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구루=오소영 기자] 삼성디스플레이 베트남 박닌 공장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하면서 현지 정부가 후속 조치에 매진하고 있다. 1000명이 넘는 접촉자를 찾아 건강 상태를 살피며 격리 조처를 하는 등 코로나19 확산을 사전에 차단한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베트남 박…
[더구루=홍성환 기자] 미래에셋이 인도네시아 물류 스타트업에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로 전자상거래 시장이 주목을 받으면서 관련 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1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카르고는 미국 테나야 캐피털이 주도한 3100만 달러(약 377억원) 규모…
[더구루=홍성환 기자] 광물자원공사와 SK건설 등이 참여한 파나마 구리광산 '꼬브레 파나마'(Cobre Panama)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확산하고 사망자까지 발생하면서 현장이 셧다운(가동중단)됐다. 1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파나마 보건부는 최근 신종 코로나 사망자가 발생함에 따라 꼬브레…
[더구루=오소영 기자] 2월 석유화학 제품 수출량이 1년 전보다 증가했으나 제품 단가 하락으로 전체 수출액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국제 유가가 떨어지며 제품 가격이 동반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항공유는 13% 이상 떨어졌으며 1분기 전체 수출량…
[더구루=길소연 기자] 대한항공이 일본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수가 늘어나자 일본행 하늘길 문을 더 길게 걸어 잠근다. 15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오는 5월 말까지 '인천~나리타' 노선을 제외한 전 일본 노선의 운항 중단을 연장한다. 운휴 노선 대상은 인천발 △간사이 △…
[더구루=길소연 기자] 하림의 미국 공장 생산량이 폭락했다. 코로나로 근로자 절반만 출근하다보니 공장 가동률이 급감한 것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하림의 미국 계열사 앨런 하림푸드가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출근 직원수가 절반으로 감소함에 따라 공장 가동률이 떨어져 200만 마리의 닭을 폐사하고 식…
[더구루=홍성환 기자] 프랑스 자동차기업 르노가 배당금을 놓고 본사와 한국 법인에 대해 다른 정책을 펴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로 본사는 배당금을 없앴지만, 르노삼성으로부터는 수백억원을 챙겼다. 본사만 허리띠 졸라매기를 하고 한국 자회사로부터는 최대한 이익을 챙기는 모양…
[더구루=홍성환 기자] 한화생명이 베트남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관련 기부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화생명 베트남법인은 호찌민시 보건당국에 10억 베트남 동(약 5200만원) 규모로 의료용 방호복 8000개를 기부한다. 지난 10일 4000개를 호찌민 보건부에 전달…
[더구루=오소영 기자] LG전자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브라질 타우바테 스마트폰 공장 직원들의 임금을 삭감한다. 코로나19 위험 직원을 분류해 2개월간 근로 계약을 중단한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LG전자는 이날(현지시간) 3개월간 타우바테 공장 직원들의 임금을 25% 줄인…
[더구루=홍성환 기자] 글로벌 신용평가회사들이 차례로 현대카드와 현대캐피탈에 대한 눈높이를 낮췄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로 모회사인 현대·기아차가 어려움에 빠지면서 그룹 내 금융사로 위험이 옮길 수 있다는 분석이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신용평가회사 피치는 현대캐피탈…
[더구루=홍성환 기자] 중국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여파로 위축된 소비 심리를 살리기 위해 부양책을 쏟아내고 있다. 다만 소비 회복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또 업종별로도 회복 시기가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의류, 화장품은 빠르게 살아날 것으로 보이는 반면 의류, 가전은…
[더구루=홍성환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로 미국에서 산업별로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소비 위축으로 여행, 외식, 자동차, 의류산업은 직격탄을 맞았다. 반면 온라인 식품점, 화상회의 플랫폼의 수요는 크게 늘었다. ◇ "美여행산업 충격, 2001년 9·11 테러 7배 수준" 12일 코트라 미국…
[더구루=홍성일 기자] 생성형 인공지능(AI) 모델 챗GPT를 활용한 '지브리 스타일 사진 만들기'가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오픈AI 인프라에 심각한 부담이 되고 있는것으로 보인다. 오픈AI는 과부화가 지속될 시 신규 서비스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료기사코드] 샘 알트만 오픈AI CEO는 1일(현지시간) 엑스(X, 옛 트위터)를 통해 "챗GPT 이미지 변환에 컴퓨팅 자원을 집중하면서 신규 기능 출시가 지연될 수 있다"며 "일부 기능은 중단되고 서비스가 느려질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지난달 28일에도 "사람들이 챗GPT로 즐거워하고 있지만 우리의 GPU는 녹아내리고 있다"며 인프라 과부화 문제를 알린 바 있다. 오픈AI 인프라가 과부화된 배경에는 지난달 25일 출시된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이 있다. 해당 모델 출시 직후 전세계 이용자가 자신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로 변환하기 시작한 것. 이용자들은 지브리 외에도 픽사와 디즈니, 심슨, 명탐정 코난, 짱구는 못말려 스타일로 사진을 변경하고 있다. 문제는 해당 기능이 전세계적인 입소문을 타면서 신규 이용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는 점이다. 알트만 CEO는 지난달 31일 "
[더구루=김은비 기자] 글로벌 IT기업 HCL테크놀로지스(HCLTech, 이하 HCL테크)가 삼성전자 차세대 반도체 파운드리 생태계 ‘SAFE™(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 프로그램에 합류했다. [유료기사코드] 2일 업계에 따르면 HCL테크는 삼성전자 SAFE™ 프로그램의 ‘설계 솔루션 파트너(Design Solution Partner, DSP)’로 선정됐다. SAFE™ 프로그램은 반도체 설계 회사가 삼성전자 첨단 반도체 공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파트너십 생태계다. △전자설계자동화(EDA) △설계 솔루션·서비스 △지적재산권(IP) △클라우드 솔루션 등 반도체 설계에 필요한 종합적인 지원을 제공한다. HCL테크는 삼성전자 고객에게 맞춤형 반도체(ASIC) 설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신규 반도체 기술의 조속한 개발·출시를 돕고, 반도체 설계·생산 과정에서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다. 삼성전자는 HCL테크 엔지니어에게 최신 반도체 기술과 관련된 전문 교육도 제공할 예정이다. 고객 맞춤형 반도체 설계 프로젝트(턴키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기술적 지원 또한 병행한다. 이번 협력을 통해 HCL테크는