는 애플이 완전자율주행차를 개발하기 위해 수많은 신규 센서 기술을 개발했으며 자동차 안전과 관련된 매우 구체적인 알고리즘 혁신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애플의 목표가 "가장 안전한 자동차로 홍보하는 것 이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서는 타이탄 프로젝트에서 연구됐던 해당 반도체 기술은 향후 차세대 반도체 기술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의 혼합현실(MR) 디바이스 비전 프로(Vision Pro)가 의료 산업에도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애플은 11일(현지시간) 비전 프로가 건강 애플리케이션 분야에도 새로운 기회를 열어줄 것이라며 현재 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소개했다. 애플은 지금까지 아이폰과 아이패드로 환자의 회복 목표 달성은 물론 비용 절감, 연구 기회 확대, 효율성 향상 등의 의료 산업 변화를 이끌어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비전 프로의 출시로 기존과는 비교할 수 없는 큰 변화가 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애플은 마이마코(myMako)를 소개했다. 마이마코는 의료용 로봇 제조업체 스트라이커(Stryker)가 개발한 앱으로 고관절, 무릎 등의 치환술에 사용되는 마코 스마트로보틱스(Mako SmartRobotics) 수술 로봇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마이마코는 비전 프로 전용 앱으로 외과의사들이 3차원(3D) 가상 공간에서 수술 계획의 세부 정부 등을 직관적으로 검토할 수 있도록 제작됐다. 이외에도 새로운 의료 장비에 대한 적응을 돕는 △시라노헬스(CyranoHealth) △수술 훈련이 가능한 펀더멘탈 서저리(Fundamental Surge
[더구루=홍성일 기자] SK텔레콤이 투자한 생성형 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구글 클라우드(Google Cloud)와 함께 아프리카 인공지능(AI) 시장 고도화에 나선다. 앤트로픽은 파트너십을 통해 신흥시장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아프리카 시장 선점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아프리카 IT기업 '카사바 테크놀로지스(Cassava Technologies)' 산하 사업부인 리퀴드 C2(Liquid C2)에 따르면 앤트로픽과 파트너십을 통해 아프리카 전역에 있는 기업에 클라우드, 사이버 보안 솔루션, 생성형 AI 기술을 제공한다. 리퀴드 C2는 이번 파트너십으로 아프리카의 비즈니스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향후 앤트로픽의 클로드(Claude)를 다양한 산업에 통합해 아프리카의 디지털 환경 자체를 격상시키겠다는 목표를 제시하기도 했다. 리퀴드 C2는 앤트로픽과 함께 구글 클라우드와도 아프리카 디지털 역량 강화에 나선다. 리퀴드 C2와 구글 클라우드는 지난해 11월 아프리카 지역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리퀴드 C2는 구글 클라우드의 첨단 AI, 데이터, 협업, 보안 솔루션을 도입, 아프리카 클라우드 생태계
[더구루=홍성일 기자] 인텔이 개발자들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컨티뉴어스 프로파일러(Continuous Profiler)를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유료기사코드] 인텔은 11일(현지시간) 컨티뉴어스 프로파일러를 오픈소스로 출시한다고 밝혔다. 인텔은 컨티뉴어스 프로파일러에 대해 개발자들의 혁신을 촉진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개방형 생태계 접근 방식이라고 덧붙였다. 컨티뉴어스 프로파일러는 인텔 그래뉼레이트(Intel Granulate)에서 개발한 최적화 솔루션으로 여러 샘플링 프로파일러를 하나로 모아 그래프로 표시, 손쉽게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프로파일러 작업은 개발과정에서 중앙처리장치(CPU)에 부하를 가하는 부분, 예를 들어 병목현상이 나타나는 코드 등을 파악하기 위한 성능 분석 작업이다. 이에 테스트는 물론 프로덕션 환경에서도 일상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작업이다. 컨티뉴어스 프로파일러는 다양한 프로파일러를 통합해 시각화해 개발자들이 문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 프로그램 출시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텔 관계자는 "컨티뉴어스 프로파일러는 인텔 그래뉼레이트에서 해온 일의 핵심"이라며 "개발자가 코드의 병목 현상을 식별할
[더구루=홍성일 기자] 테슬라가 중국 시장 전용 6인승 전기 SUV '모델 Y L'을 출시했다. 테슬라는 모델Y L을 앞세워 중국 로컬 브랜드에 맞서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테슬라는 19일(현지시간) 모델Y L을 출시하고 판매에 돌입했다. 모델YL의 배송은 다음달 시작될 예정이다. 모델Y L은 중국 시장 최고 인기 모델인 모델Y의 롱바디 모델이다. 이를 통해 좌석을 3열까지 배치해, 탑승인원을 6명으로 늘린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테슬라 중국법인 측은 "휠베이스를 늘려 각 좌석마다 넉넉한 레그룸을 갖추고 있다"며 "좌석마다 전동 조절 시트와 열선 기능이 장착됐고, 2열 시트에는 전동 암레스트도 탑재됐다"고 소개했다. 또한 2열과 3열은 평평하게 접혀, 필요에 따라 넓은 공간을 확보할 수도 있다. 테슬라 모델Y L의 1회 충전시 751km(CLTC 기준) 주행할 수 있으며,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데는 4.5초가 소요된다. 최고 속도는 시속 210km에 달한다. 중국 전기차 전문매체 CNEV포스트는 모델YL에 LG에너지솔루션에서 개발한 82kWh 삼원계 배터리(NMC)가 장착됐다고 전했다. 테슬라는 모델YL을 33만90
[더구루=정예린 기자] 엔비디아가 오는 2027년부터 고대역폭메모리(HBM) 핵심 부품인 '베이스 다이'의 자체 생산을 추진한다. 기존 공급망 의존도가 줄어들면서 HBM 시장과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에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19일 대만 공상시보(CTEE)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7세대 HBM인 HBM4E부터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탑재할 계획이다. 초기에는 TSMC 3나노미터(nm) 공정을 적용해 소량 시험 생산을 진행하고, 점차 생산 규모를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는 SK하이닉스, 마이크론 등 HBM 생산 기업들이 설계부터 생산까지 모든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2027년 하반기부터는 엔비디아가 자체 맞춤형으로 설계한 베이스다이를 적용할 전망이다. 구체적으로, 2027년 하반기부터 어느 메모리 업체의 HBM 제품과 결합하더라도 엔비디아가 자체 설계한 베이스 다이를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계획대로 진행되면 HBM 생산 기업 등 공급망 내 기업들의 일부 역할이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서는 이번 전략 변화가 GPU와 HBM 시스템 통합 성능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HBM4E부터는 단순 메모리 적층을 넘어, 최하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