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박상규 기자] 러시아 국영 에너지회사 노바텍이 야말 LNG 프로젝트 후속으로 추진하는 아크틱(ARCTIC) LNG-2 개발 사업에 투입될 쇄빙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추가 도입을 시사했습니다. 노바텍이 향후 LNG 생산 확대 계획에 따라 최대 30척의 쇄빙 LNG운반선 도입을 검토하는 것…
대표적인 암호화폐 비관론자 가운데 한 명인 마이클 버리가 암호화폐를 구매한 사실을 공개했습니다. 20일 경제전문매체 마켓인사이더에 따르면 마이클 버리 사이언에셋 대표는 CNBC에 보낸 이메일을 통해 "암호화폐 붕괴에 베팅하지 않았고 '더 나은 암호화폐'라고 생각하는 몇 개의 토큰을 구매했다"라고…
[더구루=박상규 기자] 아마존이 인수한 미국 '죽스(Zoox)'가 자율주행차 테스트에 속도를 냅니다. 기존 샌프란시스코와 라스베가스에 이어 시애틀에 거점을 마련하고 시범 운행을 확대하는데요. 지난 18일(현지시간) 죽스는 시애틀에서 자율주행차 'L3'와 'L5' 테스트를 시작한다고 발표했습니다. L…
[더구루=박상규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말레이시아 기업과 깐부(같은 편)를 맺고 '1조 원' 규모의 말레이시아 전투기 도입 사업에 도전합니다. 말레이시아 공군(RMAF)이 진행하는 18대의 경전투기(LCA) 공급 입찰에 FA-50 제트 전투기를 내세운 KAI도 말레이시아 통신장비 공급업체 케말락…
[더구루=박상규 기자] 루시드모터스가 자체 개발한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 '드림드라이브(DreamDrive)'의 세부 정보를 공유했습니다. 라이다(LiDAR) 센서가 탑재된 옵션을 제공하고 추후 업데이트를 통해 조건부 '핸즈프리' 경험도 선사한다는데요. 지난 12일(현지시간) 루시드모터스는 드림…
[더구루=박상규 기자] 미국 정부가 원전을 통한 청정 수소 생산에 본격적으로 나서며 두산중공업의 사업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업계에 따르면 DOE(미국 에너지부)는 원전을 이용해 청정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을 상용화하고자 2000만 달러(약 240억원)를 지원하는데요. PNW 하이드로젠(PNW…
[더구루=박상규 기자] 더블유스코프(W-SCOPE)가 유럽에 거점을 마련하고 현지 전기차 시장 공략을 본격화합니다. 1조 원 이상을 쏟아 대규모 라인 증설을 단행해 생산능력을 두 배 이상 늘린다는 목표인데요. 일본 도쿄 증권거래소에 상장한 소재 기업인 더블유스코프는 지난 14일 유럽 전기차 수요 증가…
[더구루=박상규 기자] 이라크가 외국산 방공시스템 구입을 모색하는 가운데 한국이 후보 물망에 올랐습니다. 이는 이라크 국방위원회 위원이 직접 언급한 내용으로 한국과 러시아, 프랑스 3파전 양상을 보이고 있는데요. 아랍 현지매체 '더 뉴 아랍(The New Arab)'은 이라크가 한국을 포함해 러시아…
[더구루=박상규 기자] 삼성전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일부 가동을 멈췄던 베트남 공장 정상화에 시동을 겁니다. 해외 사업장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 회복)' 준비에 속도를 내는 상황인데요.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다음 달 말까지 베트남 호찌민 인근 사이공하이테크파…
[더구루=박상규 기자] 현대자동차의 야심작 '아이오닉5'의 배터리 내부가 공개됐습니다. 배터리 모듈 30개가 들어갔으며 화재 논란을 빚은 코나EV보다 견고해졌는데요. 배터리 전문 유튜브 채널 바스트로 파워 스테이션은 지난 7일 현대차 아이오닉5를 해체해 배터리를 공개했습니다. 영상 속 차량은 72…
[더구루=박상규 기자] 최대 150척에 달하는 LNG(액화천연가스) 운반선 발주를 앞둔 카타르가 중국 조선소에 가장 먼저 신조 주문에 나섰습니다. 카타르 선주가 중국조선소에 발주한 첫번째 신조 물량인데요. 업계에 따르면 카타르 국영 석유회사 카타르 페트롤리엄(Qatar Petroleum)은 중국 국영…
[더구루=박상규 기자] 현대자동차 미국 자율주행 합작법인 모셔널이 개발하고 있는 아이오닉5 로보택시의 일부 기능과 디자인을 공개했습니다. 오는 2023년 상용화를 목표로 실현 가능성을 알리는 데 목적을 둔 만큼 디테일한 부분까지 신경 쓴 모습인데요. 자율주행 택시인 만큼 승객들이 직접 사용하는…
[더구루=홍성일 기자] 중국이 2030년에는 대만보다 더 큰 파운드리 생산력을 갖추게 될 것으로 전망됐다.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이 경제 논리가 아닌 지정학적 논리로 재편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유료기사코드] 2일 프랑스 시장조사기관 욜그룹(yolegroup)에 따르면 오는 2030년 중국의 파운드리 생산능력은 전세계 시장의 30%를 점유하며, 대만을 제치고 1위에 오를 것으로 분석했다. 욜그룹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세계 파운드리 생산 능력 중 23%를 대만이 보유하고 있다. 그 뒤를 중국(21%), 한국(19%), 일본(13%), 미국(10%), 유럽(8%)순이다. 욜그룹은 대만 파운드리 산업에 대해서 23%의 생산능력을 점유하고 있지만 자체 수요는 4%에 불과하다며, 생산역량 대부분을 미국 팹리스 생태계를 지원하는데 투입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의 경우에는 생산능력과 수요가 모두 19%라며, 국내 수요만으로도 충분히 파운드리가 운영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욜그룹은 글로벌 파운드리 산업의 아시아 집중도가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미국의 규제에 대응하고 있는 중국이 자체 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면서, 생산 능력을
[더구루=길소연 기자] 우크라이나가 이란제 자폭 드론 샤헤드(Shahed)의 요격체를 대량 생산한다. 요격기에 한국산 배터리를 탑재해 샤헤드의 드론 공격에 대한 방어능력과 공격력을 강화한다. 한국산 배터리는 드론 비행시간을 연장시키고 극한 기후에서도 작동이 가능해 드론 활용을 확대하고 있는 전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우크라이나 군사전문매체 밀리타니(Militarnyi)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드론 제작 업체인 와일드호넷츠(Wild Hornets)는 샤헤드 계열의 공격용 드론을 요격하기 위한 요격 드론을 대량 생산했다. 우크라이나 최대 규모 은행 중 하나인 모노뱅크와 우크라이나 스테르넨코 커뮤니티 재단이 협력해 실시한 대공 드론 제작 지원 모금 캠페인으로 자금을 확보해 요격 드론을 대량 생산했다. 세르히 스테르넨코(Serhii Sternenko) 우크라이나 사회운동가는 "기부자들의 아낌없는 지원 덕분에 이번 캠페인은 8500만 우크라이나 흐리우냐(UAH, 약 27억8000만원)라는 금액이 모금됐다"며 "이 자금은 샤헤드 드론에 대응하기 위한 요격 드론 395대와 적 정찰 무인기를 공격하기 위한 FPV 대공 드론 1500대 구매에 사용될 예정"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