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박상규 기자] '1조 원 규모' 말레이시아 전투기 도입 사업이 인도 쪽으로 승기가 기울이지는 모양새입니다. 인도 전투기 가격이 저렴한 데다 말레이 공군이 요구하는 조건에 충족해 사업 수주가 유력하다는 분석인데요. 인도 매체 파이낸셜 익스프레스 온라인(Financial Express Online…
[더구루=박상규 기자]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 독립교육구(ISD)가 삼성 반도체 공장 유치를 위한 인센티브안을 승인했습니다. 테일러시의 막대한 혜택 약속으로 인해 삼성의 투자 방향타가 테일러로 기우는 모양새인데요. 테일러시는 삼성에 2억 9200만 달러(약 3440억 원) 상당의 재산세 절감 혜택을 줄…
[더구루=박상규 기자] 미국 식품의약국(FDA) 새 수장 임명을 계기로 조 바이든 정부의 마리화나 규제 완화 정책이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지난 12일(현지시간)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취임 이후 줄곧 공석이었던 식품의약국(FDA) 국장으로 로버트 칼리프 전 국장을 지명했는데요. 바이든 대통령은 백악…
[더구루=박상규 기자] 미국 조지아주가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의 '제2공장' 부지로 유력한 가운데 모간과 뉴타운, 월튼이 후보로 거론되며 막바지 논의가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미국에 배터리 공장을 검토 중인 삼성SDI도 고객사인 리비안을 따라 조지아주에 투자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
[더구루=박상규 기자] 뉴욕 증시에 화려하게 데뷔한 미국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 주식을 아마존이 추가 매입했습니다. 아마존의 리비안 지분율은 약 22%까지 확대되며 양사 간 동맹이 끈끈해지고 있습니다. 지난 10일 미국 나스닥에 성공적으로 입성한 리비안의 주가는 연일 고공행진했습니다. 시가총…
[더구루=박상규 기자] 테슬라의 중국 공급망에 포함된 기업 명단이 공개됐습니다. 배터리를 납품하는 CATL을 비롯해 차량 차체 등에서 현지 기업이 다수를 이룬 반면 칩, 센서 등과 관련해서는 중국 업체가 경쟁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데요. 업계에 따르면 중국산 테슬라가 상하이 기가팩토리에서 생…
[더구루=박상규 기자] 항공우주기술연구원(항우연)이 한국의 우주산업을 위해 테슬라 설립자인 일론 머스크와 아마존 창업자인 제프 베이조스 등이 세운 세계적인 우주탐사기업과 만나 협력을 논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2일 코트라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항공우주기술연구원은 한국 우주산업을 위해…
[더구루=박상규 기자]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가 미국 최대 ESS(에너지저장장치) 프로젝트에 배터리를 공급합니다. 양사가 나란히 수주에 성공하면서 글로벌 ESS 시장 리더십을 입증했는데요.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SDI는 재생에너지 회사 '테라젠(Terra-Gen)'이 추진하는 미국 대형 태양광…
[더구루=박상규 기자] ‘한국판 라스베이거스'로 개발 중인 인천 영종도 인스파이어 복합리조트 사업이 가속도를 낼 전망입니다. 시공사로 참여하고 있는 한화건설의 사업 매출 확대도 기대되는데요. 미국 카지노업체 모히건 게이밍 앤드 엔터테인먼트(MGE)는 그리스 리조트 개발 사업을 포기하는 대신…
[더구루=박상규 기자] 글로벌 부동산 메타버스 게임 '업랜드' 투자에 컴투스뿐만 아니라 한국금융지주 자회사 한국투자파트너스도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투자파트너스는 블록체인 기반 메타버스 업랜드를 서비스하는 '업랜드미'의 시리즈A 투자 라운드에 참여했습니다. 업랜드미는 시리즈A…
[더구루=박상규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한국형 기동헬기 수리온 전송 시스템 개발을 위해 항공기 엔진 전문기업 GE항공 자회사와 손을 잡습니다. KAI는 지난달 20일 GE항공 이탈리아 법인 아비오 에어로(Avio Aero)와 한국형 유틸리티 헬리콥터(KUH-1 Surion)의 새로운 전송 시스템 개…
[더구루=박상규 기자]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CEO 일론 머스크의 남다른 텍사스 사랑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본사 이전 결정에 이어 공과대학 설립까지 검토하는 등 텍사스를 주 무대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는데요. 다만 일각에선 이번 대학 설립을 놓고 도지코인을 띄우기 위한 수작이라는 비판이…
[더구루=오소영 기자] 일본 자동차 부품 회사 일본특수도업(日本特殊陶業, 이하 NGK)이 '미래 먹거리'인 전고체 배터리 개발에 전력투구한다. 연말 항공우주용 전고체 배터리의 성능을 검증하고 2025년 상용화에 나선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NGK는 전고체 배터리를 2025년 상용화할 계획이다. 자동차뿐 아니라 항공우주, 헬스케어 등에서 활용을 모색하고 연말 항공우주용 배터리에 대한 성능 테스트를 실시한다. 1936년 설립된 NGK는 점화 플러그와 세라믹 제품 등 자동차 부품을 제조하는 회사다. 주력 제품인 점화 플러그는 거의 모든 완성차 업체들이 사용하고 있다. NGK는 내연기관차 시대가 저물고 전기차를 비롯해 친환경차의 판매량이 증가하며 새 수익원 발굴에 매진했다. 그동안 자동차 부품 시장에서 축적한 기술력을 토대로 전고체 배터리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에 쓰이던 액체 전해질을 고체로 바꾼 제품이다. 구조적으로 단단해 화재 위험이 없고 에너지밀도가 높아 주행거리를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어 '차세대 배터리'로 꼽힌다. 시장조사기관 SNE리서치는 전 세계 전고체 배터리 시장 규모가 올해 2.1GWh에서 2
[더구루=정예린 기자] 중국 화유코발트와 짐바브웨 정부 간 리튬 프로젝트를 둘러싼 동상이몽으로 첫 삽을 뜨기 전부터 잡음이 새어 나오고 있다. 안정적인 전력 공급 등 인프라 부족이 걸림돌로 작용하는 모양새다. [유료기사코드] 6일 업계에 따르면 화유코발트는 최근 짐바브웨 아르카디아(Arcadia) 리튬 프로젝트 관련 "현지 파트너사의 지원과 적절한 환경이 갖춰졌을 때만 리튬 생산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당국이 계약서 내용과 달리 일방적으로 5년 내 현지 리튬 생산을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화유코발트는 총 4억2200만 달러(약 5513억원)를 들여 호주 프로스펙트리소시스로부터 아르카디아 프로젝트를 인수했다. 지난 5월 광산 개발과 리튬 처리 시설 건설에 3억 달러(약 3920억원)를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본보 20222년 5월 27일 참고 中 화유코발트, 짐바브웨 리튬 사업 '3700억' 투자> 인수 작업이 순항하는 듯 했지만 예상치 못한 곳에서 발목이 잡혔다. 짐바브웨 경쟁관세위원회가 지난달 22일(현지시간) 화유코발트와 프로스펙트리소시스 간 거래를 승인하며 '5년 이내에 짐바브웨에서 배터리 등급 리튬을 생산해야 한다'는 조건을 내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