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지난해 수주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에 노르웨이 TMC 콤프레서(TMC)의 선박용 압축 공기 시스템을 장착한다. TMC 컴프레서는 지난 3일(현지시간) 삼성중공업이 건조하는 17만4000㎥급 LNG 운반선 12척에 LNG 탱커용 해상 압축 공기 시스템을 공급한다고 밝혔다. TMC는 12척의 LNG 선박 각각에 제어, 서비스 공기 및 질소 압축기를 포함한 완전한 해상 압축 공기 시스템을 공급할 예정이다. 계약 금액은 공개하지 않았다. 한스 피터 타눔(Hans Petter Tanum) TMC 영업·사업 개발 이사는 "삼성중공업의 기대와 요구 사항을 잘 알고 있고, 삼성중공업 역시 압축기 기술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조선소는 점점 더 선박의 수명 주기 비용과 배출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에너지 효율성을 높인 압축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압축 공기 시스템은 선박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한 필수 장비다. 기포를 사용해 선체와 해수 사이의 저항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 선체 표면 전체에 기포가 분포됨으로써 선체에 작용하는 마찰 저항이 감소해 에너지 절약 효과가 있다. 공기 소비량이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 조선업의 세계 신조 시장 점유율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미국을 비롯한 서방국가들이 중국과의 관계 재설정에 나서면서 중국 조선업에 제동이 걸렸다. 한국 조선업계의 반사이익이 기대된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독일조선해양산업협회(VSM)는 지난달 27일 발간한 2022~2023년 연례보고서를 통해 독일 정부에 조선업 정책의 근본적인 변화를 촉구했다. 한국과 중국 조선업계에 대응해 아시아 국가 의존도를 줄이고 유럽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협회는 "한국과 중국 조선소들은 정부 차원의 막대한 지원을 등에 업고 있다" 며 "정책의 변화가 없다면 향후 10년 간 유럽 조선업의 상선(seagoing merchant ship) 건조 역량이 큰 폭으로 퇴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25년 전 유럽연합(EU)는 조선에 대한 지원을 중단하기로 결정했다"며 "동시에 중국은 정반대로 조선소와 해운 회사에 국가지원을 아끼지 않았다"며 중국 조선업 발전 배경을 밝혔다. 그러면서 중국에 대한 유럽 해운업계의 선박 공급 의존도는 이미 매우 큰 수준으로 공급망을 포함해 의존성을 줄여나가고, 필요한 경우 위험 요인을 제거해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국
[더구루=길소연 기자] 한화오션이 세계 5위 해운업체 독일 하팍로이드(Hapag-Lloyd)로부터 수주한 12척의 초대형 컨테이너선 중 첫번째 선박을 인도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오션은 지난달 14일 하팍로이드에 2만3600TEU급 컨테이너선을 인도했다. '베를린 익스프레스(Berlin Express)'호로 명명된 선박은 액화천연가스(LNG) 이중 연료 추진을 탑재했다. 최신식 고압력 이중연료엔진이 장착돼 매우 높은 연료 효율성을 확보한다. 엔진은 액화천연가스(LNG)와 기존 중유 둘다 사용 가능하다. LNG 연료 사용 덕에 기존 선박에 비해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이 15~25% 적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화오션은 이번 선박을 시작으로 오는 12월까지 남은 선박을 순차적으로 인도한다. 선박은 하팍로이드가 가입한 해운동맹 '더 얼라이언스'에 합류, 유럽~극동 노선에 투입된다. 하팍로이드는 한화오션에 지난 2020년 2만3600TEU급 LNG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6척을 주문했다. 이듬해 추가로 6척의 자매 선박을 주문하면서 총 12척의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본보 2020년 11월 30일 참고 한화오션, '2.2조원' 초대형 컨테이너선 12척 수주…
[더구루=길소연 기자] HD현대의 사우디아라비아 합작조선소 IMI(International Maritime Industries)가 중국 최대 산업 자동화 시스템 및 솔루션 공급업체인 중콩그룹(浙江中空·SUPCON)과 손을 잡고 조선소의 자동화 수준을 높인다. 7일 업계에 따르면 IMI는 중국 중콩그룹과 업무협약(MOU)를 맺고 IMI의 스마트 안전과 현장 모니터링 솔루션을 맡긴다. 중콩그룹은 이번 MOU에 따라 중앙 제어 기술을 기반으로 중동·북아프리카(MENA) 지역 최대 풀서비스 조선소인 IMI에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한다. 중콩그룹은 "이번 프로젝트 수주는 자동화 및 정보에서 최고 수준의 관리 솔루션을 제공할 수있는 중콩의 역량을 입증한다"고 밝혔다. 중콩그룹은 1993년에 설립된 하이테크 기업이다. 혁신적인 산업 제어와 정보 기술을 갖춘 산업 전체 솔루션을 위한 연구 개발, 제조, 마케팅, 엔지니어링 서비스, 시스템 통합에 중점을 뒀다. 중국 국유기업, 정부, 군 기관 등에 '스마트 시티 네트워크' 기술을 공급해왔다. IMI는 2017년 사우디에 HD한국조선해양과 아랍에미리트(UAE) 람프렐과 사우디 국영 아람코, 바흐리가 만든 합작조선소이다. 정기선
[더구루=길소연 기자] 카타르가 올 하반기 100억 달러(약 13조원)에 달하는 40척의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발주를 예고하면서 한국과 중국 조선업계가 치열한 수주 경쟁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에너지공사(QatarEnergy)는 지난달 40여척 규모의 카타르발 LNG 운반선 2차 발주 관련 첫 공식 회의(kick-off meeting)를 시작했다. 국내 대형 조선 3사는 카타르 2차 프로그램을 통해 각각 10척 이상의 물량을 수주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조선소는 지난 1차 물량 총 65척 중 54척을 수주한 바 있다. 11척은 중국 후동중화가 수주했다. 다만 수주 경합을 벌이고 있는 중국이 카타르와 우호적 환경을 구축하면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카타르에너지공사는 지난달 20일 중국석유천연가스공사(CNPC)와 LNG 장기 공급 및 개발 프로젝트 지분 취득 관련 최종 합의(definitive agreement)에 도달했다. 중국도 카타르 가스전에 대한 지분을 확대하면서 카타르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이는 중국 내 안정적인 LNG 공급과 더불어 LNG선 수주를 위한 사전작업으로 해석된다. 카타르 외 MS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조선이 스위스 선사로부터 수에즈막스급 원유운반선 1척을 수주한다. 5일 업계에 따르면 대한조선은 스위스 선사인 어드밴티지탱커스(Advantage Tanker)로부터 15만8000DWT급 원유운반선 1척의 건조를 주문받았다. 선박은 액화천연가스(LNG) 이중 연료를 사용하고 스크러버가 장착된다. 신조선가는 7900만 달러(약 1000억원)이다. 오는 2025년 9월 인도할 예정이다. 대한조선은 지난 2월 동급 선사와 15만8000DWT급 원유 탱커 3척의 건조의향서(LOI)를 체결한 바 있다. <본보 2023년 2월 15일 참고 대한조선, 스위스 어드밴티지탱커스와 유조선 3척 건조의향서 체결> 이번 주문은 당시 계약에서 남은 1척의 옵션을 발행한 것이다. 앞서 확정 물량 2척은 3월에 건조계약을 체결했다. 두 척은 2025년 2분기에 인도된다. 이번 계약까지 총 3척의 수주가는 4억7400만 달러(약 6043억원)이다. 대한조선은 지금까지 어드밴티지 탱커스와 수에즈막스를 포함해 총 5척의 신조 계약을 체결했다. 2014년에 설립된 어드밴티지 탱커스는 제네바와 런던에 사무소를 두고 있다. 19척의 원유운반선과 6척의 제품 탱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의 베트남 생산법인 중 포스코베트남이 또 다시 적자를 기록했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베트남은 지난해 15조3300억동(약 8556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 이는 전년 대비 26.14% 감소한 수치다. 여기에 수익성이 악화되며 지난해 397억원(약 7150억동)의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포스코의 철강 제품을 베트남에서 가공, 마케팅, 판매하는 포스코베트남가공센터는 14조4300억동(약 7838억원)의 매출을 냈다. 이는 전년대비 28.7% 증가한 수치이다. 하지만 매출과 달리 순이익은 낮았다. 2021년 실적보다 79% 줄어든 883억동(약 49억3000만원)에 그쳤다. 베트남은 경기 악화로 건설시장이 침체되면서 포스코베트남을 포함해 베트남 철강업계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 베트남 철강협회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생산량과 판매량 모두 지난해와 비교해 크게 줄었다. 실제 베트남 내 포스코라 불리는 호아팟그룹(Hoa Phat Group)도 영업이익이 감소했다. 호아팟의 작년 연결 매출은 전년 대비 5% 감소한 14조 2771억동(약 7809억원), 세후 연결 이익은 76% 감소한 8444억동(약 461억원)을 기록했다. 포스
[더구루=길소연 기자] 노르웨이 선사 쿨코(CoolCo)가 현대삼호중공업이 건조하는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척을 구매한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쿨코는 EPS벤처스(EPS Ventures Ltd) 계열사에 17만4000㎥ LNG 운반선 2척을 인수하는 옵션을 행사했다. 신조선은 현대삼호중공업에서 건조 중으로 오는 2024년 9월과 12월에 인도된다. 인수가는 척당 2억3000만 달러(약 3000억원)이다. 이는 동급 신조 선박의 현재 시장 가격에서 약 10% 할인된 가격이다. 쿨 타이거와 쿨 팬서로 명명될 신조 선박은 쿨코가 지난 2월 골라 실(Golar Seal) 선박 매각을 통해 확보한 현금과 금융기관으로부터 확약서를 받은 부채 금융을 포함해 보유한 현금으로 자금을 조달할 예정이다. 선박은 GTT 마크 III 플렉스 멤브레인 화물 탱크 시스템, 재액화, 공기윤활 및 샤프트 발전기를 갖추고 있다. 해당 선박은 지난해 2월 현대삼호중공업이 나이지리아 보노에너지로부터 수주한 선박이다. 이후 싱가포르 선사 이스턴퍼시픽쉬핑(Eastern Pacific Shipping, EPS)로 재판매 되면서 선박 주인이 바뀌었다. <본보 2022년 6월 11일 참고
[더구루=길소연 기자] 삼성중공업이 세계 6위 컨테이너선사 대만 에버그린으로부터 일감을 대거 따냈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중공업은 에버그린으로부터 1만6000TEU급 컨테이너선 24척의 건조 일감 대부분을 확보했다. 일본 니혼조선소(Nihon Shipyard)와 나눠서 수주했다. 삼성중공업의 수주 척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거의 따낸 것으로 알려졌다. 선가는 척당 1억7500만 달러(약 2300억원)이다. 24척 계약가는 총 42억 달러(약 5조5000억원) 수준이다. 신조선은 메탄올 이중 연료 추진 컨테이너선으로, 2026년과 2027년에 인도될 예정이다. 에버그린은 올 초 1만6000TEU급 이중연료 컨테이너선 입찰을 시작했다. 삼성중공업을 비롯해 한화오션, HD현대중공업에 입찰 참여를 요청했다. 일본 니혼조선소와 대만국제조선공사(CSBC), 중국 다롄조선(DSIC), 강남조선소, 후동중화조선, 양쯔장조선도 참여했다. <본보 2023년 4월 25일 참고 삼성중공업 등 조선 빅3 '들썩'…대만발 5.3조원 잭팟 수혜 기대> 이후 삼성중공업과 일본 니혼조선소가 최종 후보로 압축됐다. <본보 2023년 6월 13일 참고 삼성중공업, 대만발 '
[더구루=길소연 기자] 국내 조선업계의 실적 회복 변수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른 리스크가 떠오르고 있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조선업계는 러시아가 주문한 선박 대금을 제때 납부하지 못하고, 주문 물량 취소와 관련해 손해 배상을 제기하는 등 악재로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한화오션은 지난 5월 엘릭슨(Elixon), 아조리아(Azoria), 글로리나(Glorina) 등 러시아 선주 3곳이 1조1599억원 규모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당했다. 러시아 선주가 싱가포르 국제중재센터에 제기했다. 한화오션은 2020년 러시아 선주사들과 쇄빙(ice-breaking) LNG운반선 3척 건조 계약을 체결했다. 그러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경제 제재가 진행되면서 현지에 주요 기자재 공급이 지연·중단됐다. 한화오션은 러시아 선주들에게 건조 대금도 제때 받지 못해 계약을 해지했다. 건조중이던 쇄빙선은 자체 비용으로 건조한 뒤 선박을 필요로 하는 새 선주사를 물색한다는 방침이다. <본보 2022년 11월 30일 대우조선, 러시아 계약해지에도 쇄빙 LNG선 3척 건조 강행> 한화오션은 "중재 절차에 적극 대응해 나갈 예정이며, 이와 병행해 원만한 해결을 위
[더구루=길소연 기자] 전 세계 에너지 수요가 회복되면서 올해 초대형원유운반선(VLCC)의 건조가가 1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유럽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 제재로 미국과 중동에서 원유와 석유제품을 수입하는 장거리 운송이 늘면서 VLCC의 선호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2일 선박가치평가기관인 베셀즈밸류(VesselsValue)에 따르면 올해 세계 조선소들의 VLCC 수주잔량 12척이다. 이 물량을 한국, 중국, 일본이 나눠서 건조한다. 국가별 비중은 중국 50%, 한국 33%, 일본 17% 등이다. VLCC는 20만~32만t의 원유를 운반할 수 있는 초대형 선박이다. 원유의 수송이 장거리일수록 한꺼번에 많은 양을 실어 나르는 것이 경제적이기 때문에 적재용량이 큰 유조선이 선호되고 있다. VLCC 선가도 상승세다. 영국 조선·해운 분석기관인 클락슨에 따르면 전통적인 연료 추진 방식의 32만DWT급 VLCC의 최근 시장가격은 1억2600만 달러(약 130억원) 수준이다. 올해 들어 유조선 시황이 호조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선박가격은 지난해 말 대비 600만 달러 올랐다. 이는 2009년 8월 이후 최고점에 해당하는 수치다. 한국이 기술력을 앞세워 고부가가치
[더구루=길소연 기자] 글로벌 선사들이 가격 경쟁력에 홀려 중국향 발주를 이어가고 있다. 중국 조선소가 저가 수주를 무기로 수주전에 적극 뛰어들고 있어서다. 1일 영국 조선해운시황 전문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5월 선박 발주량 79척 가운데 중국이 141만CGT(52척, 68%), 한국이 51만CGT(17척, 25%)를 수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월 누계 수주는 1373만CGT(502척)이며 중국 713CGT(299척, 52%), 한국 474CGT(104척, 35%)로 집계됐다. 친환경 선박 시장의 고도성장 속에서 중국 조선소들은 저가 수주로 물량 공세하고 있다. 실제로 중국 조선업체인 양쯔장조선은 글로벌 2위 선사인 머스크와 14억 달러(약 1조9000억 원) 규모에 8000TEU(1TEU는 20피트짜리 컨테이너 1개)급 메탄올선 8척을 건조하는 계약을 맺었다. 양쯔장조선은 국내 조선소보다 1000억원 이상 낮게 써내 수주에 성공했다. 또 CMA CGM에서 메탄올을 연료를 사용하는 2만4000TEU급 컨테이너선 최대 10척의 건조 일감을 확보했다. <본보 2023년 5월 16일 참고 CMA CGM, 中 최대 양쯔장조선에 메탄올 컨테이너선 10척
[더구루=윤진웅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루시드 모터스(Lucid Motors, 이하 루시드)가 첫 번째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그래비티(Gravity)’ 고객 인도를 실시한다. 지난해 12월 생산을 시작한 지 약 4개월 만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루시드는 이달 말 그래비티 고객 인도를 시작한다. 이는 마크 윈터호프(Marc Winterhoff) 루시드 임시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밝힌 내용이다. 그는 개인 SNS 계정을 통해 "전시 차량과 시승 차량 제작 마무리 단계를 거치고 있다"며 "4월부터 미국 내 주요 매장에 배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닉 트워크(Nick Twork) 루시드 대변인 역시 "초기 그래비티 생산은 내부 테스트 등을 목적으로 일부 제한된 고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나 이제 일반 고객 인도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루시드는 지난해 12월 미국 애리조나 공장에서 그래비티 생산을 개시했으며, 같은 달 직원 및 가족, 일부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첫 차량을 인도한 바 있다. 그래비티는 루시드가 지난해 LA 오토쇼에서 처음 공개한 전기 SUV 모델이다. 전기 세단 ‘에어(Air)’에 이어 SUV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 샤오미가 신형 증강현실(AR)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했다. 샤오미는 신형 AR 스마트 글래스를 30만대 이상 출하해 메타 레이벤 스마트 글래스와 경쟁한다. [유료기사코드] 5일 업계에 따르면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를 공개하고, 크라우드 펀딩을 개시했다. 크라우드 펀딩은 오픈 당일 매진됐다. 정식 출시가(1199위안, 약 24만원)보다 20% 저렴한 가격으로 구매할 수 있었던 것이 매진 이유라는 분석이다.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는 샤오미에서 자체 개발한 미지아 글래스앱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샤오미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은 이전 세대 모델에 비해 프레임이 더 얇아져 템플(안경 다리)의 두께가 5밀리미터(mm)에 불과하다. 무게는 27.6g이다. 샤오미는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 1년간 개발한 힌지를 적용했다. 샤오미는 해당 힌지가 1만5000번을 굽혔다 펴도 정상적으로 작동했다고 설명했다. 프레임 옵션은 총 5가지 스타일이 제공되며 압력을 분산시키는 디자인을 적용해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미지아 스마트 오디오 글래스 2에는 지능형 알고리즘이 적용된 4개 마이크가 장착돼 통화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