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트위터 등 글로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존재감을 나타내고 있다. 지난 1년간 브랜드별 언급량 조사에서 '톱10' 브랜드로 선정됐다. 다만 글로벌적인 관심이 단순히 긍정적인 부문만 포함하지 않고 있다는 점은 다시금 생각해 보아야 할 지점이다. 30일 시장조사업체 글로벌데이터(GlobalData)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각각 글로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내 브랜드 언급 순위 7위와 9위에 올랐다. 이는 지난해 4월 1일부터 지난 3월 31일까지 1년간 레딧과 트위터 등 3만 개 이상 인플루언서 계정 포함 2억 개의 게시물을 분석한 데 따른 결과이다. 전체 브랜드 언급량 중 현대차는 5%, 기아는 4% 비중을 차지했다. 최다 언급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는 테슬라가 차지했다. 총 43% 비중을 나타냈다. 포드는 13%로 2위, 토요타는 9%로 3위에 올랐다. BMW와 제너럴모터스(GM)는 각각 7%와 6%로 4위와 5위를 기록했다. 이어 혼다가 5%로 6위, 포르쉐(5%)는 현대차 다음으로 8위에 이름을 올렸고 리비안(3%)은 기아에 이어 10위에 랭크됐다. 다만 이번 언급량 순위가 마냥 긍정적인 신호는 아니라는 게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기아가 일본 토요타를 제치고 전기차 관련 특허 최다 출원 타이틀을 획득했다. 전기차뿐 아니라 디자인과 기술 특허 출원에도 역량을 쏟고 있는 만큼 전체 자동차 관련 특허 정상을 차지할 날이 머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온다. 30일 시장조사업체 글로벌데이터(GlobalData) 보고서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지난 1분기(1~3월) 전기차 관련 특허 총 242건을 출원, 글로벌 완성차 업체 최다 특허 타이틀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전기차 관련 전체 특허 출원 건수는 총 2955건으로 8.1% 비중을 차지했다. 단일 브랜드 기준 현대차는 155건, 기아는 87건 특허를 출원했다. 토요타는 2위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전기차 특허 총 160개를 출원했다. 화웨이는 48개로 3위, 로베르트 보쉬 재단(Robert Bosch Stiftung)dms 46개로 4위에 올랐다. 전기차 관련 특허 최다 출원 국가는 중국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전체 특허 중 35%가 중국에서 출원됐다. 한국과 일본은 각각 10% 수준으로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현대차·기아 전기차 관련 특허 출원은 지속될 전망이다. 특허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연구개발(R&
[더구루=홍성환 기자] 유안타증권이 동양생명 매각 관련 손해배상 소송에서 또다시 졌다. 30일 대만 유안타그룹에 따르면 서울고등법원은 지난 26일 안방보험(현 다자보험)이 유안타증권과 VIG파트너스(옛 보고펀드) 등 과거 동양생명 매각 주주 4곳을 상대로 낸 홍콩 국제중재재판소(ICC) 판결 승인·집행 소송에서 안방보험 측의 손을 들어줬다. 법원은 유안타증권 등에 1274억원의 배상금과 229억원의 지연 이자를 안방보험 측에 지급하라고 판결했다. 이에 대해 유안타그룹은 "손해배상액은 이미 충당금으로 적립한 상태"라며 "이번 판결에 대해 대법원에 상고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유안타증권은 앞서 지난 2021년 12월 1심에서 패소하자 항소를 제기한 바 있다. <본보 2021년 12월 20일자 참고 : [단독] 유안타증권, 동양생명 매각 손해배상 소송서 안방보험에 패소> 안방보험은 2017년 유안타증권과 VIG파트너스를 상대로 동양생명 주식매매계약과 관련해 6890억원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인수 과정에서 매각 측이 육류담보대출의 위험성을 제대로 알리지 않아 손해를 입었다는 이유다. 당시 대출금은 3800억원에 달했다. ICC는 2020년 8월 유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인도 농촌 지역 고객 확보를 위한 캐리어탁송 시승 서비스 '디지털 플로트'를 시작한다. 대리점과 거리가 멀어 방문할 수 없는 고객들을 위한 '쇼룸 온 휠(Showroom-on-wheel)' 역할을 수행해 브랜드 인지도와 신뢰도 제고에 힘쓴다는 방침이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인도판매법인(HMIL)은 최근 차량 전문 픽업 차량 36대를 도입했다. 디지털 플로트 활동 지역을 넓히기 위해서다. 디지털 플로트는 현지 수요 확보를 위해 도입한 캐리어탁송 시승 서비스다. 고객이 시승 예약한 차량을 직접 문 앞까지 실어 나른다. 궁극적인 목표는 차량 성능과 현지 브랜드 인지도를 전역으로 확대하는 데 있다. 이들 차량은 27개주(州) 582개 지역에서 라스트마일 영역을 담당하고 이들 지역 거주자들이 현지 볼륨모델 '그랜드 i10 니오스'를 체험할 수 있게 돕는다. 농촌에서 인기가 가장 높은 모델이라는 점을 고려했다. 라스트마일은 이동, 물류 등 분야에서 목적지에 당도하기까지의 마지막 거리나 서비스가 소비자와 만나는 최종 단계를 말한다. 타룬 가르그(Tarun Garg) HMIL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인도와 같이 역동적인 시장
[더구루=홍성환 기자] 김준기 DB그룹 전 회장의 장녀 김주원 부회장이 베트남 사업에 본격적으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국내 보험시장 성장세가 둔화한 가운데 베트남에서 활로를 찾는 모습이다. 베트남 T&T그룹은 지난 25일 DB그룹과 보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고 30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김주원 부회장과 도빈꽝 T&T 부회장이 참석했다. 양사는 우선 베트남 보험시장 공략을 서로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이를 시작으로 다른 분야에서도 공동 투자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다. 김 부회장은 "두 회사 간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는 좋은 파트너가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도빈꽝 부회장도 "보험을 비롯해 금융, 자산관리, IT, 부동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T&T는 1993년 설립한 베트남 재벌 기업 가운데 하나다. 금융투자·부동산·에너지·무역·운송물류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DB그룹은 김주원 부회장 주도로 베트남 보험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DB손해보험은 올해 2월 베트남 손해보험업계 10위인 VNI손해보험을 인수했다. 앞서 지난 2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 플래그십 전용 전기차 모델 'EV9'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EV9 디자인을 진두지휘한 카림 하비브 기아 디자인센터 센터장이 직접 디자인 특징을 소개해 눈길을 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카림 하비브 센터장은 최근 엘페리오디코USA(elperiodicousa)와의 인터뷰를 통해 EV9의 디자인 탄생 배경과 특징을 소개했다. 외부 디자인 주요 요소로는 '클린 타이거 페이스 그릴'과 '디지털 조명 타이거 페이스 그릴'을 꼽았다. 타이거 페이스 그릴은 기아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디자인으로 이번 EV9에 적용된 그릴 디자인은 브랜드 미래 디자인 방향을 나타낸다. 풍부하고 깔끔한 디테일과 함께 하이테크적이고 세련된 스타일을 자랑한다. 인테리어 요소 중에서는 중앙 대시보드를 눈여겨볼 것을 추천했다. 전략적 접근 방식에 따라 미학과 기능 강화에 초점을 맞춰 디자인했다는 이유에서다. 무엇보다 이번 EV9 대시보드 디자인을 완성하기 위해 브랜드 내 모든 관련 부서와 가장 많은 회의를 가졌다는 후문이다. 이번 회의 결과를 토대로 향후 EV 시리즈 인테리어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할 계획이다. 하비브 센터장은 "브랜드 전동화 전략
[더구루=윤진웅 기자] 북경자동차그룹(BAIC)은 중국 합작사 베이징현대와 베이징벤츠를 놓고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베이징벤츠가 현지 프리미엄 시장을 장악하며 빠르게 성장하는 반면 베이징현대는 2016년 사드보복 이후 7년째 판매 부진이 이어지고 있어서다. 아픈 손가락으로 전락한 베이징현대의 현지 시장 반등을 위해 적극 지원에 나서겠다는 계획이다. 29일 BAIC에 따르면 베이징벤츠는 지난해 중국 시장에서 총 59만1700여대를 판매했다. 이는 5년 전인 2018년 판매량(48만5000여대)과 비교해 18.04% 두 자릿수 성장한 수치이다. 특히 프리미엄 브랜드라는 점에서 판매 마진이 크게 확대됐다는 설명이다. 실제 같은 기간 베이징벤츠 매출은 405억2300만 위안(한화 약 7조5960억 원)에서 473억9600만 위안(약 8조8843억 원)으로 늘었다. 반면 베이징현대는 BAIC의 아픈 손가락으로 전락한 상태이다. 지난해 중국 시장 판매량은 25만400대에 그쳤다. 2014년 최고 판매량인 116만대를 기록하며 기대를 한 몸에 받았지만 2016년 말 한중 사드 갈등을 겪은 이후로 판매량이 급감했고 현재까지도 회복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베이징현
[더구루=윤진웅 기자] 제네시스가 럭셔리 자동차 브랜드 순위 '톱20'에 올랐다. 세련된 디자인과 성능을 토대로 인지도를 쌓으며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오는 2030년 100% 전동화 전환을 통해 글로벌 럭셔리 전기차 시장에서 존재감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제네시스는 자동차 엔지니어 출신 인플루언서가 창간한 자동차 전문 매체 'engineerine'이 선정한 올해 력서리 자동차 브랜드 17위에 꼽혔다. 추천 차종으로는 대형 세단 모델 G90과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모델 GV70, 준대형 SUV 모델 GV80 등 총 3개 모델이 이름을 올렸다. engineerine는 "제네시스는 2015년 춤범 이후 지속해서 판매 라인업을 확장하고 있다"며 "비용에 상관없이 신선한 브랜드 경험을 시도하는 운전자들은 제네시스가 제격"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제네시스는 다양한 하이테크 기술과 고급스러운 인테리어를 갖추고 있다"며 "빠른 가속력과 일관된 품질이 뛰어나다"고 덧붙였다. 1위는 메르세데스-벤츠가 차지했다. 추천 모델로는 EQE AMG와 EQS, G바겐이 선정됐다. BMW는 2위, 롤스로이는 3위에 올랐고 부가티와 벤틀리가 각각
[더구루=윤진웅 기자] 금호타이어가 독일 경찰과 함께 현지 운전자와 교통사고 취약자를 대상으로 교통안전 캠페인을 시작했다. 현지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 제고를 위한 활동 일환이다. 26일 독일 니더작센주 주정부에 따르면 금호타이어는 최근 닌부르크(Nienburg) 지역 경찰과 교통안전 캠페인을 시작했다. 이는 현지 어린이와 청소년, 노인들의 도로 안전 증진을 목표로 추진된 행사다. 도로 교통 안전 의식 개선에 초점을 맞춰 해당 지역 유치원과 학교 등 교육 기관을 중심으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금호타이어는 타이어와 휠을 주제로 한 안전 교육을 맡았다. 자사 타이어 제품을 교육 자료 샘플로 제공하고 지역 교통 순찰대와 함께 현지 운전자 대상 여름과 겨울, 사계절 타이어에 대한 차이점을 교육하고 있다. 타이어 관련 용어와 제품별 특성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도 마련했다. 금호타이어는 현지 현지 브랜드 이미지와 인지도 제고를 위해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이번 캠페인에 앞서 인기 타이어 5종을 대상으로 무료 타이어 보험 서비스와 무조건 환불 보장 정책을 내놨다. <본보 2023년 5월 16일 참고 금호타이어, '타이어 보험' 내세워 獨 고객몰
[더구루=윤진웅 기자] 기아가 캐나다 딜러 금융서비스 만족도 조사 1위에 올랐다. 현대자동차는 4위를 기록했다. 현대차·기아의 북미 판매 확대를 위한 현대캐피탈의 조력이 한몫했다는 분석이다. J.D. 파워는 25일(현지시간) '올해 캐나다 딜러 금융 만족도 조사'(2023 Canada Dealer Financing Satisfaction Study) 결과를 발표했다. 이는 올해 25년째를 맞이하는 조사로 현지 대출 기관에 대한 업체별 딜러 경험치와 응대 능력을 나타낸다. 올해 조사는 지난 2월부터 3월까지 약 한 달간 진행됐으며 자동차 구매를 지원하는 7017개의 현지 금융 제공자에 대한 평가를 토대로 이뤄졌다. 기아파이낸스(Kia Motors Finance)는 1000점 만점에 총 809점을 획득, 캡티브 프라임 부문 1위를 기록했다. 전체 평균 점수(743점)를 크게 상회했다. 높은 이자율과 신차 공급 부족 위기 속 현지 딜러와의 상호 작용을 토대로 효율적인 운영을 이어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캡티브는 모기업의 위험을 인수하기 위해 자회사 형태로 설립된 보험 회사를 말한다. J.D. 파워는 "기아파이낸스는 현지 딜러와 소통에 있어 상당한 가치를 제공하
[더구루=윤진웅 기자] 제네시스가 신형 GV70을 미국에서 생산한다. 기존 울산2공장 생산·수출 물량을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HMMA)에서 생산·판매한다는 것.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보조금 지원 대상 제외된 GV70 전동화 모델의 판매 부진 우려를 상쇄하기 위한 '플랜B' 전략으로 분석된다. 제네시스 미국판매법인(GMA)은 25일(현지시간) 앨라배마 공장 GV70 생산라인 구축을 위해 3억 달러(한화 약 3990억 원)를 투자했다고 밝혔다. 2024년형 GV70 생산을 위해서다. 기존 GV70 전동화 모델 생산라인 스탬핑과 용접 작업장을 개선하고 별도 창고 공간을 추가했다고 설명했다. 앨라배마 공장에서 생산·판매하던 GV70 전동화 모델이 IRA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데 따른 대응 전략이다. 앞서 현대차는 IRA 보조금 수령 대전제인 ‘북미 생산’ 요건을 맞추기 위해 HMMA 일부 라인을 전기차용으로 전환, 지난 2월 부터 GV70 전동화 모델을 생산해 왔다. 그러나 GV70 전동화 모델에 탑재된 SK온 배터리가 IRA 배터리 세부지침을 충족하지 못하면서 지난달 18일부터 7500달러(약 1000만원)의 보조금 전액을 받지 못하게 됐다. 특히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아이오닉5를 앞세워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 올해 들어 4월까지 누적 판매량 11만대를 넘기며 전년 대비 두 자릿수 성장을 일궜다. 하반기 아이오닉5 기반 고성능 모델 아이오닉5 N과 신형 코나EV가 가세하는 만큼 연말 신기록 달성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25일 글로벌 전기차 전문매체 인사이드EVs(INSIDEEVs)에 따르면 현대차는 지난달 글로벌 시장에서 총 33만6212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년 대비 8.5% 성장한 수치이다. 올 들어 4월까지 누적 판매량은 전년 대비 12% 증가한 135만7924대를 기록했다. 무엇보다 친환경차 판매가 급증했다. 지난달 전년 대비 31% 두 자릿수 증가한 2만8256대를 판매했다. 이는 전체 판매량의 8.4%에 해당하는 수치이다. 순수 전기차(BEV)가 전년 대비 37% 성장한 2만3726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가 전년 대비 7% 증가한 4530대를 나타냈다. BEV 모델 중에서는 아이오닉5(1만736대)가, PHEV 모델 중에선 투싼(3273대)이 실적을 이끌었다. 1월부터 4월까지 친환경차 누적 판매량은 총 11만3463대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CATL이 전기차 배터리의 뒤를 이을 미래 먹거리로 차세대 태양전지를 낙점했다. 태양광 산업 성장에 힘입어 고성장이 예상되는 가운데 앞선 기술력으로 시장 선점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중국 태양광 모듈 업체 'JA솔라 테크놀로지(JA Solar Technology, 이하 JA솔라)'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4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상하이에서 열린 태양광 전시회 'SNEC(Shanghai New Energy Conference) 2023'에서 CATL과 전략적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태양광 시장을 겨냥한 제품을 공동 개발키로 했다. 양사 협력 소식이 전해진 이튿날 블룸버그통신은 CATL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파일럿 테스트 라인을 구축하고 제품 개발을 추진 중이라고 보도했다. 파트너십을 통해 JA솔라는 모듈 성능과 비용 절감을 꾀하고 CATL은 JA솔라라는 거대 고객을 사전에 포섭할 수 있는 ‘윈윈’ 전략인 셈이다. 태양전지는 태양빛을 받아 전기를 만드는 배터리로 현재는 대부분 실리콘을 기반으로 한다. 실리콘은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높은 온도에서 작업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태양광 신소재인
[더구루=정등용 기자] 캐나다 리튬 개발업체 알파리튬(Alpha Lithium Corporation)의 매각 가능성이 제기됐다. 인수 기업으로는 이탈리아-아르헨티나 철강 기업 테크인트(Techint)가 거론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테크인트는 알파리튬 인수를 위해 1억7700만 달러(약 2300억 원) 규모의 기업 공개(IPO)를 추진한 것으로 확인됐다. 테크인트는 알파리튬 인수를 통해 리튬 분야 사업 진출을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테크인트는 알파리튬이 보유한 탐사 프로젝트 ‘엘 살라 델 옴브레 무에르토(El Salar del Hombre Muerto)’와 ‘톨리야르(Tolillar)’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옴브레 무에르토 염호는 남미 유망 리튬 매장지 중 하나로 아르헨티나 서북부 살타주 해발 4000m에 자리하고 있다. 리튬 함유량이 세계 상위권(0.9g/L) 수준이며 불순물이 적어 남미에서 잠재력이 높은 염호로 꼽힌다. 포스코와 미국 리벤트, 호주 갤럭시리소시즈 등 글로벌 자원개발 업체들이 진출해 있다. 톨리야르도 테크인트가 개발 중인 염호 중 하나로 연간 120톤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총 면적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