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가 원유·천연가스 생산량을 늘리기 위한 유전 확장 사업을 본격화한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아람코는 오는 2027년까지 일일 최대 원유 생산 능력을 기존 1200만 배럴에서 1300만 배럴로 확대하기 위해 다수의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에 마잔과 줄루프, 사파니아, 베리 등에 있는 유전을 개발할 방침이다. 이 가운데 마잔 유전 확장 프로젝트가 가시화하고 있다. 마잔 유전은 사우디아라비아 동부 샤르키야주(州)의 주도 담맘에서 북서쪽으로 약 250㎞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현재 마잔 유전 확장 사업과 관련해 해저 케이블 플랫폼 공사를 비롯해 3개 프로젝트의 발주가 진행되고 있다. 프로젝트 점진적으로 실행되면 일일 생산량이 단기적으로 최대 80만 배럴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세계 최대 에너지 기업이자 사우디 국영기업인 아람코는 대규모 국가 프로젝트를 추진하는 가운데 세계 최대 발주처로 평가받는다. 최근 국제 유가 상승으로 사우디를 비롯한 중동지역 건설 사업이 본격 재개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건설이 베트남 하노이 도시철도 공사 재개를 위해 현지 당국과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다. 2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대건설·겔라 컨소시엄은 이달 초 하노이 인민위원회와 도시철도 3호선 공사와 관련해 논의를 진행했다. 인민위원회 측은 이 자리에서 내달 중으로 원주민 이전 문제를 해결하는 등 공사 재개를 위해 노력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함께 공사 계약 기간을 연장하고 분쟁조정위원회 결정에 따라 공사 지연에 따른 추가 비용을 지급할 것을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업은 하노이 북서부와 남부를 잇는 도시철도 3호선의 뇬과 하노이 구간 4개 역사를 짓는 것이다. 총사업비는 14억2000만 달러(약 1조9070억원)다. 현대건설은 이탈리아 건설업체 겔라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 공사를 수행 중이다. 그런데 원주민 보상 문제가 지연되면서 작년 6월 이후 1년 넘게 공사가 멈췄다. 이에 현대건설 컨소시언은 지난해 11월 공사 지연에 따른 피해보상으로 1억1470만 달러(약 1540억원)를 청구했다. <본보 2021년 11월 7일자 참고 : 현대건설, '하노이 도시철도 공사 중단' 1400억 보상 요구> 이 사업은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엔지니어링이 베트남 수처리업체 DNP워터와 동남아 물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베트남은 동남아 국가 가운데서도 빠른 도시화와 인프라 부족 등으로 수처리 시장 잠재력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DNP워터는 지난 23~24일(현지시간) 이틀간 베트남 호찌민에서 삼성엔지니어링과 베트남 수처리 시장 투자 협력을 위한 세미나를 진행했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세미나에는 삼성엔지니어링과 DNP워터 임직원을 비롯해 정부 관계자도 참석했다. 양사는 베트남 상하수도 처리 시스템 현황 등을 공유하며 향후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이와 함께 신한은행이 마지막날 참여해 현지 수처리 사업과 관련한 프로젝트 파이낸싱에 대해 이야기했다. DNP워터는 베트남 상수도 사업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으로, 민간기업으로는 베트남 내 최대 규모의 수처리 업체다. 베트남 정부의 기존 상수 민영화 자산 매입과 신규 사업 개발을 통해 상수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이달 초 이 회사의 지분 24%를 4100만 달러(약 550억원)에 인수하며 2대 주주가 됐다. 지분 인수를 완료하며 이사회에도 공식적으로 참여했다. 양사는 삼성엔지니어링의 풍부한 EPC 경험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물산이 말레이시아 부동산 개발업체 케르자야 프로스펙(Kerjaya Prospek)과 함께 동남아 전기·전자제품 공장 건설 수주에 나선다. 주요 글로벌 기업들이 동남아 지역으로 생산 거점을 옮기면서 관련 공사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데 따른 것이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다툭티응호 케르자야그룹 회장은 최근 언론 간담회에서 "삼성물산과 함께 고층빌딩 개발 사업과 전기·전자제품 공장을 우선 순위에 두고 수주를 추진할 것"이라며 "우리 고객은 다국적 기업이 될 것이며 앞으로 2~3년간 전기·전자제품 공장은 큰 시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삼성물산은 전기·전자제품 공장 건설 분야에서 강점을 갖고 있다"고 강조했다. 삼성물산과 케르자야는 앞서 지난 6월 동남아 시장 건설 시장에서 협력하는 업무협약을 맺은 바 있다. 이를 통해 말레이시아 사업 확대와 더불어 중장기적으로 동남아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삼성물산은 양사간 파트너십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케르자야가 싱가포르에 설립한 투자회사인 비스타C&I가 케르자야에 지분 투자를 한다. <본보 2022년 6월 10일자 참고 : [단독] 삼성물산, 말레이시
[더구루=홍성환 기자] GS건설 영국 자회사인 고층 철골 모듈러 전문업체인 '엘리먼츠 유럽'이 영국 임대주택 개발 사업에 나선다. GS건설 허윤홍 사장이 미래 핵심 신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모듈러 사업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엘리먼츠 유럽은 영국 부동산 개발업체 굿스톤리빙과 영국 버밍엄에서 추진하는 임대주택 사업 시공사로 참여를 놓고 협의하고 있다. '버밍엄 임대주택 사업'은 굿스톤리빙이 버밍엄의 중심지인 디그베스 지역에서 추진되는 것으로 약 1만6200㎡ 규모 부지에 550가구 규모 임대주택을 건설하는 프로젝트다. 이미 버밍엄 시의회로부터 사업 승인을 받았다. 내년 1분기 공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마틴 벨린저 굿스톤리빙 회장은 "버밍엄은 영국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대도시로 거주자 증가에 따라 전문적으로 관리되는 고품질 임대 시설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엘리먼츠 유럽은 최근 완공된 런던 소재 고급 레지던스 등을 포함해 영국 내 다수의 고층 모듈러 실적을 보유한 철골 모듈러 전문회사다. 영국 내 모듈러 전문회사 가운데 매출 기준 3위에 올라있다. GS건설은 지난 2020년 초 엘리먼츠 유럽을 인수한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건설과 삼성엔지니어링이 약 2조7000억원 규모 초대형 석유화학 플랜트 공사를 놓고 경쟁한다. 그동안 부진했던 중동 수주가 다시 활기를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앵커리지인베스트먼트는 23일(현지시간) 수에즈운하 경제구역에서 추진하는 석유화학 플랜트 개발 사업인 '앵커 베니토아이트(Anchor Benitoite)' 프로젝트의 설계·시공·조달(EPC) 사업자 최종 후보로 현대건설과 삼성엔지니어링 등 우리 건설사를 비롯해 이탈리아 테크닙, 스페인 테크니카 레우니다스 등 네 곳을 최종 후보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수에즈운하 경제구역 내 연산 175만t 규모의 화학 플랜트를 건설하는 것이다. 프로필렌과 폴리프로필렌, 원유 아크릴산, 부틸아크릴레이트 등을 생산할 예정이다. 총투자액은 20억 달러(약 2조7000억원)에 이른다. 이르면 연내 최종 사업자가 선정될 예정이다. 사업자는 이 사업의 기본설계(FEED)와 EPC를 수행하게 된다. 아메드 모하람 앵커리지엔베스트먼트 설립자는 "이 사업은 이집트의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화학 제품 수출과 외국인 직접 투자를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다수의 글로벌 금융기관이 이 사업에 참여할
[더구루=홍성환 기자] 전 세계적인 전염병 대유행으로 침체를 겪은 걸프협력회의(GCC) 프로젝트 시장이 유가 회복세 등에 힘입어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21일 코트라 아랍에미리트(UAE) 두바이무역관의 '2022년 상반기 GCC 프로젝트 시장 동향 및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GCC 프로젝트 계약 규모는 396억3300만 달러(약 53조원)로 전년 동기 대비 25% 줄었다. 하반기 대규모 프로젝트 발주나 계약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올해 GCC 프로젝트 계약 규모는 전년 1146억8700만 달러(약 152조원) 대비 70%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분야별로 보면 건설 부문이 지속해서 축소되며 상반기 100억 달러(약 13조원)에도 못 미쳤다. 이에 반해 교통 분야는 전년 동기 대비 2배 가까이 성장했다. 가스 분야는 2021년 카타르의 대형 LNG 프로젝트로 인해 큰 폭으로 증가했으며, 올해도 2020년보다 큰 규모를 달성할 전망이다. 국가별로 사우디아라비아가 스마트시티 네옴(NEOM) 프로젝트, 국영석유사 아람코의 탄화수소 처리 시설 건설 등 기가 프로젝트 계약을 맺으며 전체의 62%를 차지했다. 이외에 UAE 19%, 카타르 10%, 쿠웨이트·오
[더구루=홍성환 기자] 사우디아라비아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가 약 130조원 규모의 자푸라 가스전 프로젝트를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우리 건설사에 큰 기회가 될 전망이다.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아람코는 최근 실적 발표에서 오는 2030년까지 자푸라 가스전 확장 사업을 단계적으로 진행한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사업비는 1000억 달러(약 133조원)에 이른다. 오는 2025년까지 1단계 사업을 완료하고 2027년부터 2단계 사업에 돌입할 방침이다. 아람코는 "자푸라 프로젝트는 수소와 암모니아 생산을 위한 공급 원료를 제공하고 지속해서 증가하는 에너지 수요를 충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8년 간 가스 생산량을 50% 이상 확대할 것"이라고 전했다. 자푸라 가스전은 세계 최대 유전인 가와르 유전 남동부에 위치한 가스전이다. 200조 입방피트 규모의 액화가스 매장량을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개발이 완료되는 오는 2036년에는 생산량이 현재 사우디아라비아 전체 생산량의 4분의 1 수준인 2조2000억 입방피트에 달할 전망이다. 현대건설과 삼성엔지니어링이 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자푸라 가스처리 프로젝트의 황회수설비와 유틸리티 기반시설
[더구루=홍성환 기자] 삼성물산이 최근 수주한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철도 터널 공사와 관련해 보험 계약을 맺었다. 공사가 곧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사우디아라비아 와타니야보험은 17일(현지시간) 삼성물산과 네옴시티 철도 터널 공사에 대한 1400만 달러(약 180억원) 규모 보험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공사는 네옴의 주요 사업인 선형 개발 프로젝트 '더 라인(The Line)'의 인프라 공사 일환이다. 네옴 지하에 총 28㎞ 길이의 고속·화물 철도 서비스를 위한 터널을 뚫는 공사다. 삼성물산·현대건설 컨소시엄은 스페인 FCC 컨소시엄과 함께 터널 상·하부 공사를 나눠 담당하게 된다. 더 라인 프로젝트는 작년 1월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직접 발표한 총길이 170㎞ 규모 초연결 커뮤니티 벨트 조성 사업이다. 지상은 보행자를 위한 친환경 공간으로 조성하고 철도, 도로 등 교통 인프라는 지하에 위치한다.
[더구루=홍성환 기자] 캐나다 원전기업 테레스트리얼 에너지(Terrestrial Energy)가 캐나다 서부 앨버타주(州)에 소형모듈원자로(SMR) 개발을 추진한다. 테레스트리얼과 파트너십을 맺은 DL이앤씨가 글로벌 SMR 시장에 진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유료기사코드] 테레스트리얼은 11일(현지시간) 앨버타주 정부 산하 기업이 인베스트앨버타와 통합용융염원자로(IMSR) 열병합 발전소의 상용화에 협력하는 내용의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앨버타주 등 서부 캐나다 지역에서 IMSR 열병합 발전소 개발을 추진할 방침이다. IMSR은 '4세대 원자로'로 평가받는 혁신 기술이다. 핵연료가 냉각재에 녹아있는 형태로 액체연료 원자로라고도 불린다. 냉각재와 핵연료를 하나의 액체로 혼합해 가동하기 때문에 냉각재가 없어지는 상황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이에 안전성과 경제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 사이먼 아이리시 테레스트리얼 최고경영자(CEO)는 "4세대 SMR 기술로 불리는 IMSR 열병합 방전소는 앨버타주의 탈탄소 경제를 지원할 것이다"고 전했다. 테레스트리얼은 2012년 설립된 원전 기업으로 향후 10년 내 IMSR
[더구루=홍성환 기자] 현대건설이 수행하는 베트남 꽝짝1 석탄발전소 공사가 부지 이전 지연으로 차질을 빚는 것으로 알려졌다. 1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전력공사(EVN)는 꽝짝1 석탄발전소 공사를 수행하는 현대건설 컨소시엄에 일부 건설 부지를 아직 양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근 주민에게 지급할 농지 보상금과 관련해 아직 정부의 승인을 얻지 못했기 때문이다. 발전소 부지 인근 주민들은 보상금을 요구하며 이전을 거부했다. 이에 꽝빈성 인민위원회는 지난 6월까지 보상금을 지급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하지만 아직 정부의 승인을 얻지 못해 작업이 지연되고 있는 상태다. 이 사업은 베트남 중부 해안 꽝빈성에 600㎿(메가와트)급 화력발전소 2기를 건설하는 것이다. 총사업비는 30조 동(약 1조6700억원)이다. 현대건설은 일본 미쓰비시, 베트남 CC1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 사업을 수주했다. 수주액은 9500억원이다. 공사 기간은 착공일로부터 48개월다. 작년 하반기 국영 상업은행 비엣콤은행으로부터 사업비를 조달하며 공사를 시작했다. 완공 후 국가전력망에 매년 84억kWh의 전력을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보 2021년 7월 1일자 참고 : '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건설이 이라크 정부와 비스마야 신도시 사업을 정상화하기 위한 협상에 본격적으로 돌입했다. 이라크 국가투자위원회(NIC)는 10일(현지시간) 바그다드 청사에서 한화건설 대표단과 비스마야 신도시 공사 재개를 위한 첫 회의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비스마야 신도시 프로젝트는 이라크 전후 복구 사업의 일환으로, 이라크 수도인 바그다드에서 동남쪽으로 10㎞ 떨어진 비스마야 지역에 10만 가구 규모의 신도시를 건설하는 것이다. 한화건설은 지난 2012년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공사와 2015년 사회기반시설 공사를 각각 수주했다. 하지만 현재 이 공사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와 공사비 미지급 등의 문제로 최소한의 작업만 이뤄지고 있는 상태다. 이에 이라크 측은 사업 정상화를 위해 최근 한화건설에 협의를 요청한 바 있다. <본보 2022년 7월 29일자 참고 : [단독] 한화건설·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사업 정상화 협의 시동> 양측 간 최대 쟁점은 미지급된 공사비다. NIC 측은 이미 충분한 공사비를 지급했다고 주장하는 데 반해 한화건설 측은 미수금을 받아야 공사를 재개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한화건설 사업보고서를 보면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가 현지 엔지니어링 회사 GSE솔루션즈와 수소 사업 협력을 강화한다. 연료전지 시뮬레이터 개발에 협력하고 이를 기반으로 대규모 수소 생산을 모색한다. [유료기사코드] 7일 GSE솔루션즈에 따르면 이 회사는 뉴스케일파워의 수소 생산을 지원할 연료전지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 시뮬레이터는 연료전지 설계와 운전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필요한 설비다. GSE솔루션즈와 뉴스케일파워가 개발한 시뮬레이터는 가역적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Reversible Solid Oxide Fuel Cell·이하 RSOFC)용이다. RSOFC는 수소와 산소를 결합해 전기를 만드는 SOFC, 이와 반대로 물을 전기로 분해해 고순도의 수소를 생산하는 SOEC를 번갈아 작동할 수 있는 장치다. GSE솔루션즈는 시뮬레이션 도구인 제이탑메런트(JTopmeret®)와 제이로직(JLogic)을 제공해 증기 공급과 수소 압축 열 회수 시스템을 재설계했다. 이를 통해 구현된 시뮬레이터는 미국 오리건주 뉴스케일파워 본사에 위치한 SMR 제어실 시뮬레이터와 연동된다. 뉴스케일파워는 SMR 회사 최초로 SMR 시뮬레이터와 수소 생산을 통합해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하루
[더구루=김명은 기자] 글로벌 주류 기업 디아지오(Diageo)가 아프리카 가나 양조장을 매각했다. 생산 시설 소유와 운영에서 완전히 손을 뗀다. 대신 가나 시장에서 자사 브랜드의 존재감을 유지하는 '자산 경량화(asset-light)' 전략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디아지오는 지난 3일(현지시간) 주류 제조업체 기네스 가나 브루어리(Guinness Ghana Breweries PLC, GGBL) 주식 총 2억4729만1361주를 프랑스 카스텔그룹(Castel Group)에 매각했다. 이는 디아지오가 가진 지분 80.4% 전량에 해당한다. 대금 없는 주식 양도 방식(Free of Payment, FoP)으로 가나 내에서 거래가 이뤄졌다. 이로써 다이지오는 기네스 가나 브루어리 주주 지위을 완전히 상실했다. 이번 매각은 디아지오의 포트폴리오 전략에 따른 결정이다. 다만, 재무 정보와 카스텔 그룹의 향후 양조장 사업 계획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카스텔 그룹은 프랑스 1위이자 전 세계적으로도 손꼽히는 거대 와인 그룹이다. 포도 재배부터 유통까지 와인과 관련된 거의 모든 사업 분야를 아우르고 있다. 앞으로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기네스', '몰타 기네스', '스미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