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파나소닉'이 호주 '노보닉스(NOVONIX)'를 북미 인조흑연 공급 업체로 낙점했다. 노보빅스의 현지 생산능력을 앞세워 대규모 흑연을 조달,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게 됐다. [유료기사코드] 13일 파나소닉홀딩스에 따르면 배터리 사업부인 '파나소닉 에너지'는 최근 노보닉스와 고성능 인조흑연에 대한 장기구매계약(오프테이크)을 체결했다. 오는 2025년부터 2028년까지 최소 1만 톤(t)을 구매한다. 노보닉스는 오는 2025년 4분기 전까지 양사 합의를 토대로 세워진 최종 대량 양산 일정 목표를 달성해야 한다. 목표 미달성시 파나소닉은 구매 물량을 최대 8000t으로 줄이거나 계약을 종료할 수 있는 옵션을 두고 있다. 수요 확대에 따라 인조흑연 공급량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노보닉스는 올 하반기 가동 예정인 테네시주 채터누가에 위치한 공장에서 인조흑연을 생산해 북미 각지에 위치한 파나소닉 제조시설에 납품한다. 파나소닉은 미국 네바다주에서 배터리 1공장을 운영 중이며, 캔자스주에서는 2공장을 건설 중이다. 오클라호마주에 3공장 건설을 추진했으나 작년 말 계획을 전면 백지화했다. 다만 여전히 미국 내 추가 생산시설 필요성을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광산기업 '필바라 미네랄스(Pilbara Minerals, 이하 필바라)'가 중국 청신리튬과 리튬 정광 공급 계약을 연장했다. 공급량도 총 38만5000톤(t)으로 확대했다. 고객사들의 견조한 수요를 토대로 리튬 정광 증설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13일 필바라에 따르면 이 회사는 청신리튬과 장기 리튬 정광 공급 연장 계약을 체결했다. 올해 8만5000t, 2025년과 2026년에 각각 15만t을 공급한다. 이는 필바라가 지난해 청신리튬과 맺은 계약의 연장선이다. 당시 필바라는 2024년 회계연도(2023년 7월1일~2024년 6월30일)에 7만t을 공급하기로 했었다. 청신리튬은 중국 내 2위 리튬 기업이다. 중국 자오상은행연구원에 따르면 청신리튬의 연간 탄산리튬(LCE) 생산능력은 2022년 기준 14만t을 기록했다. LG화학과 SK온, 포스코퓨처엠, 중국 BYD·CATL 등을 고객사로 뒀다. 청신리튬은 고객사 수요에 대응해 리튬 사업을 키우면서 리튬 정광 확보에도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청신리튬은 △아르헨티나 염호 개발 사업인 SDLA △짐바브웨 사비 스타 광산 △중국 무롱 광산 △중국 예롱·타이양허커우 광산
[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일렉트라 배터리 머티리얼즈(Electra Battery Materials·이하 일렉트라)가 현지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확보했다. 코발트 공장 증설 프로젝트에 투입, 사업 정상화에 속도를 낸다. [유료기사코드] 13일 일렉트라에 따르면 온타리오 북부 연방경제개발청(FedNor)은 최근 일렉트라에 500만 캐나다달러(약 49억원)의 보조금을 제공키로 했다. 일렉트라는 확보한 지원금을 온타리오주 황산코발트 제련소 건설 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다. 일렉트라는 지난 2021년 6월 캐나다 온타리오주에서 유휴 정제소를 재개·확장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연간 5000톤(t)의 생산능력을 6500t으로 늘린다는 목표다. 완공시 연간 최대 150만 대의 전기차에 사용할 수 있는 코발트 생산능력을 갖출 전망이다. 작년 5월 기준 △세부 엔지니어링 98% △장비 조달 85% △현장 인프라 조성 90%를 달성했었다. 글로벌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자금난을 겪으며 코발트 정제소 증설 작업이 일시 중단된 바 있다. 경영진 급여를 삭감하고 직원을 30명으로 줄이는 등 구조조정을 실시했지만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따른 비용 인상 속도를 따라 잡기에는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플러그파워'가 테네시주 수소 공장 가동을 재개한다. 탄탄한 수소 생산능력을 확보해 주요 공급원으로서 입지를 공고히 한다. [유료기사코드] 12일 플러그파워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테네시주 찰스턴에 위치한 일일 10톤(t) 규모 수소 공장 생산을 다시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작년 11월 가동을 중단한지 약 3개월여 만이다. 플러그파워는 지난달 그린수소 생산을 개시한 15t 규모 조지아 공장까지 합쳐 미국에서만 25t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게 됐다. 루이지애나에 건설 중인 올린(Olin)과의 합작 공장도 올 3분기 내 양산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루이지애나 시설은 일일 15t 규모 생산능력을 갖출 전망이다. 미국 △뉴욕주 △텍사스주와 △핀란드 △벨기에에도 공장을 짓고 있다. 오는 2025년까지 하루에 500t 이상의 액화 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수소 공장을 가동하고 2028년까지 일일 1000t으로 생산량을 늘린다는 목표다. 플러그파워는 테네시와 조지아 공장을 정상 가동함으로써 생산 단가를 낮춰 수익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테네시 공장의 경우 가동 중단 기간 동안 플랜트 효율성 향상을 위한 설계를 추진해 생산성이 대폭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포윈이 포르투갈 최대 에너지 기업 갈프(Galp)와 태양광 연계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성공적으로 설치했다. 유럽에서의 첫 ESS 사업이다. 추가 사업 기회를 노리며 2030년 90GWh 규모로 커질 유럽 ESS 시장을 공략한다. 11일 포윈에 따르면 이 회사는 갈프와 포르투갈 최남단 지역인 알가르브에 5㎿ 규모 태양광 발전소와 연동된 20MWh ESS를 설치했다. 이는 포윈이 유럽에 구축한 첫 ESS다. 갈프가 이베리아 반도에서 운영 중인 1.5G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 중에서 ESS와 연동한 사례도 이번이 처음이다. 제프 워터스 포윈 최고경영자(CEO)는 "마드리드에 사무소를 개설한 후 유럽에서의 첫 프로젝트"라며 "유럽은 2030년까지 90GWh 이상의 유틸리티급 ESS 프로젝트를 전개할 것으로 예상되며 우리는 이를 지원할 좋은 위치에 있다"고 강조했다. 유럽은 2050년 탄소중립 달성과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면서 재생에너지 보급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친환경 에너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불안정한 전력 수급을 해소하기 위해 ESS 설치도 늘고 있다. 코트라에 따르면 가정·기업용 ESS는 2015년
[더구루=길소연 기자] 캐나다 광산회사 사우스스타 배터리 메탈스(SouthStar Battery Metals, 이하 사우스스타)'가 브라질 흑연광산을 확장한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업계에 따르면 사우스스타는 브라질 광산에너지부(MME)로부터 브라질 산타크루즈(Santa Cruz) 흑연 광산에 대한 2, 3단계(Phase2, 3) 확장에 대한 환경 승인을 받았다. 확장을 완료하면 연간 최대 5만톤(t)의 천연 흑연 정광을 생산할 수 있다. 리처드 피어스(ichard Pearce) 사우스스타 사장은 "이번 확장 승인이 산타크루즈 큰 성과"라며 "배터리 원료인 흑연 생산량을 늘려 미래 운영의 위험을 제거하고 생산 규모를 확대한다"고 말했다. 현재 사우스스타는 1단계로 연간 5000t을 생산하고 있다. 2026년으로 계획된 2단계 운영에서 최대 2만5000t를 생산하고, 2028년으로 예정된 3단계 운영은 목표 용량을 5만t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말 타당성 조사에 들어갈 예정이다. 타당성 조사 후 투자 결정을 내리게 된다. 브라질 바이아주 이타벨라(Itabela)에 위치한 산타크루즈 광산은 미주 대륙에서 가장 큰 인상흑연 광산이다. 3단계 확장
[더구루=오소영 기자] 북미 최대 폐배터리 재활용 회사 라이사이클이 독일 물류 기업으로부터 폐배터리를 공급받는다. 독일 거점을 활용해 재활용을 추진하고 유럽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 [유료기사코드] 10일 스틸(STILL)에 따르면 이 회사는 라이사이클과 폐배터리 재활용에 협력한다. 수명을 다한 폐배터리를 라이사이클 공장에 안전하게 운송해 재활용을 꾀한다. 라이사이클은 작년 8월 독일 마그데부르크에서 스포크 시설 가동을 시작했다. 스포크는 폐배터리를 해체·파쇄해 검은 가루 형태의 중간 가공품 블랙매스를 만드는 공장이다. 블랙매스에서 후처리 공정을 거쳐 리튬과 니켈, 코발트 등 배터리 원재료를 추출할 수 있다. 독일 공장은 완전 가동 시 유럽 최대 규모인 총 3만톤(t) 규모의 처리 능력을 보유할 것으로 예상된다. 라이사이클이 운영 중인 스포크 시설 중에서도 가장 규모가 크다. 라이사이클이 독일에 거점을 확보한 만큼 현지 물류 회사인 스틸과 시너지가 기대된다. 앞서 스틸로부터 150개 폐배터리를 받았다. 향후 수급량을 확대하고 유럽 재활용 시장을 공략한다. 코트라에 따르면 유럽은 2025년까지 연간 4GWh 미만의 폐배터리가 수거될 것으로 예상된다. 2040년
[더구루=오소영 기자] 희토류 가격이 올해 하반기부터 상승세로 돌아설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와 풍력 터빈 수요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중국은 생산 증가가 더뎌서다. 네오디뮴-프라세오디뮴(NdPr) 산화물은 공급 부족이 예상된다. [유료기사코드] 9일 중국 상하이금속시장(SMM)연구소 등 업계에 따르면 희토류 가격은 올해 하반기부터 반등할 전망이다. 양자원 SMM연구소 애널리스트는 "NdPr 산화물 가격이 지난해 33% 하락해 원가에 근접했다"며 "추가 하락은 제한적일 것이다"라고 전했다. NdPr은 전기차 모터와 풍력 터빈, 드론, 로봇 등 차세대 산업에 필요한 영구자석 생산에 쓰인다. 전 세계적인 에너지 전환 이슈와 맞물려 수요가 늘고 있다. 영국 시장조사업체 CRU의 윌리스 토마스 애널리스트는 "전기차 판매와 풍력 터빈 생산이 증가하면서 (NdPr) 수요가 공급을 따라잡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중국 국련증권은 지난해 6600t의 공급 과잉이 발생했다면 올해 800t이 부족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전 세계 최대 희토류 생산국인 중국의 공급 증가는 제한적일 전망이다. 중국은 희토류 생산쿼터를 매년 상·하반기에 각각 1번씩 발표했는데 지난해에는 연말 1만5000t
[더구루=정예린 기자] 캐나다 '나노원 머티리얼즈(Nano One Materials, 이하 나노원)'가 양극재 상용화 로드맵을 차질없이 이행하고 있다고 자신했다. 일정대로 상업 생산을 개시, 북미 배터리 공급망 핵심 기업으로 자리 잡는다는 포부다. [유료기사코드] 9일 나노원에 따르면 댄 블론달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성명을 내고 사업 진행 현황을 공유하며 "나노원은 계속해서 사업 계획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배터리 소재를 만드는 방식을 바꾸려는 나노원의 비전은 리튬이온배터리 공급망의 여러 면에서 견인력을 발휘하고 있다"며 "2024년은 장기적인 주주 가치 창출과 생산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는 또 다른 변혁의 해가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덧붙였다. 블론달 CEO는 리튬인산철(LFP) 양극재에 대한 나노원의 경쟁력을 강조했다. 아시아 지역을 제외한 북미, 유럽 등에서 가장 많은 생산 경험과 높은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LFP 외 니켈·망간·코발트(NMC) 양극재 개발에도 박차를 가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한다는 계획이다. 그는 "우리는 LFP에 대한 크고 다양한 시장 기회를 계속해서 확인하고 있으며 지난 5년 간의 활동을
[더구루=오소영 기자] 중국 EVE에너지가 인도 그린풀에너지(Greenfuel Energy)와 배터리 사업에 협력한다. 배터리셀을 공급해 팩으로 만들고 인도 고객사에 납품한다. 성장성이 높은 인도 시장을 잡아 중국을 넘어 세계적인 배터리 회사로 거듭난다 [유료기사코드] 9일 그린풀 에너지에 따르면 이 회사는 EVE에너지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EVE에너지의 배터리셀을 받아 배터리팩으로 조립하고 인도 고객사에 공급한다. 2016년 설립된 그린풀 에너지는 인도 최초로 배터리팩 개발에 성공했다. 배터리팩 설계에 관한 특허 4건을 보유하고 있다. 인도 전역에 약 10만 개가 넘는 배터리팩을 공급했다. 악샤이 카샤프 그린풀 에너지 창립자는 "EVE에너지와의 파트너십은 전기 이동성 분야에서 최첨단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우리의 약속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도약"이라며 "모빌리티와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리튬이온 배터리팩의 수명이 크게 늘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EVE에너지는 자체 배터리 기술력과 그린풀 에너지의 인도 사업 경험을 결합해 시너지를 내며 현지에서 수주를 모색한다. 인도 정부는 전기차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원유 수입 의존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피드몬트리튬이 전체 임직원의 약 3분의 1을 해고하는 대규모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전기차 산업 부진이 리튬 가격 하락으로 이어지자 비상경영 체제에 돌입한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피드몬트리튬은 6일(현지시간) 작년 4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최근 기업 운영 효율화를 위해 인력의 27%를 감축했다고 밝혔다. 약 1000만 달러(약 133억원) 규모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올 1분기 내 관련 계획을 매듭짓는다는 방침이다. 키스 필립스 피드몬트리튬 최고경영자(CEO)는 "비용 절감 조치는 회사의 장기적 입지를 확보하는 데 필요하다"며 "우리는 경기 침체 속에서도 주주 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옳다고 생각되는 일련의 조치를 취하는 동시에 우리가 예상하는 리튬 시장 회복을 위한 전략적 위치를 유지했다"고 강조했다. 피드몬트리튬은 업황 부진을 타개하기 위한 해법으로 대대적인 정리해고를 선택했다. 리튬 가격은 지난 2022년 말 최고치를 찍은 후 80% 이상 하락했다. 전기차 산업 성장이 예상보다 더딘 가운데 리튬 업체들이 수요 급증에 대비해 앞다퉈 투자를 단행, 공급 과잉으로 상황이 역전된 탓이다. 필립스 CEO는 리튬 업황에 대
[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SDI가 캐나다니켈(Canada Nickel Co) 지분을 성공적으로 인수했다. 세계 2위 니켈 매장지인 온타리오주 광산에서 채굴한 니켈을 확보해 배터리 광물 수급을 안정화한다. 캐나다니켈은 삼성SDI가 지분 투자를 완료하며 1850만 달러(약 250억원)를 조달했다고 6일(현지시간) 밝혔다. 삼성SDI는 주당 1.57캐나다달러(약 1500원)에 총 1660만주를 취득했다. 보유 지분은 8.7%다. 삼성SDI는 올해 초 캐나다니켈과 지분 투자 계약을 체결했다. 캐나다 증권거래소의 허가를 거쳐 지분 인수를 완료하며 니켈 공급망을 강화했다. 캐나다니켈은 2019년 설립됐다. 온타리오주 티민스에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니켈 매장지를 개발하는 크로포드 프로젝트 지분을 100% 보유하고 있다. 광산 개발 과정에서 환경 영향을 최소화해 탄소 중립 니켈(NetZero Nickel™) 생산을 추진하고 있다. 삼성SDI는 지분 투자를 통해 크로포드에서 생산한 니켈의 10%를 1억50만 달러(약 1300억원)에 확보할 권리를 갖게 됐다. 필요시 가격 협의를 거쳐 15년간 크로포드 니켈 생산량의 20%를 추가로 받을 수 있다. 니켈은 배터리 에너지밀
[더구루=김은비 기자] 대만 디스플레이 제조업체 이노룩스(Innolux)가 차량용 디스플레이 자회사 카유엑스(CarUX)의 미국 증시 상장을 공식화했다. 이노룩스는 이번 상장을 통해 디스플레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고, 미래차 시대의 핵심 기술 공급사로서 입지를 다지는 한편 스마트 모빌리티 시대에서 글로벌 전장 경쟁의 주도권을 거머쥔다는 방침이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업계에 따르면 이노룩스는 지난 7일(현지시간) 대만 이노룩스 본사에서 열린 주주총회에서 자회사 카유엑스(CarUX)의 미국 증시 상장(IPO) 안건을 통과시켰다. 향후 뉴욕증권거래소 상장까지 마무리되면 이는 이노룩스의 첫 해외 IPO 사례가 된다. 홍진양 이노룩스 회장은 “올해는 이노룩스 청사진인 '666계획'에서 ‘돌파구적 변혁(突圍轉型)’ 2단계 진입하는 중요한 해”라며 “이번 상장을 통해 카유엑스의 재무 구조를 개선하고 우수 인재 유치 및 기술 경쟁력 강화를 도모할 것”이라고 밝혔다. 카유엑스는 △스마트콕핏 △증강현실(AR) 헤드업 디스플레이 △운전자 모니터링 시스템 등 고부가가치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특화된 자회사다. 대표 제품으로는 △9.6인치 마이크로LED AR 전면유리 반사형
[더구루=홍성환 기자] 암호화폐 채굴기업 사이퍼마이닝(Cipher Mining)이 프랑스 에너지 기업 엔지(ENGIE)와 전력 공급 계약을 맺었다. [유료기사코드] 사이퍼마이닝은 엔지와 미국 텍사스주(州) 소재 데이터센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예비 계약을 맺었다고 14일 밝혔다. 사이퍼마이닝은 엔지 풍력 발전소에서 최대 300㎿(메가와트)의 전력을 공급받는다. 사이퍼마이닝은 비트코인 채굴용 컴퓨터 제조업체인 네덜란드 비트퓨리그룹의 미국 자회사다. 비트퓨리는 비트코인 채굴용 컴퓨터와 블록체인 소프트웨어·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다. 사이퍼마이닝은 최근 고성능컴퓨팅(HPC) 호스팅을 위한 산업용 데이터센터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