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인도 정부가 현대자동차그룹·테슬라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과 머리를 맞댄다. 전기차 제조 인센티브 프로그램 수립을 위해 업계 조언을 구한다. 실효적인 인센티브 정책을 앞세워 투자를 유치하고, 전기차 제조국으로 도약한다.
19일 익스프레스 모빌리티 등 외신에 따르면 인도 중공업부는 전기차 업체들과 간담회를 개최한다. 'SPMEPCI(Scheme to Promote Manufacturing of Electric Passenger Cars in India)'에 대한 업계 관계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가이드라인에 반영한다.
이번 간담회에는 현대차와 기아, 테슬라, 메르세데스-벤츠, 토요타 등 해외 업체들뿐만 아니라 타타모터스, 마힌드라앤마힌드라, 마루티 스즈키 등 인도 자동차 제조사가 참석한다.
주요 쟁점인 SPMEPCI는 전기차 투자를 유치하고 인도 제조 역량을 강화하고자 마련된 인센티브 프로그램이다. 최소 5억 달러(약 7300억원)를 투자하고, 운영 3년 이내 국내부가가치(DVA) 25%, 5년 이내 50%를 달성하는 기업에 관세 인하 혜택을 제공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3만5000달러(약 5100만원) 이상인 수입 완성차(CBU)에 대해 관세율을 기존 70~100%에서 15%까지 인하하는 파격적인 혜택을 담고 있다.
인도 정부는 작년 3월 첫 가이드라인을 공개했다. 이후 총선으로 2차 가이드라인 수립이 미뤄졌었다.
업계는 초기 협상에서 정부의 지원 의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다만 테슬라와 베트남 빈패스트는 DVA 계산 방식과 기존 투자의 배제 문제를 제시했다. 테슬라는 인도 정부가 제시한 DVA 달성이 가능할지 의구심을 표했다. 빈패스트는 타밀나두 전기차 공장 설립을 언급하며, 해당 투자 건이 인센티브 대상에서 제외되는 점을 안타까워했다.
인도는 업계 의견을 반영해 최종안을 수립할 것으로 보인다. 인도는 세계 3대 자동차 시장이다. 전기차 시장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코트라 뉴델리무역관에 따르면 인도 전기차 시장은 연평균 49%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2030년까지 전기차 보급률 30%, 연간 판매량 약 1000만 대에 이를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