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테라파워가 우라늄 에너지(Uranium Energy Corp, 이하 UEC)와 우라늄 확보에 협력한다. 와이오밍의 풍부한 우라늄 자산을 활용해 4세대 소형모듈원자로 '나트륨(Natrium)' 상용화에 박차를 가한다. [유료기사코드] 1일 업계에 따르면 테라파워는 지난달 30일(현지시간) UEC와 우라늄 연료의 공급망 구축에 협력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2003년 설립된 UEC는 북미 최대 규모 우라늄 회사다. 텍사스와 와이오밍, 뉴멕시코, 애리조나, 콜로라도 등에서 우라늄 채굴을 진행하고 있다. 미국의 허가를 받은 7개 프로젝트를 보유하고 있다. 모두 광상에 시추공을 뚫어 우라늄을 추출하는 현장 복구(In-Situ Recovery) 방식이 적용된다. UEC는 2021년 12월 러시아 로사톰으로부터 '우라늄 원 아메리카스(Uranium One Americas)'를 인수했다. 이로써 와이오밍 내 20개 이상 우라늄 사업 포트폴리오를 갖게 됐다. 현재 중단된 크리스텐슨 랜치 프로젝트도 확보해 우라늄 채굴 재개를 준비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에서 채굴한 우라늄을 이리가라이 중앙 처리 공장에서 정제할 예정이다. 테라파워는 U
[더구루=오소영 기자] 한국석유공사와 SK어스온이 베트남 광구 개발 파트너사와 13억 달러(약 1조6700억원) 추가 투자를 검토하고 있다. 15-1 광구의 원유 생산량을 늘리고 계약 연장도 모색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페트로베트남은 최근 이사회에서 13억 달러를 쏟아 '백사자(Su Tu Trang) 구조'의 2단계 2B 개발을 추진하는 방안을 의결했다. 백사자 구조는 2000년 흑사자(Su Tu Den), 2001년 금사자(Su Tu Vang)에 이어 세 번째로 발견된 유전이다. 페트로베트남과 석유공사, SK어스온 등 사업자들은 2003년 11월 백사자 구조 3곳을 시험 시추해 대량의 원유와 가스를 확인했다. 2017년 1월 1단계 개발을 완료하고 2021년 6월 2단계 2A까지 마쳤다. 생산정 5개를 통해 하루 약 2만7000배럴의 원유와 가스를 생산하고 있다. 페트로베트남은 추가 개발을 통해 백사자의 생산량을 늘린다. 개발에 성공하면 15-1 광구 수명은 20년 늘고 하루에 354만㎥ 상당의 가스를 생산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5년 9월 만료 예정인 15-1 광구 개발 계약 연장도 꾀하고 있다. 세부 내용은 협상 중이지만 대주주인 페트로베트남의 지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온이 올해 3분기 누적 기준 밴처캐피털(VC)로부터 세 번째로 많은 자금을 확보한 배터리 기업에 뽑혔다. 5일 미국 리서치 기관 머콤 캐피탈 그룹(Mercom Capital Group)에 따르면 SK온은 올해 1~3분기 기준 VC로부터 가장 많은 자금을 조달한 배터리 관련 기업 3위에 올랐다. 투자 유치액은 9억4400만 달러(약 1조2600억원)로 추정된다. SK온은 설비 투자를 강화하고자 실탄 충전에 힘썼다. SK온은 중대형 전지 생산능력을 2021년 말 22.5GWh에서 이듬해 말 71.7GWh까지 늘렸다. 2025년까지 220GWh 이상의 생산능력을 확보하겠다는 포부다. 미국 포드와 테네시주에 1개, 켄터키주에 2개 공장을 짓고 있고, 현대자동차 그룹과도 조지아주에 배터리 합작공장을 추진한다. 헝가리 이반차에도 30GWh 규모의 3공장을 설립해 가동을 목전에 뒀다. 국내에서도 서산 3공장 증설에 1조5000억원을 투입하며 신·증설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SK온과 함께 배터리 기업 중에서는 프랑스 스타트업 베르코어(Verkor)가 4위, 중국 히튬(Hithium)이 5위를 차지했다. 양사 모두 시리즈C 투자 라운드를 통해 투자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테라파워가 미래형 소형모듈원자로(SMR)로 불리는 '염소계 용융염 원자로(MCFR)' 개발에 진전을 보이고 있다. 현지 전력사, 해양원전 개발사와 협력해 테스트에 매진한다. [유료기사코드] 8일 테라파워에 따르면 회사는 서던컴퍼니, 코레파워와 염화물염 테스트 시스템 가동을 시작했다. 워싱턴주 에버랫에 위치한 테라파워 연구소에서 용융 염화물 특성 테스트 장비(IET)를 활용했다. IET는 액체 핵연료를 사용하는 MCFR 개발에 필요하다. 용융염 사용에 따른 배관의 부식 속도와 열교환 시스템의 안전성·효율성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테라파워는 작년 10월 서던컴퍼니, 코레파워와 IET 시설을 구축했다. <본보 2022년 10월 20일 참고 'SK 투자' 테라파워, 차세대 원전 테스트 시설 구축> 전기와 제어 설비 등을 검증한 후 시운전에 돌입했다. MCFR 개발을 담당하는 제프 라트코스키 테라파워 수석 부사장은 "MCFR은 탈탄소화가 어려운 산업에서도 탄소 중립 니즈를 충족할 잠재력을 갖고 있다"며 "IET를 통해 기술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평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테라파워는 이번 성과를 토대로 MC
[더구루=길소연 기자] SK이노베이션이 투자를 단행한 미국 스타트업 아모지가 세계 최초 암모니아 연료 해양작업지원선(Platform Supply Vessel, PSV) 사업에 참여한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아모지는 최근 다국적 해운사 브르봉 호라이즌(Bourbon Horizon)와 암모니아 구동 해양지원선(PSV) 운영을 골자로 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브르봉 호라이즌은 프랑스 해운사 브루봉그룹(Bourbon Group)과 노르웨이 해운사 호라이즌 마리타임(Horizon Maritime) 등이 공동 설립했다. 브르봉 호라이즌은 이번 MOU를 통해 암모니아 연료 PSV에 아모지의 암모니아-전력 솔루션을 장착한다. 해상에서 중단 없는 작업을 보장하기 위해 암모니아 탱크 용량은 100입방미터 범위가 된다. 전체 시스템은 노르웨이선급협회(DNV)가 개발 중인 프로토콜을 준수한다. 아모지의 암모니아 전력 시스템은 배기가스 배출이 없는 운항을 위해 선박의 주 전력을 공급한다. 고효율 암모니아 발전 기술이 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시스템에 통합된 분해 모듈을 통해 액체 암모니아를 공급해 전기 모터에 동력을 공급한다. 현재까지 아모지의 암모니아 전력화
[더구루=길소연 기자] SK이노베이션이 투자를 단행한 미국 스타트업 아모지가 휴스턴에 새로운 제조 시설을 개장한다. 신규 제조시설에서 아모지의 청정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한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아모지는 과거 석유·가스 장비를 생산하던 4923㎡ 규모의 제조시설을 개조해 새로운 제조시설을 오픈한다. 4000만 달러(약 530억원)를 들여 내년 초 가동을 목표로 한다. 아모지의 휴스턴 제조시설에서는 운송, 발전 등 부문에서 무탄소 이동성을 가능하게 하는 '파워팩'을 제조한다. 아모지의 청정 에너지 솔루션을 위한 조립에 사용될 예정이다. 아모지는 휴스턴 제조시설을 청정 에너지 솔루션을 대규모로 제조할 수 있는 최첨단 시설로 만들 계획이다. 생산을 시작할 수 있도록 시설과 장비를 구비하고, 내년 말까지 200명의 직원을 고용한다는 방침이다. 우성훈 아모지 공동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우리는 운영을 확대하면서 고객, 공급업체와 가까워지기를 원해 휴스턴을 새로운 제조시설 지역으로 선택했다"고 말했다. 2020년 설립된 아모지는 독자 개발한 암모니아 기반 연료전지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암모니아는 같은 액화상태일 때 수소보다 저장과 운반이 경제적이고 용이해
[더구루=오소영 기자] 에코프로가 캐나다 퀘벡에 수산화리튬 공장 건설을 추진한다. SK온, 포드와 함께 짓는 양극재 공장에 배터리 원재료인 수산화리튬을 공급하고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선제적으로 대응한다. 1일 캐나다 로비위원회에 따르면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지난달 13일(현지시간) KPMG 소속 컨설턴트 5명을 로비스트에 등록했다. 이들은 퀘벡 수산화리튬 공장 건설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전략적 혁신기술기금(Strategic Innovation Fund, 이하 SIF) 획득을 지원한다. SIF는 혁신 기술 연구·개발을 돕기 위해 만든 기금이다. 캐나다 혁신과학경제개발부에서 관할한다.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현지 정부의 지원을 받아 퀘벡주 베캉쿠아시에 공장을 지을 것으로 보인다. 베캉쿠아는 에코프로비엠과 SK온, 포드가 합작공장 짓고 있는 도시다. 에코프로비엠은 작년 7월 SK온, 포드와 양극재 생산시설 투자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약 1년 후 베캉쿠아시 산업단지 내 27만8000㎡(약 8만4000평) 부지에 12억 캐나다달러(약 1조2000억원)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연산 4만5000t 규모로 2026년 상반기부터 가동할 예정이다.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은
[더구루=길소연 기자] SK이노베이션이 투자를 단행한 미국 스타트업 아모지가 최초로 선박용 암모니아 기반 수소연료전지 시스템을 주문한 발주처를 공개한다. [유료기사코드] 30일 업계에 따르면 아모지는 암모니아 연료전지를 처음으로 주문한 노르웨이 해운사 공개에 나선다. 앞서 아모지는 첫 수주 이후 발주사에 대한 정보를 함구했다. 노르웨이 선주로 알려진 첫 발주처는 지난 6월에 선박에 탑재할 아모지 시스템을 선주문했다. 신조선에 200kW 암모니아 발전 시스템 4대를 공급하는 사전 주문했다. 총 800kW의 아모지 파워팩이 신조선에 탑재된다. <본보 2023년 6월 23일 참고 '김준號'의 대체연료 투자 드디어 결실…아모지 첫 수주 성공> 아모지의 암모니아 전력 시스템은 배기가스 배출이 없는 운항을 위해 선박의 주 전력을 공급한다. 고효율 암모니아 발전 기술이 하이브리드 연료전지 시스템에 통합된 분해 모듈을 통해 액체 암모니아를 공급해 전기 모터에 동력을 공급한다. 크리스티안 W. 베르그(Christian W. Berg) 아모지 노르웨이 전무이사는 "노르웨이의 저명한 선주가 우리의 기술을 믿고 신조 선박의 탈탄소화를 위한 가장 실행 가능한 솔루션으로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온이 오는 10월 중국 장쑤성 옌청 배터리 신공장의 시험 생산에 착수할 예정이다. 내년 정상 가동해 주력 시장 중 하나인 중국에서 생산능력을 끌어올린다. 30일 장쑤성 정부에 따르면 SK온은 옌청 배터리 공장(SK On Yancheng Co., Ltd, 이하 SKOY)에 장비를 설치하고 있다. 오는 10월 시험 생산을 시작하고 내년 2분기 상업가동을 목표로 한다. SK온은 옌청에 EVE에너지와 합작해 연간 27GWh 규모의 공장을 운영해왔다. 2021년 11월 옌청시와 추가 공장 건설을 위한 투자 협약을 체결하고 이듬해 초 연간 최대 생산능력이 33GWh인 생산시설을 착공했다. <본보 2022년 1월 18일 참고 SK온, 中 옌청 배터리 공장 첫삽> SK온이 공장 4개 건설에 쏟은 총투자액은 45억4000만 달러(약 6조원)에 달한다. SK온은 옌청 공장을 안정화하고 생산량을 늘렸다. 올해 1~7월 생산량은 전년 대비 83% 증가했다. 이로 인해 매출도 131% 뛰었다. SK온은 중국 베이징자동차(BAIC)와 합작한 창저우(7.5GWh), EVE에너지와 공동 설립한 후이저우(10GWh) 공장을 운영하고 있다. 옌청 공장까
[더구루=오소영 기자] #1.이지환 KAIST 경영공학부 교수 "에너지로 접근해 오랜 기간 과감한 투자를 했다. 그 결과 자동차용 배터리의 실질적인 기술을 구현했다" #2. 송재용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교수 "분리막은 SK이노베이션 최초로 수펙스(SUPEX)추구상 대상을 받았었다. 그룹 차원에서도 중요한 혁신이었다" 두 교수는 지난 28일 오후 SK서린빌딩 3층 수펙스홀에서 열린 'SK이노베이션 연구·개발(R&D) 경영 40년 성과 컨퍼런스'에서 SK이노베이션의 최고 R&D 성과로 배터리와 배터리 소재 사업을 꼽았다. SK의 차세대 먹거리로 성장한 배터리의 기반이 R&D에 있다는 분석이다. ◇ 'SK식 R&BD' 그린에너지 기업 도약의 '밑거름' 이날 이 교수는 SK이노베이션 R&D 역사의 시발점을 1983년 기술개발연구소 설립으로 봤다. 최종현 선대회장은 대한석유공사(유공) 인수 직후 R&D의 중요성을 거듭 강조했고 이는 연구소 출범으로 이어졌다. 이어 SK이노베이션은 대덕연구단지에 기술원을 세웠다. 2021년 이를 환경과학기술원으로 바꿨다. 환경과학기술원의 기술전략그룹을 전사 포트폴리오 부문 조직과 연결하고 신규
[더구루=오소영 기자] 미국 테라파워가 와이오밍주에 부지를 매입했다. 소듐냉각고속로(SFR) 기반 4세대 소형모듈원자로 '나트륨(Natrium)' 실증 단지 건설에 박차를 가한다. [유료기사코드] 22일 테라파워에 따르면 회사는 최근 와이오밍주 케머러시에 나트륨 원전이 들어설 부지를 구매했다. 크리스 르베크 테라파워 최고경영자(CEO)는 "깨끗하고 안정적인 전력을 제공하고 고임금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한 또 다른 단계"라며 "지역 이해관계자·공무원과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테라파워는 2025년 폐쇄를 앞둔 석탄화력 발전소 인근에 345㎿ 규모 나트륨 원전을 짓는다. 2030년 완공해 약 25만 가구가 쓸 수 있는 전력을 생산할 예정이다. 최대 출력으로 높이면 화력발전소 1기 발전용량(500㎿)와 동일한 규모를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약 40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양이다. 테라파워는 건설 지원금의 일환으로 미국 에너지부(DOE)로부터 약 20억 달러(약 2조6000억원)를 받았다. 나트륨용 핵원료도 확보했다. 테라파워는 지난달 센트러스에너지와 고순도 저농축 우라늄(HALEU) 상용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오하이오주 시설에서 만든
[더구루=오소영 기자] SK어스온이 말레이시아 사라왁주 부총리와 회동했다. 사라왁 천해에서 진행 중인 석유개발 사업 협력을 논의하고 추가 투자 기회도 살폈다. 7일 사라왁 주정부에 따르면 아마르 아왕 뜽아 알리 하산(Amar Awang Tengah Ali Hasan) 부총리가 이끄는 사라왁주 대표단은 지난 3일 명성 SK어스온 사장과 만났다. 대표단은 지난주 방한해 OCI, 일진디스플레이 등 국내 기업들과 연쇄 회동했었다. <본보 2023년 8월 4일자 참고 [단독] 이우현 OCI 회장, 말련 사라왁 '8000억' 반도체 폴리실리콘 합작공장 논의> 이날 하산 부총리는 SK어스온의 'SK 427' 광구 투자를 호평했다. SK의 투자를 계기로 육상 광구 개발과 탄소포집·저장(CCS) 사업이 활발해질 것으로 봤다. 라와스를 비롯해 사라왁주 내 지역에서 업스트림·다운스트림 사업을 검토하고 수력과 가스 등 다른 분야의 투자도 추진해 달라고 촉구했다. 명성 사장은 사라왁의 새 사업 기회를 적극 탐색하겠다고 화답했다. 말레이시아는 석유 확인 매장량이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많다. 천연가스 확인 매장량도 상위 5위권에 든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2019년
[더구루=길소연 기자] 중국이 탄소중립을 목표로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육성하고 있다. 특히 해상풍력발전은 다른 신재생에너지 분야와 비교해 에너지 효율이 높아 발전하고 있다. 한국의 풍력발전 설비 제조사와 부품 제조사가 중국의 해상 풍력 발전 설비 확대 움직임에 발맞춰 협업 및 진출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은 정부의 재생에너지 발전 '제14차 5개년 계획'에 따라 해상풍력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세계풍력발전협회 GWEC가 공개한 수치에 따르면 신규 설비 시설이 확대되어 2030년 중국의 해상풍력발전 용량은 60GW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작년 기준 중국의 해상풍력발전 누적 설비용량은 세계 1위다. 지난 9월까지 중국의 해상풍력 누적 설비용량은 31.8GW를 달성했다. 왕진 중국 에너지경제연구원장은 "전력소비가 많은 해안 지역 위주로 해상 풍력발전 산업이 발전하고 있어 수요와 공급이 맞아 떨어진다"며 "풍력발전 공급망이 완비되고 기술력이 발전함에 따라 앞으로 건설비용이 점차 낮아져 해상 풍력발전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해상 석유와 가스 탐사 프로젝트
[더구루=정등용 기자] 프랑스 원자력 스타트업 나레아(Naarea)가 소형 원자로 개발을 위한 자금 조달을 추진한다. 이를 통해 향후 10년 동안 산업계의 탈탄소화 수요를 충족시킨다는 계획이다. [유료기사코드] 2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나레아의 공동 설립자인 장 뤽 알렉산드르는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소형 원자로 개발을 위해 1억5000만 유로(약 2100억원)의 자금을 내년 1분기까지 모금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나레아는 이미 에렌 그룹 등 일부 프랑스 재벌 그룹으로부터 5000만 유로(약 700억원)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정부로부터도 1000만 유로(약 140억원)를 지원 받았다. 나레아는 현재 로스차일드 앤 코의 도움을 받아 벤처 캐피탈과 산업 기관 투자자, 국부 펀드에 시리즈A 펀딩 라운드를 요청해놓은 상황이다. 알렉산드르는 “우리는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을 갖고 있으며 다른 기술도 개발 중”이라며 “산업체와 최대한 가까운 곳에서 전력과 열을 생산해 전력망의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 목표”라고 설명했다. 나레아의 계획이 예정대로 진행된다면 오는 2028년쯤 소형 원자로에 대한 본격적인 프로토타입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오는 2030년까지 원자로 개발을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