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등용 기자] KB국민은행이 알뜰폰 사업에서 심각한 적자를 기록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은행은 알뜰폰 사업 경쟁력 강화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의 알뜰폰 사업인 KB리브 모바일은 사업 첫 해인 지난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605억원의 누적 영업 손실액을 기록했다. 연도별로는 △2019년 8억원 △2020년 140억원 △2021년 184억원 △2022년 160억원 △2023년 113억원이다. 적자 폭의 증감은 있었지만 지난 5년간 꾸준히 손실이 쌓인 셈이다. 이는 매출만큼 비용이 불어난 결과란 분석이 나온다. 같은 기간 KB리브 모바일 관련 매출액은 4000만원에서 1251억원으로 성장했다. 반면 영업비용도 9억원에서 1364억원으로 덩달아 증가해 4년간 100억원대 적자를 유지했다. 이 밖에 국민은행은 알뜰폰 사업 관련 주요 투자 비용으로 통신 시스템 구축비 189억원, 고객센터 인건비 202억원, 내부 인건비 186억원 등 577억원을 집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 점유율과 고객 확보 측면에서도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시장 점유율은 지난 2020년 1.5%, 2021년 3.7%, 2022년 5.3%로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투자은행(IB) JP모건이 아모레퍼시픽에 대해 부정적인 투자의견을 내놓았다. 아모레퍼시픽은 JP모건 주최 기업설명회 행사에도 참석했지만 이 같은 결과를 받으면서 축계망리(逐鷄望籬·닭 쫓던 개 지붕 쳐다본다) 신세가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JP모건은 10일(현지시간) 보고서를 통해 아모레퍼시픽에 대한 투자의견을 비중확대(Overweight)에서 비중축소(Underweight)로 하향 조정했다. 목표주가도 기존 19만원에서 11만원으로 대폭 낮추면서 회사 재무 실적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냈다. 이 같은 결과는 그동안 아모레퍼시픽 주가를 견인해 온 코스알엑스(COSRX) 브랜드 실적 모멘텀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됐다. JP모건 애널리스트들은 3분기부터 코스알엑스의 탑라인 성장률이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연간 성장률도 전년 대비 38%에 그쳐 목표치인 50%에 못 미칠 것으로 내다봤다. JP모건 애널리스트들은 현재 에센스와 크림 등 코스알엑스의 가장 인기 있는 달팽이 제품 라인이 48% 할인된 가격에 판매되고 있는 점을 강조했다. 이는 브랜드 자산의 잠재적 잠식과 매출 유지를 위해 광고·판촉(A&P) 지출을 증가시킬 수 있
[더구루=정등용 기자] 알토스 벤처스가 미국 투자 리서치 플랫폼 쿼트르(Quartr)에 투자했다. 쿼트르는 제품 역량을 강화하고 글로벌 입지를 확장하는 데 투자 자금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쿼트르는 지난 8일(현지시간) 알토스 벤처스로부터 600만 달러(약 8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 쿼트르는 이번 투자 유치가 수십억 달러 규모의 금융 서비스 부문에서 성장을 가속화하는 데 필수적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전 세계 금융 투자 및 관계 전문가를 위한 공공시장 조사 혁신에 중요한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투자 자금은 제품 역량 강화와 글로벌 입지 강화에 쓰일 예정이다. 지난 2020년 설립된 쿼트르는 무료 모바일 앱와 데스크톱 리서치 플랫폼, API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전 세계 상장기업들의 실적 발표와 컨퍼런스 콜, IR 자료 등을 통합 제공해 혁신적인 투자 리서치 플랫폼으로 평가 받는다. 쿼트르는 개인 투자자들에게 기관 투자자 수준의 정보 접근성을 제공해 정보 비대칭성을 해소하는 데 역할을 하고 있다. 대표 제품인 ‘쿼트르 프로’는 현재 전 세계 주요 헤지펀드와 자산운용사, 주식 리서치 팀은 물론 포춘 500대 기업의 IR·기업 전략 부서의
[더구루=정등용 기자] GS그룹이 리튬 추출기술 스타트업 리시오스(Lithios)에 투자했다. 리시오스는 대규모 리튬 프로젝트 운영에 투자 자금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GS그룹 산하 기업형벤처캐피털(CVC)인 GS퓨처스는 최근 리시오스의 1000만 달러(약 135억원) 규모 시드 펀딩 라운드에 주요 투자사 중 하나로 참여했다. 이번 시드 펀딩 라운드는 클린 에너지 벤처스가 주도했으며 로워카본 캐피털, 매스CEC, 테크에너지 벤처스 등이 투자사로 이름을 올렸다. 이와 함께 리시오스는 제조·가공 장비 구매를 위해 실리콘밸리 은행으로부터 200만 달러(약 26억원)의 자금을 조달했다. 지난 2022년 설립된 리시오스는 복잡한 혼합물에서 리튬을 포집·방출하는 첨단 리튬 추출(ALE) 기술 운영 업체다. 지속 가능한 전기 화학 기술을 활용해 미개발 염수에서 저비용으로 리튬을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리시오스의 접근 방식은 리튬 이온 배터리 작동 방식과 유사하다. 리튬 이온 배터리는 양극 내부에 리튬 이온이 들어 있어 책꽂이에 책처럼 보관된다. 배터리가 충전 또는 방전될 때 이온은 두 단자 사이를 왔다 갔다 하면서 양극 또는 음극의
[더구루=진유진 기자] 삼성전자 투자 자회사 삼성넥스트가 미국 인공지능(AI) 헬스케어 스타트업 '센토르 랩스(Centaur Labs)'에 투자를 단행했다. 스타트업 투자와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해 시장을 조기 선점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센토르 랩스는 9일(현지시간) 1600만 달러(약 215억8000만원) 규모의 시리즈B 펀딩 라운드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펀딩 라운드는 의료·과학 기관의 AI 개발 가속화를 위해 유치됐으며, 미국 벤처 캐피털 '시그널파이어(SignalFire)'가 주도했다. 삼성넥스트를 비롯해 △매트릭스(Matrix) △수사 벤처스(Susa Ventures) △알럼나이 벤처스(Alumni Ventures) 등이 투자에 참여했다. 다만 삼성넥스트의 구체적인 투자 금액은 공개되지 않았다. 삼성넥스트는 전날 미국 뉴욕에서 시그널파이어와 '헬스케어에서 AI의 미래(The Future of AI in Healthcare)'라는 주제로 기업 패널 토론회를 개최했다. 시그널파이어는 AI와 데이터 기술을 활용해 초기 단계부터 유망한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벤처 캐피털로, 양사는 향후 헬스케어 분야에 적극적으로 투자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날
[더구루=진유진 기자] 윤희성 한국수출입은행장과 장영진 한국무역보험공사 사장이 내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리는 글로벌 금융 포럼에 기조연설자로 참석한다.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포럼에서 글로벌 금융·무역 분야 리더들과 최신 동향을 논의하고, 혁신적인 금융 솔루션을 모색할 것으로 전망된다. 영국 금융전문조사기관 TXF(Trade Export Finance)는 지난 7일(현지시간) 윤희성 수출입은행장과 장영진 무역보험공사 사장이 오는 2025년 6월 10일부터 12일까지 사흘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개최되는 '엑자일 글로벌 2025(Exile Global 2025)'에서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날 윤희성 은행장과 장영진 무보 사장은 신흥 시장 인프라·개발 금융·기후 변화 대응·녹색 금융으로의 전환을 중심으로 글로벌 무역에서 수출 신용의 진화하는 역할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수출신용기관(ECA)이 글로벌 경제 환경에 적응하는 대응책과 신흥·개발도상국 시장에서 수출업체를 위한 혁신적인 금융 솔루션 등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엑자일 글로벌 2025'는 수출·프로젝트·개발 금융 분야의 글로벌 리더들이 모여 네트워킹과 토론을 진행하는 포럼으로,
[더구루=홍성일 기자] 비트코인을 대거 보유하고 있는 일명 '비트코인 고래' 중 한 명이 비트코인을 대규모 인출했다. 이를 두고 시장 상황에 변동이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한 비트코인 고래가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에서 비트코인 250개를 인출했다. 이번에 인출된 코인의 가치는 1560만 달러(약 210억원)다. 이번에 비트코인을 인출한 고래는 올해 3월 14일부터 4월 13일까지 한 달간 비트코인 1만158개를 매수했다. 매수 평균가는 6만7026달러고 총 매수 금액은 6억8100만 달러(약 9200억원)에 달했다. 해당 고래가 비트코인을 매수한 이후 가격이 떨어지며 현재까지 4600만 달러(약 620억원)의 손해를 봤다. 해당 고래가 비트코인 일부를 인출하자 업계에서는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 고래가 디지털 자산에 대한 공격적인 투자를 이어왔고 또한 지난 대량 매수 후 6개월간 그 어떤 조치도 취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갑작스럽게 일부 비트코인을 인출하자 가상자산 업계에서는 시장 상황에 큰 변동이 일어나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최근 금리 인하 분위기 속
[더구루=정등용 기자]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인 블랙록이 현대자동차 인도 법인 IPO(기업공개)와 관련해 앵커 투자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앵커 투자자 라운드는 오는 14일로 예정돼 있다. 1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 법인은 IPO 앵커 북 부분을 위해 100개 이상의 글로벌 투자사들과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는 블랙록 외에 △싱가포르 국부펀드 GIC △노르웨이 연기금 △캐피탈 그룹 계열사 △피델리티 그룹 계열사 △티로 프라이스 △베일리 기포드 △SBI 뮤추얼 펀드 △HDFC 뮤추얼 펀드 △ICICI 프루덴셜 뮤추얼 펀드 △니폰 인디아 뮤추얼 펀드 △코탁 뮤추얼 펀드 △액시스 뮤추얼 펀드 등 글로벌 유명 투자사들이 대거 포함돼 있다. 티 로 프라이스와 액시스 뮤추얼 펀드, 베일리 기포드는 이와 관련해 구체적인 논평을 거부했다.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 법인은 IPO를 통해 33억 달러(약 4조4350억원)를 조달할 계획이다. 주식 가격 범위는 주당 1865루피에서 1960루피 사이로 책정됐으며 투자자들은 오는 15일부터 IPO 입찰을 시작할 수 있다. 입찰 마감일은 오는 17일이다. 현대차 인도 법인의 IPO가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이
[더구루=홍성환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가 풍력 발전 기술 스타트업 에어룸에너지(Airloom Energy)에 추가 투자했다. 재생 에너지 기업에 대한 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이다. 에어룸에너지는 1375만 달러(약 180억원) 규모 신규 자금조달을 완료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로워카본캐피탈이 주도했다. 빌 게이츠가 설립한 브레이크스루에너지벤처스(Breakthrough Energy Ventures)는 추가 투자에 나섰다. 브레이크스루에너지벤처스는 앞서 작년 11월 이 회사에 처음 투자한 바 있다. 에어룸에너지는 차세대 풍력 발전 기술을 개발하는 재생에너지 스타트업이다. 높은 타워에 장착된 거대한 터빈 블레이드가 아닌 경량 트랙에 부착된 수직 방향의 10m 길이 날개로 전력을 생산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터빈은 바람을 차단해 트랙을 따라 추진하며 전력을 생산한다. 이 방식은 자연 경관을 해치지 않을 뿐 아니라 상당한 비용 절감도 가능하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기존 풍력 프로젝트보다 건설 비용이 25% 저렴한데 이는 주로 재료의 효율이 높기 때문이다. 현재 이 회사는 와이오밍에 파일럿 시설을 건설 중이다. 내년
[더구루=홍성환 기자]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업체인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Palantir Technologies)가 전기차 제조업체 패러데이퓨처(Faraday Future)의 지분을 약 9%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료기사코드] 10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에 따르면 팔란티어는 지난 8일(현지시간) 기준 패러데이퓨처 지분 8.7%(108만294주)를 보유하고 있다고 공시했다. 이에 대해 팔란티어 측은 "지난 2일 특정 미수금에 대한 지불로 패러데이퓨처 주식 80만주를 지급받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미수금과 관련해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앞서 팔란티어는 패러데이퓨처가 상장하기 전인 지난 2021년 7월 이 회사에 2500만 달러(약 340억원)를 투자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양사는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공급 계약을 맺었다. 팔란티어는 억만장자 벤처투자가로 유명한 페이팔 공동창업자 피터 틸이 공동 창업했으며, 미 국방부나 중앙정보국(CIA) 등 주로 공공부문에 소프트웨어를 공급하면서 성장했다. 미국에서 가장 비밀스러운 회사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패러데이퓨처는 지난 2014년 중국의 일론 머스크로 불렸던 자웨이팅이 설립한 전기
[더구루=정등용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가 일본 게임 제조업체 닌텐도 지분 확대를 고려하고 있다. 사우디 경제의 석유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차원에서다. 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PIF 부회장인 파이살 빈 반다르 빈 술탄 알 사우드 왕자는 최근 교도통신과 인터뷰에서 닌텐도 추가 투자에 대해 “기회는 항상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을 계속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우리는 어떤 것도 서두르고 싶지 않다”고 덧붙였다. PIF는 지난 2022년 5월 닌텐도 지분 5.01%를 처음 인수했다. 이후 현재 보유 지분은 8.58%다. 닌텐도는 과거 PIF의 초기 지분 매입 당시 이를 알지 못했으며 투자 사실을 언론 보도를 통해 접하게 됐다고 밝힌 바 있다. PIF의 이번 행보는 사우디 경제의 석유 수익 의존도를 낮추려는 모하메드 빈 살만 왕세자의 목표와 궤를 같이 한다. 실제 PIF는 최근 몇 년 동안 비디오 게임 산업에 잇따라 투자하고 있다. 특히 PIF는 △스포츠 △테마파크 △영화 △비디오 게임 △기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깊숙이 관여하고 있다. 또한 올초 사우디에서 열린 e스포츠 월드컵(EWC)에서도 주요 주체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투자은행(IB) 번스타인(Bernstein)이 쿠팡의 목표 주가를 대폭 상향 조정했다. 멤버십 가격 인상에도 충성 고객 지키기에 성공한 데 따른 것이다. 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번스타인은 쿠팡의 목표 주가를 기존 18달러에서 30달러로 인상했다. 투자의견은 '시장 수익률 하회(Underperform)'에서 '시장 수익률 상회(Outperform)'로 두 단계 높여 잡았다. 번스타인은 "쿠팡은 성공적인 가입비 인상과 업계 전반의 유동성 위기 등 두 가지 요인에 힘입어 강력한 성과를 거뒀다"면서 "올해 쿠팡은 우리의 기대치를 넘어섰다"고 설명했다. 번스타인은 "쿠팡은 고객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지난 8월 멤버십 요금을 성공적으로 인상했다"면서 "쿠팡은 오는 2026년까지 추가적으로 가격을 인상할 가능성이 있으며 내년 상반기부터 이를 시작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앞서 쿠팡은 지난 8월 유료 구독 서비스인 와우 멤버십의 구독료를 4990원에서 7890원으로 대폭 인상했다. 그럼에도 앱 이용자수가 증가했다. 앱 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에 따르면 쿠팡의 9월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전달 대비 0.9% 증가한
[더구루=홍성일 기자] 수소비행선 제조업체 H2클리퍼(H2 Clipper)가 군집 로봇을 이용한 비행선 제조 기술을 확보했다. H2클리퍼는 상업용 항공기와 로켓 제작 분야로 군집 로봇 제조기술 적용 범위를 확대한다는 목표다. [유료기사코드] 2008년 설립된 H2클리퍼는 수소기반 대형 비행선과 수소 공급·저장 인프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사명과 동일한 이름을 가진 대형 비행선은 비행선 내부를 수소로 채웠으며, 프로펠러 등 동력원도 수소연료전지에서 발생한 전기를 사용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특허청(USPTO)은 H2클리퍼가 2023년 10월 출원한 '로보틱스를 이용한 비행선 제조 시스템(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airship manufacture using robotics)' 특허를 승인했다. H2클리퍼의 특허에는 비행선 제작 과정 중 인간이 수행하기 까다롭거나 비효율적인 작업을 자율 또는 반자율 군집 로봇을 활용해 실시하는 내용을 담고있다. H2 클리퍼는 기술 개발 배경에 대해 "상업성 있는 비행선을 제작하려면 크기가 커질 수 밖에 없고 제작비용도 치솟을 것"이라며 "인간 작업자의 안전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미국 델타항공의 여객기가 기술적 결함으로 인해 멕시코시티 국제공항(AICM)에 비상 착륙했다. 이륙 직후 위험이 감지되자 곧바로 회항했다. [유료기사코드] 8일 스페인 매체 'MILENIO'에 따르면 7일(현지시간) 오후 멕시코에서 출발해 애틀란타로 향하던 델타항공 여객기(N399DA편)가 기술적 결함으로 인해 출발지인 멕시코시티 국제공항으로 긴급 회항했다. 결함 관련 세부 사항은 알려지지 않았다. 여객기는 보잉 737-832 기종으로, 조종사가 이상을 감지하고 공항 관제에 회항을 요청하며 비상 착륙했다. 여객기는 관제탑에서 착륙 허가를 받을 때까지 AICM을 맴돌다 착륙했다. 멕시코시티 국제공항은 "조종사의 기술적 오류 보고를 처리하기 위해 비상 프로토콜이 활성화됐다"며 "여객기는 23L 활주로 안전하게 착륙했으며, 착륙 후 기체 손실이나 인명 피해는 보고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델타항공 여객기의 비상착륙 및 지원가동으로 멕시코시티 국제공항의 운항은 일시적으로 중단됐다. 최근 델타항공발 항공기 사고가 연이어 발생하자 델타항공 이용 여객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지난달 24일 애틀랜타에서 컬럼비아로 가려던 델타항공 876편은 객실 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