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선다혜 기자] DL이앤씨가 러시아 모스크바 정유공장 현대화 사업에 본격 착수했다. 이를 계기로 하반기 해외 매출 상승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 석유기업 가즈프롬네프트(Gazpromneft)는 1일(현지시간) "DL이앤씨가 모스크바 정유공장의 수소첨가분해 공장 건설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 공장은 기존 정유공장과 연계해 천연가스와 석유화학 혼합물을 받아 수소를 생산하고, 이를 이용해 디젤과 등유 등을 생산하는 시설이다. 특히 이 공사는 모스크바 정유공장 현대화 사업 3단계에서 가장 핵심으로 꼽힌다. DL이앤씨는 지난 6월 이 공사에 대한 본 계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공장의 설계와 조달, 시공·감리까지 수행한다. 수주 규모는 3271억원이다. DL이앤씨는 오는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보 2021년 6월 7일 기사 참조 DL이앤씨, 모스크바 정유공장 현대화 프로젝트 본계약 '성공'> 한편, 업계는 DL이앤씨가 지난 2014년 진출한 러시아 시장에서의 성과가 가시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DL이앤씨는 국영천연가스회사인 가즈프롬의 가스처리 공장 프로젝트를 시장으로 러시아 시장에 첫 발을 담궜다. 이후 LNG플랜트,
[더구루=선다혜 기자] 삼성물산·한국전력 등 국내 기업에 베트남 붕앙2 석탄화력발전 사업 참여 철회를 요구한 북유럽 최대 자산운용사 스웨덴 노르디아자산운용(Nordea Asset Management)이 올해의 책임투자원칙(PRI) 어워드 최종 후보에 올랐다. 3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노르디아자산운용은 삼성물산과 붕앙2 석탄발전 사업 철회를 주도한 것과 관련해 PRI 어워드 올해의 스튜어드십 이니셔티브(Stewardship initiative) 부문 최종 후보로 선정됐다. 앞서 노르디아자산운용은 지난해 10월 덴마크 국영펀드 MP펜션, 핀란드 교회연기금 등 유럽 기관 투자자 17곳과 함께 붕앙2 석탄화력발전소 사업을 추진 중이던 삼성물산과 한국전력, 미쓰비시, 스미모토 등에 사업 반대 서한을 보낸 바 있다. 당시 노르디아자산운용은 서한에서 "붕앙2 석탄발전은 파리 기후변화협약에 따르겠다는 기업들의 약속과 명백히 충돌한다"면서 "파리협약을 준수하고 기후변화로 인한 투자 위험을 관리하는 방법을 평가하고 있다. 그 중 하나는 배제"라고 밝혔다. <본보 2020년 10월 21일 참조 3500조 굴리는 '유럽 큰손', 한전·두산중공업 압박…"베트남 석탄발전 철회
[더구루=선다혜 기자] 삼성엔지니어링이 정유 플랜트 공사를 수행 중인 멕시코 동부 타바스코주(州)에 글로벌 사회공헌 활동의 일환으로 희망도서관을 건립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엔지니어링은 지난 28일(현지시간) 타바스코주 파라이소 지역의 노후 공공도서관 2곳을 리모델링해 희망도서관으로 재개관했다. 도서를 비롯해 컴퓨터, 책상 등 교육에 필요한 기자재도 기증했다. 희망도서관은 지난 2012년부터 삼성엔지니어링이 추진하고 있는 글로벌 사회공헌 활동 중 하나다. 프로젝트를 수행 중인 개발도상국의 교육환경 개선을 위해 도서관 건립을 지원해주는 것이다. 한편, 삼성엔지니어링은 타바스코주 도스보카스에 정유공장 공사를 진행 중이다. 이 프로젝트는 도스보카스에서 하루 34만 배럴의 원유생산 설비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지난 2019년 이 사업의 기본설계(FEED)를 시작으로, 지난해 설계·조달·시공(EPC)사업까지 따냈다. 현재 이 사업의 누주 수주액은 39억4000만 달러(약 4조3960억원)에 달한다. 삼성엔지니어링이 수주한 단일 프로젝트 가운데 최대 규모다.
[더구루=선다혜 기자] 현대엔지니어링이 폴란드 석유화학기업 아조티에 석화 플랜트 공사의 사업비 증액과 공기 연장을 요청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따른 것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엔지니어링은 최근 아조티 측에 폴리머리 폴리체 프로필렌·폴리프로필렌(PDH·PP) 플랜트 사업과 관련해 사업비 1억2740만 유로(약 1750억원) 증액과 공사기간 6개월 연장 등의 내용이 담긴 수정 계약서를 전달했다. 아조티 측은 "현대엔지니어링이 제안한 계약서 변경은 기존 EPC 계약 조항을 고려하고, 적법성을 철저히 따져 세밀하게 검토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양사는 지난해 10월에도 사업비 3200만 유로(약 440억) 증액과 공사기간을 3개월 연장에 합의한 바 있다. 두 차례의 사업비 증액과 공사기간 연장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등으로 인한 공사 지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공사기간 연장에 따라 당초 목표였던 오는 2023년 1년 상업운전은 더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 이 사업은 아조티와 정유회사 로토스가 추진하는 프로젝트다. 폴란드 수도 바르샤바에서 북서쪽으로 460㎞ 떨어진 폴리체 지역에 연 40만t 규모 폴리프로필렌
[더구루=선다혜 기자] 삼성엔지니어링은 멕시코 최대 정유 프로젝트인 도스보카스 공장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을 위해 글로벌 보안 기업과 손을 잡았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엔지니어링은 최근 시네틱스(Synectics)와 멕시코 동부 타바스코주(州) 도스보카스 정유 공장의 모니터링 및 보안·감시 시스템 구축 계약을 체결했다. 계약 규모는 100만 파운드(약 16억원). 시네틱스는 글로벌 보안 업체로 공장은 물론 다양한 운송 시설 등 보안·감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시네틱스가 최근 개발한 COEX 4K 카메라 스테이션은 섭씨 70도 이상에도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녹화와 라이브 스트리밍이 가능해 실시간으로 공장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삼성엔지니어링이 수행하고 있는 이 프로젝트는 도스보카스 지역에 하루 34만 배럴의 원유생산 설비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지난 2019년 이 사업의 기본설계(FEED) 수주를 시작으로 지난해 10월 설계·조달·시공(EPC) 까지 따냈다.
[더구루=선다혜 기자] 삼성물산이 한 차례 유찰됐던 베트남 연짝 가스화력발전소 프로젝트 입찰에 또다시 단독 참여했다. 베트남 측이 고집하고 있는 까다로운 입찰 조건 때문에 경쟁사들이 참여하지 못하면서 사실상 사업을 수주한 것으로 보인다. 26일(현지시간) 베트남 석유가스그룹(Petrovietnam·PVN) 자회사 페트로베트남전력(PV파워)은 "지난 23일 마감된 연짝 가스화력발전소 3·4호기 입찰에 삼성물산-리리마 컨소시엄만 응했다"고 밝혔다. 입찰 보증금으로 삼성물산은 960만 달러(약 112억2200만원), 베트남 엔지니어링 기업 리리마는 643만 달러(약 75억2200만원)를 각각 납부했다. 이번에도 삼성물산 컨소시엄만 홀로 참여하면서 연짝 가스화력발전소 사업을 사실상 수주하게 됐다. 오는 12월 착공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PV파워는 지난 6일 이 사업의 국제입찰을 진행한 바 있다. 당시 PV파워는 각 기업이 운용하는 가스터빈이 상업운전을 통해 안전성이 입증된 경우만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까다로운 조건으로 삼성물산 컨소시엄만 홀로 참여, 경쟁 입찰이 성립되지 않자 입찰 마감을 연기했다. <본보 8월 21일 기사 참조 '1.6조
[더구루=선다혜 기자] 현대엔지니어링·현대건설·한국가스공사가 수행하고 있는 쿠웨이트 액화천연가스(LNG) 수입터미널 프로젝트가 내년 3월 완공될 전망이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쿠웨이트 국영정유회사(KNPC)는 지난 18일(현지시간) "쿠웨이트 알주르(Al-Zour) LNG 수입터미널 건설 공사가 순항중이며, 내년 3월 완공될 것"이라고 밝혔다. 당초 지난 3월 완공을 목표로 했으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인한 사업 중단으로 1년 가량 지연됐다. 앞서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 2016년 현대건설, 가스공사와 팀 코리아를 구성, 이 사업을 수주한 바 있다. 이 사업은 쿠웨이트 수도 쿠웨이트 시티 남쪽으로 90km 떨어진 알주르 지역에 하루 30억㎥의 가스를 액화처리하는 재가스화(Regasification) 시설과 LNG 저장탱크 8기를 건설하는 것이다. 총 사업비 29억 3000만 달러(3조 6000억원)에 달한다. 한국수출입은행과 무역보험공사가 금융 지원을 했다. 수주금액은 현대엔지니어링인 13억9000만 달러(약 1조7000억원), 현대건설이 15억2000만 달러(약 1조8500억원), 가스공사 1600만 달러(약 200억원)로 나눈다. 작업은
[더구루=선다혜 기자] 현대건설·포스코건설·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이 수행중인 파나마 메트로 3호선 사업이 국내 금융기관 및 은행이 참여한 대주단을 통해 자금을 수혈 받았다. 파나마 메트로청(MPSA)은 24일(현지시간) 파나마 메트로 3호선 총 사업비 70%에 달하는 20억 달러(2조3274억원) 조달을 마쳤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지난달 한국수출입은행을 비롯해 한국무역보험공사, 씨티은행, 하나은행 등 국내 정책기관 및 국내외 상업은행이 참여한 대주단과 20억 달러 규모의 중장기 수출채권 매입 계약을 체결했다. 대주단은 파나마 정부 보증 하에 국내 건설사로부터 매출채권을 매입, 국내 건설사가 공사대금을 조기에 회수할 수 있도록 구조화 금융을 지원한다. 이는 중남미 지역의 중장기 인프라 사업에 통용되는 방식으로 국내에 처음 도입됐다. 이 사업은 파나마 시티와 수도 서쪽을 연결하는 총연장 25㎞의 모노레일과 14개 역사, 1개 차량기지를 건설하는 것이다. 파나마에서 추진된 인프라 건설 사업 가운데 역대 최대 규모다. 총 사업비는 28억1000만 달러(약 3조 1400억원)에 달한다. 앞서 현대건설과 포스코건설, 현대엔지니어링은 컨소시엄을 구성
[더구루=선다혜 기자] GS건설이 수주한 방글라데시 송전선로 사업이 무산될 위기에 놓였다. 방글라데시 정부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사업 추진이 어려워지자 민관협력투자개발사업(PPP)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기 때문이다. 25일 업계에 따르면 방글라데시 내각 경제위원회는 GS건설이 수주한 송전선로 사업을 PPP 목록에서 제외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사업 주체인 방글라데시 전력청(PGBC)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사업 추진이 어려워지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안서를 내각 경제위원회 측에 전달했다. 이 프로젝트는 방글라데시 마타바리(Matarbari)에서 마두나간(Madunaghat) 지역까지 400kv 송전선로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2월 GS건설이 단독으로 이 사업을 수주했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여파로 인해 사업 추진이 어려워지자 철회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며 "대규모 전력설비 확충이 시급한 방글라데시 정부가 다른 대안을 찾으려는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한편, GS건설은 지난 2011년부터 방글라데시 송전선로 시장에 진출해 32KV 규모, 230KV규모의 송전선로 공사 등 총 4건의 사업을 수행한
[더구루=선다혜 기자]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이 시공한 콜롬비아 베요 하수처리장 관련 집단소송이 메데인 공공사업청(EPM)과 지역 주민 간 합의로 일단락됐다. 이에 따라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의 계좌 압류 조치도 해제됐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콜롬비아 메데인 상급법원은 지난 22일(현지시간) EPM과 지역 주민들이 베요 하수처리장 악취 문제와 관련해 배상 및 후속 조치에 합의함에 따라 사업자 측 계좌 동결 해제를 명령했다. 이에 사업자인 EPM을 비롯해 공사를 담당했던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 스페인 악시오나아구아 컨소시엄 법인의 계좌 압류가 풀렸다. 베요 하수처리장은 지난 2012년 현대건설이 현대엔지니어링 등 컨소시엄을 구성, 수주한 사업이다. 하지만 해당 시설은 지난 2019년 6월 중공된 이후 악취 문제가 꾸준히 제기됐었다. 이에 인근 지방자치단체들이 지난해 6월 가동 중단을 명령한 바 있다. <본보 2020년 6월 3일 참조 [단독] 현대건설 시공 콜롬비아 하수처리장 '악취'로 잠정폐쇄> 이후 인근 지역 주민들이 베요 하수처리장 악취로 인해 집값이 50% 이상 하락했다며 EPM과 현대건설 컨소시엄 등을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했
[더구루=홍성환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한국가스공사 컨소시엄이 방글라데시 마타바리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 공사 수주전의 1차 관문을 통과했다. 2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방글라데시 에너지광물자원부는 포스코인터내셔널·가스공사 컨소시엄을 포함해 마타바리 LNG 터미널 공사를 수행할 최종 후보 8곳을 선정해 국영석유회사 페트로방글라에 통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인터내셔널·가스공사 컨소시엄과 함께 프랑스 토털, 일본 미쓰비시, 스미토모상사, 카타르페트롤리엄(QP) 등이 최종 후보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 사업은 방글라데시 수도 다카에서 남동쪽으로 280㎞ 떨어진 치타공주(州) 콕스바자르 지역에 현지 최초 육상 LNG 터미널을 짓는 사업이다. 연간 처리 용량은 750만톤에 달한다. 본사업을 수주하면 터미널 설계와 엔지니어링, 건설, 시운전 등을 맡게 된다. 페트로방글라는 앞서 올해 초 도쿄가스를 이 사업의 컨설팅사로 선정하면서 속도를 내고 있다. <본보 2021년 1월 12일자 참고 : 방글라데시 LNG터미널 입찰 목전…포스코인터·삼성물산·가스공사 몸풀기> 방글라데시는 천연가스 매장량이 풍부하지만 빠른 경제 발전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천연가
[더구루=선다혜 기자] 한국전력과 삼성물산이 수행중인 괌 망길라오 태양광 발전소 사업에 비상등이 켜졌다. 괌 정부가 공사 중단을 명령한 데 이어, 미국 연방 기관인 환경보호청(USEPA)이 현장 조사를 예고했다. 23일 괌 공공지원처(DPW)는 지난 20일 망길라오 태양광 발전소 공사 중단 행정 명령을 내렸다. 행정명령서에 따르면 삼성물산이 지난해 제출한 발전소 건축 계획서 및 수정된 건축 허가서와 현장이 일치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빈스 알롤라(Vince Arriola) DPW 국장은 “잘못된 공사로 인해서 천혜 관광지인 마브 동굴을 비롯 인근 부지에 토사가 대량으로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면서 “이들 기업은 이러한 피해에 대해 아직 시정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심지어 이번 토사 유출과 관련해 USEPA가 현장 조사를 예고하면서 한전과 삼성물산은 곤혹스러운 입장에 놓이게 됐다. 조사 결과에 따라 청정수청법 위반 혐의로 한전과 삼성물산이 기소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한전과 삼성물산은 현지에서 줄소송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 6일 괌 법무부 장관실(The Office of the Attorney General·OAG)은 마보 동굴의 토사 유입 사고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가전업체 '캐리어'가 인도 정부의 전자 폐기물 재활용 규제에 반발해 법정 대응에 나섰다. 삼성전자와 LG전자에 이어 캐리어까지 합류했다. 글로벌 기업들이 소송전에 가세하면서 전자업계 전반으로 논란이 확산되는 양상이다. [유료기사코드] 8일 인도 델리고등법원에 따르면 캐리어 인도법인은 지난달 정부의 전자 폐기물(E-waste) 재활용 규정에 반대하는 헌법소원을 제기했다. 이 사건은 삼성전자, LG전자, 일본 다이킨, 인도 타타그룹 계열사 볼타스 등이 제기한 유사 소송들과 함께 이날 병합 심리될 예정이다. 소송의 쟁점은 지난해 9월 인도 환경부가 도입한 '전자 폐기물 재활용 비용 하한제'다. 정부는 재활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전자제품 제조사가 인증된 재활용업체에 최소 1kg당 22루피(약 25센트)를 지급하도록 의무화했다. 기업들은 해당 비용이 기존 시장 시세보다 3~4배 이상 높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인도에서는 재활용업체가 제조사에 처리 비용을 청구하는 구조다. 기존 양측이 자율적으로 비용을 정할 수 있었던 것과 달리 정부가 최저 요율을 설정하면서 제조사 부담이 급격히 커졌다는 설명이다. 캐리어는 380쪽 분량의 소장을 통해
[더구루=홍성일 기자] 엔비디아(NVIDIA)가 텍사스 주 오스틴에 신규 사무실 오픈을 준비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최근 미국은 물론 대만과 이스라엘에서도 신규 사무실을 개설하며, 빠르게 회사 규모를 성장시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8일 업계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오스틴시 북부에 위치한 원 업타운 오피스 빌딩(One Uptown) 임대하기로 했다. 공식 발표는 추후 이뤄질 예정이며, 입주는 내년 1월에 진행될 것으로 알려졌다. 엔비디아는 현재 오스틴시에서 2곳의 사무실을 운영하고 있다. 각 사무실은 레이크라인 블러바드 11001번지와 모팩 고속도로 10801번지에 위치해있다. 엔비디아는 지난해 가을부터 오스틴 지역에서 30만 제곱피트(ft2, 약 2만7870㎡) 규모 오피스 빌딩을 물색해왔다. 이번에 엔비디아가 임대할 예정인 원 업타운 오피스 빌딩의 총 규모는 10만 제곱피트(약 9290㎡)로, 당초 계획보다 규모가 축소됐다. 일각에서는 엔비디아가 입주할 건물의 면적을 토대로 650명 안팎의 직원을 수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엔비디아가 추가 오피스를 구하려는 정확한 이유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중요 파트너사인 델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는 분석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