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박상규 기자] 일본 인기 애니메이션 '블랙 클로버' IP를 활용한 모바일 게임이 출시됩니다. 더구루 취재 결과 블랙 클로버 모바일은 '일곱개의 대죄: 그랜드크로스'를 개발한 퍼니파우 출신 개발진이 설립한 '빅게임스튜디오'가 개발하고 있으며, 내년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는데요. 빅게임스튜디오…
[더구루=박상규 기자] 애플이 차량과 IT 기기 액세서리간 연동을 원활히 하고 보안을 강화하는 기술 특허를 확보했습니다. 애플은 지난 21일 미국 특허청(USPTO)으로부터 '보안 액세서리 인터페이스'(미국 특허번호 11205021) 특허를 획득했는데요. 이 특허는 애플카의 액세서리에 적용될 전망입니다…
[더구루=박상규 기자] LX세미콘이 내년 TSMC의 40나노미터(nm) 공정 대규모 생산능력을 확보하며 주요 고객사로 자리 잡았습니다. 애플향 모바일 DDI(디스플레이드라이버구동칩)를 위탁 생산하는데요. 시장조사기관 옴디아에 따르면 LX세미콘은 내년 TSMC 40나노 노드의 웨이퍼를 월 1만장 규…
[더구루=박상규 기자] 삼성전자가 브라질 상파울루대학교 의과대학(FMUSP)과 손잡고 '갤럭시워치4'를 활용한 코로나19 공동 연구를 추진합니다. 원격 모니터링을 통해 후유증 조기 진단·치료 등 건강관리 기능을 강화하는데요.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브라질법인은 FMUSP 부속 병원 산하 연구센터…
[더구루=박상규 기자] 애플이 차량 센서와 경고 시스템 관련 특허를 확보했습니다. 직접적으로 자율주행차에 쓰일 기술이라는 점을 언급하자 '애플카' 출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는데요. 미국특허청(USPTO)은 최근 애플이 지난 2018년 출원한 '외부 조명 및 경고 시스템'이라는 제목의 특허를 공개했습…
[더구루=박상규 기자] 미국 리비안이 제2공장을 조지아주로 낙점한 가운데 조지아주에 삼성SDI와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 가능성에도 무게가 실립니다. 리비안은 최근 조지아주에 50억 달러(약 5조 9,300억 원)를 쏟아 연간 40만대를 생산할 수 있는 공장을 짓겠다고 발표했습니다. 내년 여름 착공해 20…
[더구루=박상규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이 미래 핵심 사업으로 추진 중인 '한국형 전투기(KF-21) 보라매’ 개발이 순항 중입니다. 지난 9월 27일부터 KF-21 보라매의 전기체 정적 구조시험에 착수했는데요. 전기체 정적 구조시험은 비행환경에서 받는 양력과 항력 등 외부 하중이 기체에 미치는 영향을…
[더구루=박상규 기자] 미국 뉴스케일파워가 특수목적인수회사(SPAC·스팩)와의 합병을 통해 상장을 모색합니다. 뉴스케일파워의 재무 고문인 제임스 섀퍼(James Schaefer)는 지난 8일(현지시간) 'NNC(New Nuclear Capital) 2021'에서 "뉴스케일파워가 SPAC과 합병해 기업공개(IP…
[더구루=박상규 기자] 두산중공업 영국 자회사인 두산밥콕이 영국 탈탄소화 프로젝트 기본설계(FEED)를 수주하며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CCUS(탄소포집·활용·저장) 시장을 정조준합니다. 영국 석유회사 브리티시 페트롤리엄(BP)은 2개의 탄소 포획 프로젝트 FEED 계약자로 두산밥콕 컨소시엄과 프…
[더구루=박상규 기자] 에코프로비엠이 헝가리 정부의 지원을 받아 양극재 공장 건립에 속도를 냅니다. 파트너사 삼성SDI의 핵심 고객인 BMW의 공장 인근에 생산거점을 마련해 하이니켈 양극재 수요에 적극 대응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14일(현지시간) 데브레첸 시정부는 에코프로비엠의 양극재 공장 투자…
[더구루=박상규 기자]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이 조지아주에 제2공장 건설을 사실상 확정했습니다. 전기차뿐 아니라 단독 또는 합작 형태로 배터리셀을 생산할 것으로 추정되는데요. 업계에 따르면 리비안은 이르면 오는 16일(현지시간) 조지아에 제2공장 건설을 발표한다고 했습니다. 소셜 서클과…
[더구루=박상규 기자] 한국수력원자력이 폴란드 신규 원전 후보지 인근 지역을 찾아 원전 협력을 모색하고 기부금을 전달했습니다. 장민환 한수원 프라하사무소장(부장)을 비롯한 대표단은 지난 8일(현지시간) 폴란드 북부 크로코와·초체보시(市)를 방문했는데요. 이번 방문에서 아담 슐라비키(Adam…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자동차 부품 회사 일본특수도업(日本特殊陶業, 이하 NGK)이 '미래 먹거리'인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전력투구한다. 연말 항공우주용 전고체 배터리의 성능을 검증하고 2025년 상용화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NGK는 전고체 배터리를 2025년 상용화할 계획이다. 자동차뿐 아니라 항공우주, 헬스케어 등에서 활용을 모색하고 연말 항공우주용 배터리에 대한 성능 테스트를 실시한다. 1936년 설립된 NGK는 점화 플러그와 세라믹 제품 등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회사다. 주력 제품인 점화 플러그는 거의 모든 완성차 업체들이 사용하고 있다. NGK는 내연기관차 시대가 저물고 전기차를 비롯해 친환경차의 판매량이 증가하며 새 수익원 발굴에 매진했다. 그동안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토대로 전고체 배터리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 쓰이던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바꾼 제품이다. 구조적으로 단단해 화재 위험이 없고 에너지밀도가 높아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어 '차세대 배터리'로 꼽힌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는 전 세계 전고체 배터리 시장 규모가 올해 2.1GWh에서 2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화유코발트와 짐바브웨 정부 간 리튬 프로젝트를 둘러싼 동상이몽으로 첫 삽을 뜨기 전부터 잡음이 새어 나오고 있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 등 인프라 부족이 걸림돌로 작용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화유코발트는 최근 짐바브웨 아르카디아(Arcadia) 리튬 프로젝트 관련 "현지 파트너사의 지원과 적절한 환경이 갖춰졌을 때만 리튬 생산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당국이 계약서 내용과 달리 일방적으로 5년 내 현지 리튬 생산을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화유코발트는 총 4억2200만 달러(약 5513억원)를 들여 호주 프로스펙트리소시스로부터 아르카디아 프로젝트를 인수했다. 지난 5월 광산 개발과 리튬 처리 시설 건설에 3억 달러(약 3920억원)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본보 20222년 5월 27일 참고 中 화유코발트, 짐바브웨 리튬 사업 '3700억' 투자> 인수 작업이 순항하는 듯 했지만 예상치 못한 곳에서 발목이 잡혔다. 짐바브웨 경쟁관세위원회가 지난달 22일(현지시간) 화유코발트와 프로스펙트리소시스 간 거래를 승인하며 '5년 이내에 짐바브웨에서 배터리 등급 리튬을 생산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