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광산기업 '필바라 미네랄스(Pilbara Minerals, 이하 필바라)'가 리튬 회사 인수 의지를 재차 내비쳤다. 재원 마련에도 문제가 없다고 자신했다. 성장하는 리튬 시장을 잡고자 몸집 불리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더구루=오소영 기자] 호주 광산기업 '필바라 미네랄스(Pilbara Minerals, 이하 필바라)'가 리튬 회사 인수 의지를 재차 내비쳤다. 재원 마련에도 문제가 없다고 자신했다. 성장하는 리튬 시장을 잡고자 몸집 불리기에 사활을 걸고 있다.
[더구루=홍성일 기자] 애플이 아이폰 출시 20주년을 맞아 폼팩터 혁신을 준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컷아웃(노치)이 없는 풀 스크린 아이폰과 커브드 아이폰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아이폰 혁신 외에도 애플이 가정용 로봇·스마트글래스 등을 출시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유료기사코드] 블룸버그 IT전문기자 마크 거먼은 11일(현지시간) 파워 온 뉴스레터를 통해 "애플이 2027년 대부분이 유리로 구성된 커브드 아이폰(mostly glass, curved iPhone) 출시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이폰은 2027년 출시 20주년을 맞는다. 대부분 유리로 구성됐다는 전망은 풀 스크린 아이폰 출시를 염두에 둔 것으로 분석된다. 마크 거먼은 지난달 "애플이 2027년 출시 20주년을 맞아 전례없는 아이폰 프로 디자인을 선보일 것"이라며 다이내믹 아일랜드(Dynamic Island)를 제거한 풀 스크린 아이폰이 출시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경제전문매체 디 인포메이션도 "애플이 2027년 전면 카메라를 화면 하단에 배치해 진정한 엣지 투 엣지 디스플레이를 구현한 아이폰을 출시 할 것"이라고 전한 바 있다. 커브드 아이폰에 대해서는 추측이 이어지고 있다. 업계
[더구루=길소연 기자] 포스코인터내셔널이 베트남 석탄 발전소 투자금을 회수한 가운데 미국 에너지 회사 'AES'도 지분 매각에 속도를 낸다. 베트남 당국의 허가가 필요해 승인이 떨어지면 매각 절차를 밟게 된다. AES는 베트남 석탄발전소 지분 매각으로 세계적인 脫(탈) 석탄 기조에 보조를 맞춘다. [유료기사코드] 12일 미 에너지 회사 AES의 지난 1분기 실적 보고서에 따르면 회사는 몽즈엉Ⅱ BOT 석탄화력발전소를 매각 예정 자산으로 분류하고, 9억 3400만 달러(약 1조3000억원)의 미수금(대출채권)을 보유하고 있다. 매각 예정 자산은 경영진의 매각 승인과 즉시 매각가능, 합리적인 매각가와 적극적인 매각 추진의사 등 조건을 충족해 분류된다. 매각 예정 자산으로 분류될 경우 1년 이내 매각이 완료될 가능성이 높다. AES는 체코 투자회사에 몽즈엉Ⅱ 석탄화력 발전사업의 지분 전량을 넘긴다. 앞서 AES는 지난 2023년 11월 체코 세븐글로벌인베스트먼트(Sev.en Global Investments)와 몽즈엉Ⅱ 석탄화력발전소 지분 51%를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세븐글로벌인베스트먼트는 몽즈엉Ⅱ의 지분을 인수해 아시아로 사업 영토를 넓힐 계획이다. &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