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정예린 기자] 미국 에너지부(DOE)가 배터리 재활용 산업 육성에 팔을 걷어붙였다. 핵심 기술부터 전문 인력 개발까지 추진, 배터리 통합 생태계를 구축해 선도적 지위를 공고히 한다는 전략이다.
14일 에너지부에 따르면 산하 첨단 재료·제조 기술 사무소(Advanced Materials and Manufacturing Technologies Office, AMMTO)는 지난 7일(현지시간) 리튬이온배터리 재생·재활용·재사용 분야 연구 프로그램에 200만 달러(약 25억7000만원)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향후 1년 동안 최대 8개의 프로젝트를 선정한다. 연구 과제는 △전극 재활용·재사용을 위한 상온 공정 개발 △직접 재사용을 위한 전극의 재생(재제조) △전해질 재활용 △교육·인력 개발 등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지원 받아 개발한 기술은 10년 내 상용화 등의 성과를 내면 된다.
에너지부 산하 아르곤 국립 연구소(ANL)에 소속된 배터리 재활용 연구개발(R&D)센터 ‘리셀(ReCell)’이 연구 프로그램 관리를 책임진다. 연구 프로그램은 국립연구소나 업계 파트너와의 공동 연구개발 협정(CRADA) 혹은 단독 프로젝트로 수행된다. 리튬 채굴 또는 리튬이온배터리 제조가 이뤄지고 있는 주에 우선 선정권이 부여된다.
배터리 재활용은 원재료 공급 부족에 따른 소재 가격 폭등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해결할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전기차 폐배터리 시장 규모는 2019년 1조6500억원 규모에서 오는 2030년 20조2000억원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2050년에는 최대 600조원 규모에 이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미국 정부도 배터리 재활용 산업 중요성을 인식하고 핵심 기술과 인재 육성에 뛰어들었다. 지난 2019년 리셀센터를 출범하며 배터리 재활용 분야 신기술 개발을 본격화했다.
리셀센터는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습식 고온 공정이 아닌 직접 재활용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직접 재활용은 화학 구조를 분해하지 않고 직접 배터리 구성 요소를 회수, 재생, 재사용하는 기술을 말한다. 회수율을 끌어올려 수익성을 높이고 수율, 생산성, 비용을 최적화해 지속가능한 프로세스를 구축한다는 목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