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미국 실리콘밸리 소재 벤처캐피털(VC) 알토스벤처스가 성층권 플랫폼 스타트업 어반스카이(Urban Sky)에 투자했다. 어반스카이는 6일(현지시간) 3000만 달러(약 430억원) 규모 시리즈B 자금조달 라운드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알토스벤처스가 주선했다. △뉴레거시벤처스 △레러 히포 △캐터펄트벤처스 △라브록벤처스 △뉴스택벤처스 △텐원텐 △DA벤처스 △유니온랩스 등이 투자했다. 어반스카이는 성층권에서 지상을 관측하는 자율주행 열기구를 개발하는 스타트업이다. 성층권 마이크로벌룬을 상용화했다. 6만 피트 이상 고도에서 관측 활동을 한다. 산불 모니터링을 비롯해 안보 등에 활용할 수 있다. 어반스카이는 "우리는 이미 성층권에서 일상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큰 진전을 이뤘다"면서 "새로운 자본을 통해 기술 개발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알토스벤처스는 한국계 미국인 한킴(한국명 김한준) 대표가 지난 1996년 설립한 VC다. 알토스벤처스는 초기 단계인 시드와 시리즈A 투자에 집중한다. 특히 투자한 기업의 후속 투자유치 지원에 적극적이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글로벌 자산운용사 피델리티(Fidelity)가 오픈AI의 대항마로 불리는 앤트로픽(Anthropic)의 지분을 늘렸다. 기술 투자 차원으로 향후 AI(인공지능) 발전에 대한 높은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피델리티는 앤트로픽 지분율을 25%까지 늘리는 데 성공했다. 앞으로 5000만 달러(약 720억원)를 투자해 약 150만 주에 달하는 지분을 추가 인수할 계획이다. 피델리티는 이번 거래가 미래 가치를 약속하는 기술 투자 중심으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또한 앤트로픽에 대한 투자 확대를 통해 AI의 혁신적 잠재력을 인정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피델리티는 “전략적 투자와 AI 부문에 대한 광범위한 영향은 중요한 부활의 신호”라며 “앞으로 기술 중심 솔루션과 전략을 위한 길을 열어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거래는 파산 상태에 빠진 FTX가 고객 보상을 위해 앤트로픽 지분을 대거 매각하는 과정에서 이뤄졌다. FTX는 지난해 보유하고 있던 앤트로픽 지분 중 3분의2를 매각해 8억8400만 달러(약 1조2165억원)의 자금을 확보한 바 있다. FTX는 지난 2021년 앤트로픽에 5억 달러(약 7200억원)를 투자해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국의 한국계 벤처 캐피탈(VC)인 알토스벤처스가 미국 인슈어테크 스타트업 XILO에 투자했다. 인슈어테크 산업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해 이번 투자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알토스벤처스는 최근 XILO의 720만 달러(약 100억원) 규모 시리즈A 펀딩 라운드에 주요 투자자 중 하나로 참여했다. 알토스벤처스 외에 △코브 펀드 △내비게이트 벤처스 LLC △뉴 스택 벤처스 △스플래시 캐피탈 등이 주요 투자자로 이름을 올렸다. 지난 2018년 설립된 XILO는 보험사 전용 자동화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다. 코드가 필요 없는 자동화 접근 방식을 통해 보험 대리점에 소비자 서비스 제공을 위한 최첨단 도구를 제공한다. 기존 보험 시스템을 원활하게 연결할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워크플로를 자동화 해 보다 간소화 된 서비스를 지원한다. XILO는 최근 1년 6개월 동안 500% 이상의 성장률을 달성했으며 개인 및 상업용 에이전시를 위한 20개의 플랫폼 통합을 도입했다. 또한 수백 개의 에이전시를 온보딩하고 모든 주요 보험 라인에 걸쳐 30개 이상의 보험 기반 시스템과 플랫폼 통합을 구축했다. 알토스벤처스는 인슈어테크 시장의 성장
[더구루=정등용 기자] 국내 방산 기업으로 구성된 상장지수펀드(ETF)가 미국 시장에 출시됐다. K-방산에 대한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 유입도 보다 폭 넓게 이뤄질 전망이다. 미국 현지 ETF 플랫폼 운용사인 ETC(Exchange Traded Concepts)는 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 산하 아르카(NYSE Arca) 거래소에 한화자산운용의 ‘PLUS 코리아디펜스인더스트리 인덱스 ETF(KDEF)’를 상장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ETF는 한국의 첨단 방위 산업에 대한 노출을 제공하기 위해 설계됐다. 한국 방산 혁신 기업의 성과를 추종하며 국가 안보와 글로벌 경쟁력에 중요한 방위 제조, 기술 서비스 기업의 지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ETC는 지난해 10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PLUS 코리아디펜스인더스트리 인덱스 ETF 상장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 과정에서 한화자산운용과의 협업도 결정됐다. ETC와 한화자산운용은 최근 한국 방산 기업들에 대한 외국인들의 투자가 늘어나는 데 주목해 이번 ETF 출시를 결정했다. 실제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LIG넥스원, 현대로템, 한국항공우주 등이 외국인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번 PLUS 코리아디펜스인
[더구루=홍성환 기자] 글로벌 사모펀드(PEF) 운용사가 지난해 소형모듈원전(SMR) 등 첨단 원자력 발전 관련 기술기업에 1조1000억원에 달하는 자금을 쏟아부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공지능(AI) 산업 활성화 등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글로벌 원전 르네상스 기대감이 커진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5일 스탠더드앤프푸어스(S&P) 글로벌 마켓 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지난해 첨단 원자력 발전 부문의 사모펀드 거래액은 7억8330만 달러(약 1조1350억원)를 기록했다. 이는 전년 5350만 달러(약 780억원) 대비 13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거래 건수는 여섯 건으로 전년보다 두 배 증가했다. 해당 데이터는 SMR을 비롯해 3세대 원자로, 고순도 저농축 우라늄 등의 기술을 보유한 기술이 포함된다. 투자 유치 기업으로는 △엑스에너지 △잽에너지 △레디언트 인더스트리스 △알로아토믹스 △블리칼라 △스테디에너지 등이다. 제프리 메리필드 필스버리 파트너는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첨단 원전 에너지에 대한 사모펀드의 관심이 큰 폭으로 늘었다"면서 "현재도 잠재적 거래가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로 구글 모기업인 알파벳은 작년 10월 용융염 냉각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캐피탈이 미국 조지아주(州) 애틀란타에 새로운 거점을 마련했다. 현대차·기아의 북미 시장 공략을 지원할 전망이다. 5일 미국 부동산 중개업체 워크스페이스프로퍼티에 따르면 현대캐피탈 아메리카는 조지아주 애틀란타 컴벌랜드 지역에 위치한 사무실의 임대차 계약을 맺었다. 임대 계약을 중개한 워크스페이스 관계자는 "현대캐피탈 아메리카와 같은 장기 임차 파트너를 지원하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고 전했다. 현대캐피탈 아메리카는 현대차와 기아의 북미 판매에서 핵심적 역할을 맡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한 해 미국 시장에서 역대 가장 많은 자동차를 판매했다. 현대차그룹의 캡티브 금융 자회사로 수익성 개선 효과를 얻었다. 현대차(제네시스 포함)와 기아는 2024년 미국에서 170만8293대를 판매해 전년보다 3.4% 증가했다. 기존 최다 판매 기록이었던 2023년(165만2821대)을 5만대 넘게 웃도는 수치다. 현대차·기아 합산 연간 미국 판매량이 170만대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현대차는 4.8% 상승한 91만1805대, 기아는 1.8% 증가한 79만6488대 각각 판매했다. 현대차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는 전년 대비 8.4% 늘어난 7만
[더구루=정등용 기자] OK금융 인도네시아법인 OK뱅크 인도네시아가 현지 국책은행으로부터 대출 지원을 확보했다. 4일 OK뱅크 인도네시아 공시에 따르면 업체는 인도네시아 국책은행인 뱅크 다나몬 인도네시아(BDMN)와 뱅크 페르마타(BNLI)로부터 각각 500억 루피아(약 45억원)씩 총 1000억 루피아(약 90억원)의 대출 지원을 확보했다. 에프디날 알람샤 OK뱅크 인도네시아 이사는 이번 대출 지원이 NSFR(순안정자금조달비율)과 유동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OK금융은 지난 2016년 안다라뱅크를 인수하며 인도네시아에 진출했다. 이후 2018년 디나르뱅크를 추가로 인수했으며 이듬해 두 은행을 합병해 통합 은행을 공식 출범했다. 지점의 경우 △반둥 △자카르타 △세마랑 △수라바야 △덴파사르 등 주요 도시에서 16곳을 운영하고 있다. OK뱅크 인도네시아의 총 자산은 지난해 3분기 기준 11조2600억 루피아(약 1조원), 총 자본은 3조6100억 루피아(약 3200억원)에 이른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GS그룹 산하 기업형벤처캐피털(CVC)인 GS퓨처스가 미국 건자재 거래 플랫폼 소일커넥트(Soil Connect)에 추가 투자했다. 소일커넥트는 비공개 금액 신규 자금조달에 성공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라운드는 하트랜드벤처스가 주도했다. GS퓨처스를 비롯해 시멕스벤처스, AM벤처스, TIA벤처스 등이 참여했다. GS퓨처스는 앞서 지난 2022년 이 회사에 처음 투자한 바 있다. <본보 2022년 6월 16일자 참고 : [단독] GS, 건설업 디지털 전환 기술력 확보 전력…美스타트업 베팅> 소일커넥트는 지난 2018년 설립된 스타트업이다. 토양, 골재를 비롯한 기타 건축 자재 소매 거래를 돕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건축 전문가는 고품질 자재를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고 판매자는 중간 유통비용 등을 지불할 필요 없이 직거래를 통해 마진을 최대화 할 수 있다. 인근 직거래로 이뤄지는 만큼 운송 과정에서의 탄소 배출을 줄여줘 친환경적이다. 또 첫 거래가 만족스러울 경우 지속 관계를 맺어 지역 내 소규모 공급망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더구루=정등용 기자] 미래에셋그룹이 미국 하와이에 위치한 특급 호텔 ‘하얏트리젠시 와이키키비치 리조트&스파(하얏트리젠시 와이키키호텔)’의 매각을 저울질 하고 있다. 투자 포트폴리오 정리 작업의 일환으로 하와이 관광 시장에 대한 회복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은 하얏트리젠시 와이키키호텔의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매각 자문사도 선임했으며 잠재적 거래 가치는 6억5000만 달러(약 9500억원)로 평가된다. 이번 결정은 지난 2021년 리파이낸싱 이후 투자 포트폴리오를 최적화 하려는 미래에셋의 전략적 판단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이에 더해 하와이 관광 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고가 부동산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증가한 것도 요인이 됐다. 실제 아시아 투자자들은 미국 시장에서 적극적으로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특히 호스피탈리티 부문에서 광범위한 투자 기회를 노리고 있는 트렌드와도 일치한다는 게 현지 업계 반응이다. 현지 호텔 업계 관계자들은 이번 잠재적 거래를 둘러싼 상황과 하와이 관광 시장에 대한 향후 투자 영향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고 있다. 미래에셋은 지난 2016년 미국 사모펀드 운용사인 블랙스톤
[더구루=정등용 기자] 중국 딥시크(DeepSeek)의 등장으로 엔비디아 주가가 폭락한 가운데 그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딥시크가 저비용 고성능 AI(인공지능) 모델로 시장에 충격을 줬지만 궁극적으로는 기술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유료기사코드] 미국 투자 전문매체 더 모틀리 풀(The Motley Fool)은 3일 ‘엔비디아 주주가 딥시크 AI 때문에 잠 못 이루는 이유(Why This Nvidia Shareholder Isn't Losing Sleep Over DeepSeek AI)’란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딥시크가 엔비디아에 미칠 영향을 전망했다. 더 모틀리 풀은 딥시크가 업계 전체를 보다 효율적인 오픈소스 아키텍처로 전환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엔비디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예측했다. AI 모델 실행 가격을 낮추면 수요가 증가해 총 소비량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더 낮은 비용으로 엔비디아 AI 칩을 더 많이 구매할 수 있는 유인이 될 것이란 주장이다. 더 모틀리 풀은 “딥시크가 엔비디아 칩을 기반으로 구축됐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면서 “그 누구도 엔비디아의 이 같은 우위에 도전하지 못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특히 더
[더구루=정등용 기자] LG가 음성 AI(인공지능) 스타트업 일레븐랩스(ElevenLabs)에 투자했다. 투자 자금은 일레븐랩스의 기술 개발 사업에 쓰일 예정이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일레븐랩스는 최근 a16z와 아이코닉 그로스가 공동 주도한 시리즈C 라운드를 통해 1억8000만 달러(약 2600억원)의 자금을 조달했다. 기업 가치는 33억 달러(약 4조8100억원)로 평가됐다. LG그룹의 기업형 벤처 캐피털(CVC)인 LG테크놀로지벤처스는 이번 라운드에 전략적 투자자 중 하나로 참여했다. LG테크놀로지벤처스 외에 △도이치 텔레콤 △허브스팟 벤처스 △NTT 도코모 벤처스 △링센트럴 벤처스 등이 이름을 올렸다. 신규 투자자로는 △NEA △WiL(World Innovation Lab) △발로 △엔데버 카탈리스트 펀드 △루네이트 등이 포함됐다. 일레븐랩스는 지난해 10억 달러(약 1조4600억원)의 기업 가치로 8000만 달러(약 1160억원) 규모의 시리즈B 라운드를 유치한 바 있다. 이로써 현재까지 모금한 총 투자 금액은 2억8100만 달러(약 4100억원)에 이른다. 일레븐랩스는 투자 자금을 오디오 기술 개발과 사업 확장에 사용할 방침이다. LG테크놀로
[더구루=정등용 기자] 지난해 외국환은행의 하루 평균 외환거래액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서학개미'로 불리는 국내 투자자의 해외 투자를 비롯해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 거래, 환율 상승에 따른 환헤지 등의 영향으로 해석된다. 2일 한국은행의 '2024년 중 외국환은행의 외환거래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외국환은행의 일평균 현물환·외환파생상품 등 외환거래 규모는 689억6000만 달러로 전년 659억6000만 달러 대비 4.6%(+30억1000만 달러) 늘었다. 지난 2008년 통계 개편 이후 역대 최대치다. 주된 이유는 국내 투자자의 해외증권 투자와 외국인의 국내증권 투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지난해 국내 투자자의 외화증권 결제액은 6459억 달러로 전년 3826억 달러 대비 69% 많았다. 외국인의 국내 증권투자 거래액도 월평균 223조 원으로 전년 205조원보다 8.8% 증가했다. 상품별로는 현물환 거래 규모가 256억7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억3000만 달러(-0.5%) 감소했다. 외환파생상품 거래규모는 432억90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31억4000만 달러(+7.8%) 증가했다. 국내 기업들의 환위험 헤지 수요도 외환거래액이 늘어난 배경으로 꼽힌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독일 연방군이 LIG넥스원이 인수한 미국 고스트로보틱스의 사족보행 로봇 '비전60'을 정찰용으로만 운용하겠다는 계획을 공식화했다. 최근 미군을 중심으로 로봇의 무기화가 잇따라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독일군의 결정이 향후 세계 각국의 '로봇개' 도입 논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유료기사코드] 31일 독일 경제지 하이제(Heise)에 따르면 연방군은 이 매체가 비전60의 무기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보낸 질의서에 "비전60에 대한 무장 계획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다"고 공식 답변했다. 이어 "비전60은 시각 카메라와 열화상 카메라를 이용해 장애물을 탐지하고 필요시 라이다(LIDAR) 센서를 활용해 지도를 작성할 수도 있다"며 "무장 기능이 아닌 정찰 및 감시 역할을 수행할 것이며, 기존의 바퀴나 궤도를 사용하는 무인 차량과 달리 사족 보행 로봇은 산악지형이나 다층 건물에서도 기동성을 확보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고 덧붙였다. 독일 연방 군비, 정보 기술 및 지원청(BAAINBw)은 작년 9월 튀링겐에 위치한 보안전문 회사 ATC SiPro를 통해 고스트로보틱스에 비전60 4대를 발주했다. 공급가는 공개되지 않았다. 연방군은
[더구루=홍성일 기자] 미국 공군이 기존 '군용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페이스X의 군사용 군집위성 시스템인 '스타실드(Starshield)'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스타실드는 스페이스X 스타링크 위성을 기반으로 보안을 강화하고 정찰, 미사일 경보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유료기사코드] 31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공화당 소속 케빈 크라이머(Kevin Cramer) 상원의원은 지난 27일(현지시간) 진행된 상원 군사위원회 청문회에서 "공군이 국방부 산하 우주개발청(SDA)의 T2TL(Tranche 2 Transport Layer)·T3TL(Tranche 3 Transport Layer) 위성 조달을 취소하고 스페이스X 위성(스타실드)을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소식을 들었다"고 밝혔다. 케빈 크라이머 의원의 이같은 발언에 미국 공군은 즉각 성명을 발표하고 "T2TL와 T3TL에 대해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없다"며 "2026년도 예산 심의 과정에서 모든 획득 프로그램을 평가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미국 공군이 기존 T2TL와 T3TL 위성 조달 계획을 철회하고 스타실드 도입을 검토하기로 알려진 것은 예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미국 공군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