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 최대 조선업체 이마바리조선에 잇딴 사건사고 발생해 안전불감증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일본이 조선업 재활성화를 추진 중인 가운데 안전 관리 소홀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면서 조선 부활을 꿈꾸는 일본 정책에 의구심이 제기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 최대 조선업체 이마바리조선에 잇딴 사건사고 발생해 안전불감증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일본이 조선업 재활성화를 추진 중인 가운데 안전 관리 소홀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면서 조선 부활을 꿈꾸는 일본 정책에 의구심이 제기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일본 최대 조선업체 이마바리조선에 잇딴 사건사고 발생해 안전불감증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일본이 조선업 재활성화를 추진 중인 가운데 안전 관리 소홀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면서 조선 부활을 꿈꾸는 일본 정책에 의구심이 제기된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14일 중국 현지 매체 국제선박망(eworldship)에 따르면 12일(현지시간) 가가와현 마루가메시에 위치한 이마바리 조선에서 선박 조립 작업 중 사고가 발생했다. 사고는 조선소 내 크레인에서 무거운 물건이 떨어지면서 발생했다. 사고로 선체 일부가 붕괴되면서 당시 선체 내부 또는 주변에서 작업 중이던 작업자가 부상을 입었다. 부상을 입은 근로자는 모두 7명으로, 3명은 10대, 3명은 20대, 1명은 30대이다. 근로자들은 병원으로 옮겨졌으며,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현지 경찰은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이마바리 조선소에는 중대재해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어 노동 환경 개선에 대한 지적이 지속해서 제기됐다. 지난 11월에는 에히메현 이마바리시에 있는 이마바리 조선소에서 근무 중인 44세 필리핀인 근로자가 크레인을 작업 중 사망했다.
[더구루=길소연 기자] 브라질이 중국과 조선 산업 '밀착'에 나서면서 한국 조선소의 일감이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브라질은 중국과 협력으로 조선 부활을 기대하고, 중국은 미국의 조선 견제를 피하면서 브라질 선단 갱신 프로그램을 지원해 영향력을 확대한다. [유료기사코드] 14일 노르웨이 해운전문지 '트레이드윈즈(Trade Winds)'와 그리스 용선 플랫폼 시그널 오션(Signal Ocean) 따르면 브라질 국영 석유업체인 페트로브라스는 최근 중국 용선사와의 계약 확대에 따라 브라질에서 중국으로 초대형 유조선(VLCC)으로 10억 톤 마일을 추가 수송하기로 했다. 중국이 서방 국가 대신 우호적인 국가들로 시선을 돌리면서 브라질산 원유 수송을 늘린 것이다. 중국의 브라질산 원유 수송 확대로 VLCC 용선사의 수익도 확대됐다. 지난 2분기 선적량은 9360만 배럴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국으로의 브라질 원유 수출은 전년 대비 60% 증가했다. 브라질과 중국은 원유 수송 외 조선 파트너십도 강화한다. 최근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브라질-중국 조선 산업 전략 포럼에서 양국 기술·상업 파트너십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으며 협력관계를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