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파나소닉이 원통형 리튬배터리 신제품을 선보였다. 이차전지에 밀려 상대적으로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일차전지까지 라인업을 지속 확장하며 배터리 전문 기업으로서 입지를 다지고 있다. 11일 파나소닉에 따르면 파나소닉은 최근 일차전지인 원통형 리튬배터리 신제품 'CR-LAZ'을 출시했다. 최대 15년 간 사용할 수 있는 긴 수명이 특징이다. CR-LAZ는 이산화망간과 리튬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일차전지다. △15년의 수명 △넓은 작동 온도 범위 △안정적인 성능 △탁월한 방전 성능이 이 제품의 특장점이다. 파나소닉은 배터리를 자주 교체하기 어려운 전자기기 등 장치에 CR-LAZ이 적합하다고 설명했다. △가스·수도 계량기 △화재 경보기 △사물인터넷(IoT) 감지 장치 △GPS 추적기 △주택 보안 기기 △무선 컨트롤러 등에 사용할 것을 조언했다. 파나소닉의 일차전지 라인업은 리튬배터리와 아연탄소·알카라인배터리 등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리튬배터리에는 코인형부터 원통형까지 다양한 제품이 포함돼 있다. CR-LAZ가 속한 원통형 리튬 배터리는 장수명형과 표준형이 있는데 CR-LAZ는 장수명형 제품이다. CR-LAZ를 포함해 9개의 제품이 시
[더구루=정예린 기자] SKC가 투자한 실리콘 음극재 기업 '넥세온(Nexeon)'이 일본 파나소닉으로부터 수주를 따냈다. 테슬라 최대 배터리 공급사인 파나소닉을 고객사로 확보, 테슬라 공급망 진입 발판을 마련했다. [유료기사코드] 파나소닉 배터리 부문인 '파나소닉 에너지'는 25일 넥세온과 실리콘 음극재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고 발표했다. 파나소닉의 미국 캔자스주 데소토 신규 공장에 납품돼 오는 2025년부터 생산될 차세대 실리콘 음극재 기반 리튬이온배터리에 쓰인다. 파나소닉은 기존에도 테슬라향 배터리에 소량의 실리콘 음극재를 적용해왔다. 차세대 배터리 에너지밀도를 개선하기 위해선 실리콘 비중 확대가 필수적이라고 판단, 실리콘 음극재를 장기간 안정적으로 조달하기 위해 넥세온과 손을 잡았다. 실리콘 음극재는 전기차 시장에서 차세대 소재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 흑연(탄소)을 사용할 때보다 배터리 에너지밀도를 개선하고 충전 시간을 단축하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실리콘은 부피가 팽창해 배터리를 손상시킨다는 문제가 있지만 파나소닉은 자체 기술과 오랜 경험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고 자신했다. 파나소닉 캔자스 공장에서는 테슬라향 4680 배터리를 양산할 것으로 예상된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가 네바다 기가팩토리 증설 프로젝트를 재개한다. 초기 목표대로 완공시 세계 최대 규모를 갖춰 테슬라의 글로벌 핵심 거점으로서 역할을 톡톡히 해낼 전망이다. [유료기사코드] 5일 전기차 전문지 일렉트렉(Electrek)에 따르면 매체는 최근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테슬라가 네바다주 리노 소재 기가팩토리 내 배터리셀 생산 건물을 추가로 짓는다고 보도했다. 이번 확장이 현재 시설 면적의 약 2배에 이르는 증설 프로젝트 신호탄이라는 설명이다. 테슬라는 지난 2017년 첫 번째 기가팩토리인 네바다주 공장 가동에 돌입했다. 당시 자동차 제조 라인과 함께 배터리, 원재료까지 한 곳에서 조달 가능한 통합 공장을 구축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었다. 완공시 배터리셀 105GWh, 배터리팩 150GWh 이상의 생산능력 확보를 목표로 제시했다. 현재 공장 규모는 목표치의 30% 수준인 것으로 전해진다. 수차례 증설을 추진했지만 대부분 물거품이 됐다. 가동 이듬해인 지난 2018년엔 테슬라와 파나소닉이 배터리 생산능력을 50% 늘리는 대규모 증설 투자를 검토한 바 있다. 모델3 양산이 지연되면서 보류했다. 마지막 증설 소식이 들려온 건 지난 2020년 배터리
[더구루=정예린 기자] 전고체 배터리가 리튬이온배터리를 꺾고 주류로 올라서기 위해서는 10년 이상 소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르면 오는 2025년 전고체 배터리 상용화를 통해 시장 판도가 뒤바뀔 것이라는 업계 예상과 정반대되는 의견이다. 17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일본 토요타와 파나소닉의 배터리 합작사 '프라임 플래닛 에너지&솔루션(이하 프라임 플래닛)'의 코다 히로아키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인터뷰에서 "전고체 배터리는 시장이 기대하는 '게임체인저'가 되려면 아직 멀었다"고 밝혔다. 히로아키 CEO는 "전고체 배터리는 개발이 어렵고 앞으로 액체 기반 리튬이온배터리의 잠재력이 확장될 것이기 때문"이라며 "향후 10년 동안은 새로운 리튬이온배터리가 지배적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프라임 플래닛은 토요타와 파나소닉이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선점을 위해 세운 배터리 합작사로 지난 2020년 2월 공식 출범했다. 일본 1위 배터리사인 파나소닉과 1위 자동차사인 토요타의 협력으로 주목을 받았다. 현재 각형 리튬이온배터리를 생산한다. 전체 물량의 절반은 토요타의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에 탑재된다. 토요타, 파나소닉과 함께 차세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재활용 회사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이하 레드우드)'가 연내 동박을 생산하겠다는 목표를 재확인했다. 아시아 기반 배터리 공급망 대비 탄소 배출량도 대폭 줄일 수 있다고 자신했다. [유료기사코드] 15일 레드우드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9일(현지시간) 트위터를 통해 자사 연구 결과를 공유하며 "올해 동박 생산이 시작되면 레드우드는 현재 아시아 기반 공급망에 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연간 83% 줄일 것"이라며 "파나소닉의 기가팩토리는 (동박을 공급받는) 첫 번째 파트너 중 하나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 배터리 산업을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3사를 비롯해 CATL 등 아시아 기업이 꽉 잡고 있는 가운데 이들을 견제하고 미국 배터리 공급망 경쟁력을 강조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레드우드의 동박 공장은 네바다주 타호리노 산업센터 내 들어서 있다. 테슬라의 네바다주 기가팩토리 인근에 위치해 이 곳에서 발생하는 폐배터리에서 재활용한 구리를 동박으로 재생산한다. 동박은 머리카락 15분의 1 두께의 얇은 구리막으로 배터리 음극재의 핵심 소재로 쓰인다. 파나소닉은 레드우드의 동박을 받아 테슬라 차량에 탑재되는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재활용 회사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이하 레드우드)'가 추가 투자를 단행, 건설중인 네바다주 공장 규모를 확장한다. 전기차 시장 확대로 증가하고 있는 핵심 소재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다. [유료기사코드] 26일 업계에 따르면 레드우드는 네바다주 타호리노 산업센터 내 배터리 소재 공장 인근 75에이커 부지를 추가 매입, 총 면적을 175에이커로 넓힌다. 향후 10년간 35억 달러(약 4조5892억원)를 투자한다. 레드우드는 작년 네바다주 동박 공장을 착공했다. 테슬라 폐배터리에서 재활용한 구리를 받아 동박으로 재생산한다. 동박은 머리카락 15분의 1 두께의 얇은 구리막으로 배터리 음극재의 핵심 소재로 쓰인다. 연내 생산이 목표다. 가장 먼저 테슬라 배터리 핵심 파트너사인 파나소닉에 공급한다. J.B. 스트로벨 레드우드 최고경영자(CEO)는 지난 5월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주최한 '퓨처오브더카(Future of the Car)' 컨퍼런스에 참석해 "파나소닉이 (동박 공장의) 첫 번째 고객이 될 것"이라며 "(동박과 별도로) 양극재는 2024년 말 제조를 시작해 2025년 생산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더구루=정예린 기자] 파나소닉이 미국 통신용 반도체 제조사 브로드컴을 특허 침해 혐의로 고소했다. 4년 전 시작된 재판이 최근 마무리된 가운데 또 다른 법적 분쟁이 제기되며 양사 간 갈등이 깊어지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12일 업계에 따르면 파나소닉은 지난 7일(현지시간) 텍사스 서부지방법원에 브로드컴이 자사 특허 10건을 침해했다며 제소했다. 법원에 합리적인 로열티와 재판 경비 등 손해배상금 지불과 특허침해 금지 명령을 요청했다. 파나소닉은 총 2건의 소송을 제기했다. 통신과 컴퓨터 기술에 관련된 특허(특허번호 △6,927,664 △6,975,641 △7,328,389 △9,473,268 △6,965,107 △8,253,492 △9,218,485 △9,524,404 △10,970,424 △6,964,528) 10건을 무단 도용해 제품을 개발한 뒤 판매했다고 지적했다. 파나소닉이 문제 삼은 브로드컴 제품은 △라우터 BCM43217 △무선 트랜시버 BCM43162 802.11ac △무선 네트워크 어댑터 BCM43162 △데이터시트 BCM4335 △프로세서 BCM5871X와 BCM2711 등이다. 초소형 연산처리장치(MPU), 집적회로(IC), 무선 네트
[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배터리 재활용 회사 '레드우드 머티리얼즈(이하 레드우드)'가 연내 동박 공장을 가동한다. 테슬라향 배터리를 생산하는 파나소닉에 공급한다. [유료기사코드] 11일 업계에 따르면 J.B. 스트로벨 레드우드 최고경영자(CEO)는 전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주최한 '퓨처오브더카(Future of the Car)' 컨퍼런스에 참석해 "올해 말까지 네바다의 새로운 공장에서 전기차 배터리 양극재에 사용되는 동박 생산을 시작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트로벨 CEO는 "파나소닉이 (동박 공장의) 첫 번째 고객이 될 것"이라며 "(동박과 별도로) 양극재는 2024년 말 제조를 시작해 2025년 생산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레드우드의 동박 공장은 네바다주 타호리노 산업센터 내 들어서 있다. 테슬라의 네바다주 기가팩토리 인근에 위치해 이 곳에서 발생하는 폐배터리에서 재활용한 구리를 동박으로 재생산한다. 동박은 머리카락 15분의 1 두께의 얇은 구리막으로 배터리 음극재의 핵심 소재로 쓰인다. 파나소닉은 레드우드의 동박을 받아 테슬라 차량에 탑재되는 리튬이온배터리 생산에 사용한다. 폐배터리 재활용으로 완전한 배터리 선순환
[더구루=정예린 기자] 일본 정부가 약 1조5000억원을 들여 전고체 배터리 개발을 지원, 국가 경쟁력을 강화한다. 혼다, 닛산자동차, 파나소닉 등 주요 업체들은 정부 지원에 힘입어 관련 기술 개발을 가속화한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경제산업성은 국립연구법인인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NEDO)에 조성한 2조 엔(약 19조4000억원) 규모 기금 중 1510억 엔(약 1조5000억원)을 쏟아 전고체 배터리를 포함한 차세대 축전지·모터 개발을 지원키로 했다. 프로젝트 기간은 올해부터 오는 2030년 까지다. 이 프로젝트는 크게 3가지 연구 과제로 나눠진다. 고성능 배터리와 원재료, 배터리 재활용 기술, 모빌리티용 고효율·고출력 모터등이다. 이중 고성능 배터리와 원재료 개발에 가장 많은 1205억 엔(약 1조2000억원)이 투입된다. 국책 과제 수행 업체로는 혼다, 닛산자동차, 파나소닉, 마쓰다, APB, 스미토모 금속 광산, 등이 선정됐다. 혼다와 파나소닉은 차세대 전고체 전지를 개발한다. 닛산자동차는 ASSB(완전 전고체 배터리) 파일럿 라인을 세우고 성능이 높으면서도 탄소배출량(LCA)이 적은 배터리 생산 공정을 확립한다. 고성능 배터리 개발 과제
[더구루=정예린 기자] 파나소닉의 미국 배터리 신공장을 유치하기 위한 주정부 간 경쟁이 치열하다. 유력 후보지로 거론되는 캔자스주에 이어 오클라호마주도 대규모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오클라호마주 의회는 전날 현지에 투자하는 기업에 약 7억 달러(약 9000억원) 규모 인센티브를 지원하는 법안을 승인했다. 내주 케빈 스팃 오클라호마주 주지사의 서명을 받으면 최종 통과된다. 의회는 비밀 유지 계약을 인용, 법안 대상이 되는 회사 이름은 밝히지 않았지만 전기차 배터리 신공장 설립을 추진중인 파나소닉으로 전해진다. 주정부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45억 달러(약 5조6000억원)의 자본을 투자해야 하고 4000~6000여 개의 신규 일자리를 창출해야 하는 등 특정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파나소닉은 테슬라에 공급할 새로운 배터리 생산 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부지를 물색하고 있다. 오클라호마와 캔자스주를 놓고 고심중이다. 신공장에서는 테슬라와 전기차 업체 카누에 공급할 리튬이온배터리를 생산할 것으로 보인다. 두 지역은 테슬라가 최근 가동에 돌입한 텍사스주 기가팩토리와 가깝고 카누는 오클라호마주에 전기차 제조 시설을 건설할 예정이다. 캔자
[더구루=정예린 기자] 테슬라향 수요에 힘입어 작년 세계 원통형 배터리셀 출하량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테슬라 핵심 공급사인 파나소닉과 LG에너지솔루션이 수혜를 입은 가운데 LG에너지솔루션은 처음으로 삼성SDI를 앞질렀다. 23일 중국 EV탱크, 이웨이경제연구원, 전지산업연구원이 공동 발표한 '중국 원통형 리튬이온배터리 산업 발전 백서(2022)'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원통형 배터리셀 출하량은 121억7000만 개로 전년 대비 21% 증가했다. 원통형 배터리를 탑재하는 테슬라 전기차 판매 호조가 시장 성장을 견인했다는 분석이다. 파나소닉과 LG에너지솔루션이 세계 원통형 배터리 시장 점유율 1, 2위를 차지했다. 양사는 현재 테슬라가 주로 사용하는 지름 21mm, 길이 70mm의 21700 원통형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차세대 배터리 지름 46mm, 길이 80mm의 원통형 제품 4680 배터리 공급망에도 진입한 것으로 전해진다. 테슬라는 이르면 올 1분기부터 4680 배터리를 모델Y 신차 등에 장착할 계획이다. LG에너지솔루션의 성장폭이 가장 두드러졌다. 테슬라향 수주 잔고가 대폭 증가한 덕에 시장점유율은 전년 대비 60% 확대됐다. 원통형 배터리의 전통
[더구루=정예린 기자] 한중일 배터리 기업들 간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관련 특허 출원이 줄을 잇고 있다. 기술 리더십을 확보해 차별화를 꾀하고 미래 성장을 도모하겠다는 전략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LG에너지솔루션, SK온, 삼성SDI 등 국내 배터리 3사를 비롯해 중국 CATL, 비야디(BYD), SVOLT, 인비전AESC와 일본 파나소닉 등 8개 기업이 출원한 전기차 배터리 관련 특허가 지난달 다수 공개됐다. 배터리 안전성과 에너지 밀도를 높이는 기술과 관련 소재에 대한 특허가 주를 이뤘다. 우선 국내에서는 한국특허청이 지난달 15일과 18일 LG에너지솔루션의 특허 2개를 공개했다. △이차전지 분석 장치 및 방법 △배터리 셀들의 등급 판정 및 배터리 모듈에 대한 탑재 공정을 통합 수행하기 위한 배터리 셀의 공정 자동화 장치 등이다. 전자는 이차전지에서 발생한 가스를 누출없이 고농도로 포집해 정량 분석하는 장치와 방법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후자는 QR코드를 활용한 배터리셀 공정 자동화 장치 개발에 관한 특허다. 하나의 장치로 배터리셀 등급 결정과 배터리 모듈 조립이 가능해 생산 효율성과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게 LG에너지솔루션의 설명이다. SK온과 삼성
[더구루=홍성일 기자] 소셜커머스 플랫폼 틱톡샵(TikTok Shop)이 미국 Z세대를 중심으로 빠르게 인기를 얻고 있다. 틱톡샵은 이커머스와 온라인 마케팅 양 측면에서 모두 성공적인 결과를 만들어내며 소셜미디어 활용 방식을 한 단계 발전시켰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3일 코트라 로스앤젤레스무역관이 작성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에서 Z세대를 중심으로 소셜커머스(소셜미디어를 통한 쇼핑)가 급부상하고 있다. 미국 시장조사기관 이마케터(eMarketer)에 따르면 2023년 소셜커머스 시장은 670억 달러(약 87조1000억원) 규모였으며, 2027년까지 1445억 달러(약 187조5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소셜커머스 시장에서 최근 떠오르고 있는 플랫폼이 틱톡샵이다. 틱톡샵은 숏폼(짧은 영상)과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Z세대의 눈길을 사로잡고있다. 틱톡샵의 성공 요인으로는 △숏폼, 라이브 스트리밍에 익숙한 Z세대에 최적화 △상품 정보 획득과 판매자 소통이 동시에 가능한 실시간 상호작용 △상품 탐색부터 구매까지 원스톱으로 가능한 간편 구매 △크리에이터를 활용한 마케팅으로 구매욕구를 자극하는 어필리에이트 마케팅이 뽑히고 있다. 틱톡샵
[더구루=한아름 기자] 맥도날드(Mcdonald)의 40년 특별 인기 메뉴 '맥립 버거'가 다음달 미국에서 부활한다. 겨울철 비수기에도 매출을 유지하기 위해 맥립 버거 한정 판매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국내에서도 맥립 버거 출시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유료기사코드] 22일 업계에 따르면 맥도날드가 다음달 3일 미국에서 '맥립 버거'를 겨울 특별 메뉴로 선보인다. 맥립 버거 출시에 앞서 오는 25일부터 맥립 BBQ 소스 판매에도 돌입한다. 맥립 버거는 1980년대 추운 겨울 맥도날드 매장을 찾을 정도로 맛있는 버거를 만들자는 독특한 아이디어에서 착안해 개발된 제품이다. 지난 1981년 미국 캔자스주 캔자스시티(Kansas City)에서 처음 출시됐다. 매콤한 맥립 BBQ 소스에 스모키한 향이 나는 돼지고기와 양파, 피클을 구운 번 사이에 넣어 든든한 한끼 식사로 현지 소비자들의 인기를 끌었다. 맥립 버거는 출시 4년 만에 판매 부진으로 단종됐으나 소비자들이 꾸준히 재출시를 요청했으며, 맥도날드가 향수를 자극하는 마케팅을 전개하기 위해 맥립 버거를 특별 인기 메뉴로 부활시켰다. 그러자 맥립 버거는 소비자들의 이목을 다시 끌었다. 소비자들은 맥립 버거가 언제 어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